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2

        141.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간 국제 테러단체가 점점 확대고 있으며, 파키스탄은 새로운 테러단체인 “Arch of Instability” 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는 파키스탄의 국내 정치 경제 발전에 심각한 위협을 줄 뿐만 아니라 국제 안보 구조와 대테러 국제정세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또한 이는 중국 “일대일로”의 중요한 프로젝트인 “파키스탄 경제 통로”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문헌을 정리한 결과를 파키스탄의 테러 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여 본 논문은 컴퓨터 과학 및 기술영역에서 새로 부각되고 있는 시각화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국제 학술계가 파키스탄의 테러에 대한 연구결과를 시각화 분석하여 국제 학술계가 연구한 파키스탄 테러단체의 국가간의 협력망도 제출하였다. 더불어 파키스탄 테러 연구에 관한 국제 학술계의 저자 및 협력 네트워크에 대한 양적인 분석으로 파키스탄 테러 연구소의 국제 학술계의 연구 핫스팟 및 연구 트렌드도 정리하였다.
        5,500원
        14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changes in Maekjeok, Seoryamyeok and Neobiani. Choi Nam-sun first mentioned the Maekjeok in「Maeilsinbo」 as a “Buyeo·Goguryeo” style meat roast in 1937. Maekjeok was assumed to be made of various kinds of meat, including wild boars, and it was seasoned and baked as a whole. Seoryamyeok is a royal food found in Uigwe of the Joseon Dynasty and meat that was also eaten in the private sector. In 1609, the ingredients for the dish were pork, but beef was later used. The recipe has been simplified since the 19th century. Neobiani is known as royal cuisine, but it does not appear in official records. The first known record thus far is ‘Neobiani’ in「Siuijeonseo」. On the other hand, ‘Neobuhalmi’ which was presumed to be the same food as ‘Neobiani’, was found in a「Dictionnaire Coreen- Francais」(1880). In addition, ‘Neobiani’ was found in「A Korean-English dictionary」(1897). From Maekjeok, followed by Seoryamyeok and Neobiani, Korean roasting meat culture has a common feature of roasting pre-sauced meat, and this trait has continued to bulgogi.
        4,300원
        14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세를 대표하는 로만스 장르 중의 하나는 궁정풍 사랑의 문학이다. 이 궁정 풍 사랑의 문학은 12세기 남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에서 발전한 문학의 한 형태로, 이 사랑은 군주의 부인인 레이디와 기사의 사랑을 주 주제로 삼는다. 이 궁 정풍 사랑은 특히 성모 마리아 숭배 사상과 결합하여 이전의 시대와는 달리 레 이디를 여신과 같은 지위로 높여 숭배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교회 제도의 영 향을 받아 가부장적 사회가 주축이 되는 중세 시대에 이와 같은 사랑의 형식이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15세기 기사문학의 정수로 평가받는 말로리의 『아서 왕의 죽음』에 그려진 랜슬롯 경과 귀네비어 왕비의 사랑, 트리스트람 경과 이조드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궁정풍 사랑에 대한 중 세의 시각을 논해 보고자 한다. 그런 후 과연 이와 같은 사랑이 과연 중세 사회 에서 현실적으로 존재했는지 중세의 종교, 사회, 문학적인 실재를 중심으로 설 명해보고자 한다.
        5,500원
        14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first claims that the Avatamsaka (Sanskrit) Sutra, or the Flower Ornament Sutra (大方廣佛華嚴經) is the best writing among the innumerable Sutras and other books that describe Truth.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Avatamsaka Sutra shows infinity, innumerable Bodhisattvas and the infinite Dharma body (無限法身) of Vairocana (毘盧遮那佛). Yet this dimension of the ultimate reality is not simply that of the nihilistic (虛無主義的) nothingness or void. Emptiness is the perfect emptiness with wondrous movement, and it is the most profound source (根源) of all animate existences and inanimate things. I claim that literary reading and watching films have the innate purpose (目的) of having this meditative mind, of which the most profound spiritual vision is presented as Ocean Samadhi in the Avatamsaka Sutra. In the first place, the innate (內在的) guide us to clearly see the binary structure (二元對立構造) of ego (自我). The ego is unstable between good and evil, right and wrong, decency and destitute. In order to let the audience feel free from the ego, we should take a profoundly different way than thematic approach (主題的接近). This way of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and films is not to find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main message implied in the work. Literature, film, and other arts are special areas that lead audiences outside the local, petty ego that is, into the dimension of the true self or the Transmiddle zone (領域) with special power of sensibility (感覺). As a literary text or film constructs the plot, story, and mood, it deconstructs itself (in terms of postmodernism). Ethical deconstruction would lead the audience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to the spiritual dimension. A serious (深奧) literary text or film Great works (傑作) of literature and film direct our attention to break the shell (外觀) of our ego and encounter (直面) the source of life outside the ordinary habit of the ego. The exterior of the ego is the dimension of the pure consciousness. The unveiling process is the way in which it unlocks our spiritual sight (靈的視視) and presents with us a story of the protagonist’s failure (失敗) to flourish (繁榮) in the society (社會). The primal reality of the ego is that it is split into two, and thus fundamentally unstable. The ocean Samadhi (海印三昧) as portrayed in the Avatamsaka Sutra presents us with the vision that the whole cosmos (宇宙) and uncountable atoms are one. In this spiritual light, all phenomena in the whole universe are dependent co-arising or interdependent arising (同時發生); it is possible because everything is empty and has no stable substance. The Avatamsaka Sutra presents that the Buddha-body comprises, and thus it is truly “Emptiness (眞空) as Fullness (充滿).” Phenomena as the variances of Emptiness go through the processes of birth and death, not the Emptiness itself. It is like “empty space.” In the Hua-yen marvelous cosmos of Emptiness as fullness, one and all are interconnected with one another, and it is beyond our intellectual understanding (知的理解). In this way, Chinese characters (漢字) in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 大方廣佛華嚴經) describe (描寫) the infinite Dharma body (無限法身) of Vairocana (毘盧遮那佛). The ultimate truth is nondual (不二), and thus nonphenomenal (非現象的). The truth (眞理) of every existence (存在) is actually the spiritual dimension of not one, not two (不一, 不二). “Not one, not two” is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the dimension beyond time and space, for it indicates the most fundamental realm (根本領域) of transcendence, where all phenomena are both separate and one.
        7,700원
        146.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in abscesses caused by odontogenic infection are a rare and life-threatening condition. When dental patients show neurological symptoms such as decreased consciousness, a brain abscess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diagnosis. We reported that a 65-year-old man visited the emergency room because of left facial edema, high fever, limitation of mouth opening and decreased consciousness. CT, bone scan, and microbi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rain abscess originated from left mandibular osteomyelitis with an apical lesion in tooth #36. It was hard to diagnose the location of odontogenic infection. Because there were no evidence of submandibular abscess which is a common path of mandibular posterior infection, early diagnosis was difficult. MRI and radiographs such as facial CT and brain CT revealed procedure that inflammatory findings progressed through the coronoid process, the temporal space, into the subdural space. We compared the present case to previous cases, articles published after the year 2000 in Korea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The patien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extraction of causative teeth, drainage surgery, intravenous antibiotics by collabor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oral maxillofacial surgery and neurosurgery. It is difficult to diagnose brain abscess because central nervous system can be infected by various pathway. As shown in this case, patients with a brain abscess caused by a dental infection should be diagnosed and treated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4,000원
        14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4차 산업혁명은 AI(Artificial Intelligence)시대로서 인간을 위한 과학기술이 자칫 인간에게 재앙으로 돌아오게 하는 포스트휴머니즘적 요소를 지닌다. 무엇 보다도 유전자편집은 인류에게 희망과 절망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심 할 수 없는 문제이다. 또한, 동물복제는 이미 실험이 되었고 유인원인 원숭이의 복제는 큰 충격과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이런 시대에 장차 인문학의 역할은 사라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힌 지 오래다. 이에, 카즈오 이시구로는 무한대의 과학발전이 과연 인간을 위한 혜택인가를 『나를 보내지마』 를 통해서 조명한다. 특히, 이 소설은 진실을 말하지 않고 간과하는 어른들의 모습에서 복제 인간들의 희망 고문은 계속되고 결국 절망과 더불어 그들은 하나둘씩 사라진다. 인간이 자신의 영생을 추구하기 위해 복제 인간을 시도한다는 것은 신의 섭리에 어긋나는 일이고 죄악이다. 인간은 이러한 엄청난 위험성에 대해 깊이 인지 할 필요가 있기에, 본 논문은 맥킨타이어의 『탈진실』을 토대로 이시구로의 작품에 나타난 탈진실을 밝혀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복제 인간이 인간의 행복을 위해서 희생되는 과정은 육체적·정신적 피폐를 드러내어 기존 로봇과 다른 신의 경지를 추월함을 경고한다.
        4,500원
        14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하이는 국제도시로 세계의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모이는 곳이었기 때문에 중국 그 어느 도시보다 지식인들이 집결하는 도시로 성장하였다. 상하이의 진보적 지식인은 국제정세 속에 서 중국이 처한 상황을 깨닫게 되었고,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자연스럽게 상무정 신을 고취하였다. 많은 지식인은 중국 역사와 민간의 전통 속에서 협객을 발굴하였으며 그들 의 상무정신을 찬양하였다. 한편, 상하이는 노동 이주민의 도시였다. 세계대전 후 서구의 자 본이 상하이에 몰리게 되면서 국제도시 상하이는 중국 최대의 상공업도시로 성장하게 된다. 이에 상하이에는 다양한 국가, 인종, 지역민이 모여들었다. 이주민들은 그들의 생존과 이익을 위해 업종별, 출신 지역별로 다양한 조직을 결성하였고, 이들 조직은 조직의 결속을 위해 민 간의 협의정신을 적극 수용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대시기 상하이에는 위로는 상류층 지식인의 엘리트문화에서 아래로는 하층 노동자들의 하위문화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협의정신을 찬양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는 근대시기 상하이가 지식과 지식인, 자본과 노동자를 끌어들이는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 중심도시로 성장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것이 1920-30년대 상하이에 협의서사가 흥성하게 된 주요배경이 되었다.
        5,200원
        14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韓·中 고전문학 속에 등장하는 여성들이 송사를 제기하거나 또한 송사를 당하는 역할로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이 송사를 제기하거나 당하는 경우, 효녀, 열부, 현모양처인 경우에는 물질적 보상, 사회적 칭송을 받는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송사를 통한 법의 엄정성보다 법의 윤리의식이 우위에 있었던 고대 韓·中 봉건사 회의 일면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선한 의도와 행실에도 불구하고 억울함이 해소되지 않은 채로 끝나는 경우가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송사라는 법적인 절차가 사회정의를 구현하는 통로이긴 하나 남존여비의 봉건사회에서 여성에게 그 기회가 완전히 보장될 수 없고, 또 다른 가부장적 기준으로 여성을 이중으로 평가했던 당시 사회의 한계점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 또한 일부 여성들은 원혼(冤魂)이 되어서까지 재심(再審)을 통하여 그녀들의 억울함을 사회에 공개적으로 호소하고, 해결 받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의 명예회복 및 내적 존엄성까지도 회복하고, 공개적인 법집행을 통한 처벌로 사회질서 확립과 사회정의 실현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5,700원
        15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서번역 이후 독일문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위대한 종교문학을 탄생시켰으며, 독일문학은 성서의 기반위에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계몽주의 이후 18세기 클롭슈톡의 『메시아』를 비롯해 괴테의 『파우스트』, 횔덜린의 시, 19세기의 낭만주의 작품들을 걸쳐 20세기 릴케의 시,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성서적 모티브를 통해 새롭게 탄생된 작품들이다. 전후 서독의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와 동독의 슈테판 하임의 『다윗 왕』, 페터 학스의 『아담과 이브』 역시 성서적 소재를 통해 히틀러의 파시즘과 동독의 전체주의에 항거하고 있다. ‘종교와 문학’에 대한 독일의 논의는 1980년대에야 비로소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84년 튀빙엔대학에서의 ‘신학과 문학. 20세기의 대화가능성과 한계들’이 라는 주제로 문학인과 신학자들의 시대에 대한 진단과 반성, 책임을 토대로 문학과 신학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보였다. 튀빙엔에서의 심포지엄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부터 ‘문학과 종교’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 었다. 또한 연구의 활성화는 독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들어와 서는 독일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오스트리아에서도 확대되어 나갔다.
        5,800원
        15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효과적인지 메타분석으로 종합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국내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사용하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두 명의 연구자가 독 립적으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한 연구는 총 12편이었고,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연 구의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된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총 471명이었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컴퓨터기반인지재활 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42로 ‘보통 효과크기’, 작업기반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 치는 효과크기는 0.768으로 ‘큰 효과크기’에 가까웠다. 두 가지 인지재활치료의 효과크기는 모두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p<0.05). 통계적 이질성 검정에서 유의미한 이질성이 있어 연구결과 통합 시 랜덤효과 모형을 선택하여 분석하였고, 출판편견은 유의미하지 않아 신뢰할 만한 연구결과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는 작업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재활치료를 시행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중재에 대한 근거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 을 것이다.
        4,600원
        152.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tation frequency is an important factor in evaluating journal quality and is used as a measure of journal impact. The citation index of a pap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linking papers with groups of other academic papers, forming a huge and complex network. This study examine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pparel research through the bibliometric citation analysis of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RJCC).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RJCC, we used the Korea Citation Index’s (KCI) data (highly citing journals and highly cited journals). The NodeXL, a social network analysis tool, was used to examin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journals. In order to identify the academic influence of the RJCC, we used the KCI journal citation index.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RJCC has a high centrality index among the clothing-oriented journals in the same life sciences field. A look at the journals citing the RJCC and the journals cited within the RJCC also showed that more journals of diverse fields have been recently linked through their citations. This suggests that a converge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underway in the field of clothing. As a result of examining international journals cited in the RJCC,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cited in prominent international journals in various fields.
        4,200원
        15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quamous odontogenic tumor (SOT) is a relatively rare, benign, small (rarely > 1.5 cm in diameter), but locally infiltrative and occasionally aggressive odontogenic epithelial lesion that appears to have harmatomous and neoplastic characteristics [1]. SOT is often asymptomatic, although it can present with mildly painful gingival swelling or tooth mobility. Radiographically, SOT is usually visualized as an irregularly or triangularly shaped unilocular radiolucency associated with the lateral roots of teeth. We report a case of the squamous odontogenic tumor occurring in a 60-year-old female in the right posterior maxilla with unusual radiographic and clinical appearances.
        4,000원
        154.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Kikuchi-Fujimoto disease, KFD) is a benign self-limiting lesion that can self-heal when no severe symptoms are present. KFD resembles tuberculous lymphadenitis and malignant lymphoma. Thus,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will minimize unnecessary evaluation and treatment. Histological examination of a lymph node biopsy or fine needle aspiration could be a reliable method for KFD diagnosis. This study reports a case of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of the right cervical lymph node in a 52-year-old female patient. According to the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result,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Kikuchi-Fujimoto disease and treated with prednisolone (15 mg/day). After treatment, there was no recurrence or adverse event.
        3,000원
        155.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how retailers deal with sustainability issues in different market fields with a specific focus on fashion industry. This work examines the last ten years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on sustainable retailing (SR),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15 papers selected from the EBSCO database are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an overview on the state of the art of research on SR.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 holistic definition of SR and for retailers’ practices related to sustainability is outlin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SR are provided.
        4,000원
        15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1969~2018년) 우리나라 연안 - 하구에서 수행된 어류먹이원 분석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확인된 연구논문은 총 101편 이었으며, 이 중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81편, 보고서는 6편 그리고 국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14편 이었다. 발표된 연구 논문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보면, 1990~1999년에 21편 (19.4%; 2.1편±3.0/년 [평균±표준 편차]), 2000~2009년에 26편 (24.1%; 2.6편±2.3/년)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2018년에는 52편 (48.1%; 5.8편±2.3/ 년)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국내 연안 - 하구에서 어류먹이원 분석을 수행한 조사수역의 해역을 방위 (남해, 남 - 동해, 동해, 서해)로 나누어보면, 남해에서 65편 (69.1%)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뒤를 동해가 13편 (13.8%), 서해와 남 - 동해에서 각각 8편씩 (8.5%)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의 분포를 보면 광양만에서 18편 (24.3%)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가덕도에서 8편 (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출간된 논문의 방법론적 특성을 보면, 먹이원 중요도나 생태적 지위의 범위를 나타내주는 지표 를 계산하는 방법은 총 14가지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지수는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와 Pi (Prey-specific abundance)였으며, E (electivity index) 와 Bi (dietary breadth index)가 그 뒤를 이었다. 총 11가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correlation analysis와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주제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 논문들은 계절적 또는 조사 지점별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2000년도 이후부터는 국제 학회지에 출판되기 시작한 논문들은 종간 경쟁 (competition), 동소성 (sympatric), 생태직위중첩 (niche overlap) 등과 같은 세부적인 생태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 학회지에 출판된 논문들의 경우 다소 정형화 된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으며 조사되지 않은 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향후 국내 학회지에 발표되는 연구논문에서도 종간 경쟁, 먹이 망 구조 파악 등과 같은 생태학적 주제를 반증할 수 있는 연구 방향이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15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eomorphic adenoma (PA) is the most common benign salivary gland tumor. Being pleomorphic, its histologic characteristics can be considerably varied, showing epithelial (ductal and non-ductal) cells and mesenchyme-like tissues (chondroid, myxoid, and osseous). Here, we present a rare case of a 76-year-old female presenting with a 2.0 cm PA with an epidermoid cyst of minor salivary glands on the soft palate.
        3,000원
        15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치매관리법’에 따라 전국적으로 치매안심센터가 설립되고, 치매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요구도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구성원으로 작업치료사는 배제되어 있다. 따라서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에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치매 평가영역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작업치료사가 시행하는 평가도구 및 평가영역에 대하여 국내 및 국외 연구, 보건복지부 치매정책 관련 자료집과 치매센터 책자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에서 시행하는 선별검사 및 신경인지검사와 작업치료사가 주로 사용하는 인지관련 평가도구의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수행영역에서 인지ᆞ지각영역의 평가 및 치료는 중요도나 수행도 측면에서 상위에 위치한다. 치매안심센터의 평가와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사용하는 평가는 6가지 인지영역(기억력, 시공간 능력, 집중력, 실행능력, 계산능력, 언어능력)에서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사는 인지ᆞ지각 평가 영역에서 충분한 자질을 갖추고 있는 전문가임을 제시 하였기에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구성원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보건복지부에 치매정책관련 개정사항으로 의견 제출 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