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7

        162.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석회(0, 250, 1,000kg/10a)와 인산(0, 17 및 34kg/10a)t용이 alfalfa의 생장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전남대학교 농과대학내 온실에서 pot로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동안 alfalf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근류중량 및 acetylene환원력은 pH6.2인 토양에서 석회시용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인산시용 효과는 인정되었다(p<0.05). 파종 후 7주
        4,000원
        16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석회(0, 250, 500, 1,000kg/10a)와 인산(0, 17, 34kg/10a) 시용이 alfalfa(Medicago sativa L.)의 생장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농과대학내 온실에서 pot로 수행되었다. 파종후 9과에 alfalf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및 아세틸렌 환원력에 있어서 석회 및 인산시용효과가 나타났으며(p<0.05). 파종후 14과(개화초기)에는 alfalfa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3,000원
        164.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너지 요구 반응인 NADP 전환 반응계에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하여 NAD의 NADP로의 효율적인 전환을 시도하였다. 전환 균체는 세포막 투과성 향상을 위하여 toluene 처리 후 동결 건조한 B. ammoniagenes Cells를 사용하였으며, 전환 균체의 고정 화 담체로는 3% k-carrageenan을 사용하였다. 한편 ATP 생성계 효소인 acetate kinase는 E. coli로부터 추출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전환 반응의 최적 온도 및 pH는 각각 37℃, pH 7.5였다. 또한 10mM acetyl phosphate, 5mM ADF, 200mM inorganic phosphate, 10mM MgCl_2, 고정화 균체 250㎎/㎖ , acetate kinase 49.5mUnit/㎖에서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최적 조건하에서 12시간 전환 반응시 5mM (340㎎/㎖)NAD가 3.6mM NADP로 전환되어 약 72%의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4,200원
        165.
        199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루코오즈(GOD) 옥시다제가 고정화된 PVA/키토산 플렌드막과 다공성 폴리아미드 복합막을 통해 인슐린의 투과거동을 살펴보았다. GOD가 고정화된 막을 통한 투과계수는 10-6~10-7cm3/cm2sec이었다. 복합막의 클루코오즈 농도에 대한 변화는 낮은 글루코오즈 농도에서 높았는데 이는 막으로부터 산소의 고갈 때문이었다. PVA/키토산 및 다공성 폴리아미드막을 통한 인슐린의 투과는 글루코오즈 농도에 따라 500mg%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4,000원
        166.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목초지에서 자생하는 라디노 클로버 포복경을 l/5,000a 와그너 포트에 이식하여 온실에서 겨울동안 1일 12시간 조명시키면서 재배하였다. 50일 동안 재배 후 제 1차 수화하였고 20일 후 2차, 그리고 다시 20일 후에 3차 수확을 하였다. 처리로는 질소시비를 2.5kg/10a, 5.0kg/10a, 7.5kg/10a를 이식 및 각 예취후에 시비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생장점, 지상부 수량, 지하부 수량 그리고 엽면적을 측정하였고 그밖에 질소고정량 및
        4,000원
        167.
        199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substrate removal characteristics with the variation of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in an anaerobic filter. The feed concentration of synthetic wastewater used in the experiment was $10,000mg/l$ glucose. As media, the porosity of volcanic stones in Jeju island were 76%. The condition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HRT ranging from 1 day to 3 day, loading rates ranging from 3.33kg $COD_{er}/void\;m^3.day$ to 10kg $COD_{er}/void\;m^3.day$ and a temperature $35^{\circ}C$.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COD removal efficiency was 98~99% in $COD_{er}$ method with loading rates ranging from 3.33kgCOD/void $m^3.day$ to 10kg COD/void $m^3.day$ and HRT ranging from 1day to 3 day. The produced quantity of gas equivalant to a porosity volume was $1.332~3.756Nm^3/void\;m^3.day$. The relationship between $COD_{er}$ loading rates and gas produced quantity equivalant to a porosity volume was well fitted with the equation of $Nm^3/void\;m^3.day{\cdot}=0.359L_0+0.179$($L_0=COD$ loading rate). Judging from the removal efficiency in this experiment, We concluded that anaerobic filter using Volcanic stones is one of improved and effective. As media, practical value of volcanic stones is sufficient.
        4,000원
        168.
        199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a fixed-biofilm process for the wastewater treatment of military installations. Utilizing plastic net media, synthetic wastewater-average $BOD_5$ cocentration was $192mg/l$ treated in the three sets of reactors that have 8 hours, 6 hours, and 4 hours of hydraulic retention tim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biofilm was not detached easily, and the reactor was not closed by excess biomass. The average soluble $BOD_5$ concentrations of effluent were $6.0mg/l$ with 8 hours of retention time, $11.3mg/l$ with 6 hours of retention time, and $19.4mg/l$ with 4 hours of retention time. Especially it was reduced to $5.7mg/l$ in the second stage reactor with 4 hours of retention time. These resulted that the fixed-biofilm process could be adapted for the treatment of military installation wastewater.
        4,000원
        169.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논토양 중에 벼의 근권에 서식하여 벼에 협력적인 관계로 질소를 공급해 주는 질소고정 미생물인 Klebsiella oxytoca를 미생물 비료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질소고정 균주의 육종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Klebsiella oxytoca NG13, Klebsiella oxytoca SH31, Klebsiella oxytoca SH161에 pMC71A를 형질전환 한 경우, 무질소 배지에서 원래의 균주의 질소고정력에 비해 질소고정력이 각각 6.4배, 17.2배, 13.5배 증진되었다. 2. 15mM의 NH_4^+ 존재하에서, Klebsiella oxytoca NG13, Klebsiella oxytoca SH31, Klebsiella oxytoca SH161의 경우는 모두 질소고정능의 완전한 저해를 받은 반면 pMC71A가 도입된 Klebsiella oxytoca NG13 /pMC71A, Klebsiella oxytoca SH31 /pMC71A, Klebsiella oxytoca SH161/pMC71A, 의 경우는 무질소 배지에서의 질소고정력에 비해 각각 13.7%, 7.7%, 6.2%의 질소고정 활성을 보였다.
        4,000원
        170.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가이드-타워에 관하여 폭풍 발생시, 계류장치 고정말뚝의 파괴를 주안점으로 한 신뢰도해석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말뚝의 파괴는 최대하중에 대한 것과 반복하중에 대한 것의 두가지 조건을 고려하였다. 최대하중으로 인한 파괴확률은 최초발생확률의 산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반면, 반복하중으로 인한 파괴확률은 점토층에 타설된 말뚝에 대한 피로곡선을 바탕으로하여 구하였다. 불규칙파랑에 대한 구조물의 동적해석은 비선형문제의 선형화를 통한 주파수영역 해석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행되었다. 수치해석결과, 말뚝지지력의 평균 안전도가 낮고 이의 분산계수가 클수록, 반복하중으로 인한 파괴확률이 최대하중으로 인한 파괴확률과 같은 수준으로 커짐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171.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366 was isolated to produce a strong sucrose hydrolyzing enzyme. After entrapment of yeast cell invertase with alginate, enzymatic properties of immobilized cell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ptimum pH of invertase in immobilized cells and non immobilized cells was 6.0 and 5.0, and pH stability of invertase in immobilized cells and non immobilized cells was 6.0 and 5.0, respectively. 2. Activation energy of immobilized cells was 4.7㎉/㏖. 3. The immobilized preparation exhibited high resistance to heat and urea induced denaturation. 4. The bead size less than 2㎜ in diameter was desirable. 5. In spite of repeated use, the enzyme activity of immobilized cells was inhibited slightly in batch reaction, and a small column of the immobilized preparation could hydrolyz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sucrose almost quantitatively to more than 6 days.
        4,000원
        172.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366was found to produce a strong sucrose-hydrolyzing enzyme Using this strain,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invertas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For enzyme production, optimal temperature, initial pH and critical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raffinose were 30℃, 5.0 and 3.0%, respectively. 2. Enzyme production was reached maxium by organic nitrogen source, 0.3% yeast extract plus 0.5% bactopeptone. 3. It was appeared the presence of 0.1M Mn^2+ and Fe^2+ ion was essent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0.1M Ag^+ and Hg^2+ ion almost block in yeast growth and enzyme production. 4. Invertase productivity was reached maxium within 3days on stationary culture with medium-composed of sucrose 3%, bactopeptone 0.5%, yeast extract 0.3%, K_2HPO_4 0.1%, MgSO4·7H_2O 0.05%.
        4,000원
        173.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활성화시킨 Succinylaminopropyl glass beads에 glutaraldehyde을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치즈 커드 형성과정에 이용하고져 고정화 효소의 안정성, 재이용성, 반응의 조건, 반응조의 형태등에 대하여 탈지유(pH 5.6, )를 사용하여 반응시킨후 항온수조내에서 커드의 형성 상태를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0.2M phosphate buffer(pH 4.6)에 0.06% sodium azide을 첨가한 액에 침지한 상태로 이하에서 보존할 경우 3개월 후에도 활력의 80%가 유지되었다. 2)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탈지유(pH 5.6, )로 반응시켰을때 반응 초기에는 고정화 효소의 활력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것은 bead에 결합되는 질소화합물과 효소의 활력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에 bead와 탈지유의 접촉시간을 60 sec/ml로 하여 탈지유(pH 5.6, )로 연속적으로 반응시켰을때 6시간 이후에도 bead의 활력의 70%가 유지할 수 있었다. 4) Fluidized bed와 shaking fluidized bed을 사용하는 것이 충진반응조 보다 탈지유의 반응속도가 높았다.
        4,000원
        174.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소원(窒素源)을 달리한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영양성분(營養成分) 및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 등(等)에 미치는 비효(肥效)는 다음과 같다. 대두(大豆)의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유사(類似)하였으나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있어서 절수(節數)가 적었다. 근류수(根瘤數)와 무게는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낮았고 그 밖의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근류수(根瘤數) 당(當)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생육초기(生育初期)와 개화기(開花期)에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pod 신장기(伸長期)에서는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비교적 높았다. 대두(大豆)의 100립중(粒重) 및 10a 당(當) 수량(收量)은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높았고 무질소구(無窒素區)는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보다 대체로 낮았다. 또한 대두(大豆)의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비해 높았고 조지방(粗脂肪) 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조회분(粗灰分) 함량은 시용구간(施用區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조섬유(粗纖維) 함량은 기존복비구(旣存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에 비해 높았다. Ca, P, Na, K, Mg, Zn, Mn 및 Cu 함량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Fe 함량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월등히 낮았으며,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17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교(光敎)를 비롯한 12개품종(個品種)의 대두근류(大豆根瘤)로부터 탐색분리(探索分離)한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숙주작물(宿主作物)과의 접종친화성(接種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YMA배지(培地)에서 자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색상(色相)은 백색상(白色相), 반투명색상(半透明色相), 투명색상(透明色相)이 각각(各各) 60%, 30%, 10%였으며 Litmus milk 반응(反應)은 alkali, acid serum, alkali serum, acid가 각각(各各) 51%, 29%, 9%, 11%로 나타났다. 2.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YM배지(培地)에서의 생육속도(生育速度) 및 pH의 변화(變化)는 S 022, S 096이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느리고, alkali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 080, S 090, S 118은생육속도(生育速度)가 빠르고 산(酸)을 생성(生成)하였다. 3. YM배지(培地)의 초기(初期) pH가 6.0~7.0의 범위(範圍)에서 Rhizobia의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서 glutamine, asparagine, allantion 등(等)은 Rhizobia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켰다. 5. 분리(分離)한 균주(菌株) 전부(全部)가 대두(大豆)에 근류(根瘤)를 형성(形成)시켰으며, 우량질소고정균주(優良窒素固定菌株)는 그중 색상(色相)이 백색(白色)이고 colony가 소형(小型)이며 질산환원력(窒酸還元力)이 있고 아질산환원력(亞窒酸還元力)이 없으나 비교적(比較的) 높은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나타냈다. 6. 동일균주(同一菌株)라도 숙주작물(宿主作物)의 친화성(親和性)에 따라서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이 없는 무효근류(無效根瘤)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도 있었다.
        4,300원
        176.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刈取가 알팔파根瘤의 着生 및 發達과 室素固定活性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기 위하여 圃場實驗에서는 刈取區와 非刈取區로 구분하여 時期別로 Acetylene還元法에 의하여 根瘤의 室素固定活性을 測定하였다. 養液栽培實驗에서는 地上部의 50%와 90%刈取, 花芽의 除法, 根瘤의 50%와 100% 除法등을 組合處理後 알팔파 再生과 根瘤의 着生과 發達에 미치는 影響을 檢討하였다. 1. 圃場實驗에서 根瘤의 무게는 1回刈取後 30%, 2 回刈取後 25%의 減少가 있었고
        4,000원
        177.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hizobium의 Nitrogenase 생성요인(生成要因)과 감염기작(感染機作)을 구명(究明)하고 배양세포(培養細胞)와 Rhizobia의 혼합배양(混合培養)에서 질양고정계(窒養固定係)를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황금(黃金), 남천(南川), D68-0099등(等) 세 품종(品種)을 조직배양(組織培養)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 형성능(形成能)은 배(胚)와 유근(幼根)에서는 양호(良好)하나 배축(胚軸)에서는 전혀 없었으며 2mg/ 2,4-D, 4mg/ NAA에서 가장 양호(良好)하고 2,4-D/Kinetin 조합농도(組合濃度)에서는 0.2mg(2,4-D)/과 0.05mg(Kinetin)/에서 가장 이상적(理想的)이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에는 2,4-D 2mg/와 2,4-D (0.2mg/)/Kinetin(0.05mg/)일 때가 가장 양호(良好)하며 R. japonicum 019, 011을 접종(接種)하였을때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은 상당히 둔화되었다. 단일(單一) 아미노산은 배양세포(培養細胞)의 성장(成長)을 저해(沮害) 하였는데 황금(黃金)의 경우 Methionine, Leucine에서 저해(沮害)가 가장 컷으며 다른 아미노산의 첨가(添加)로 저해작용(沮害作用)이 상당히 회복되었다. 부정근(不定根)의 생성(生成)은 2,4-D 2.0mg/에서나 0.2mg/ 2, 4-D/0.05mg/ Kinetin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세포(培養細胞)-Rhizobium의 친화(親和)에 의(依)한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25개(個) 사용(使用) 균주중(菌株中)에서 황금(黃金)에서는 10개(個) 균주(菌株), 남천(南川)에서는 7개(個) 균주(菌株)에서 나타났으며 D68-0099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황금(黃金)의 경우(境遇) 85-HG-1 019, 007, 남천(南川)에서는 007, 119등(等)이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4,000원
        178.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enzyme immobilization methods has been compared for immobilization of pepsin. Carboxymethyl cellulose and diethylaminoethyl cellulose were activated with Hcl and with NaOH, and were used for immobilization of pepsin. Sepharose-4B was activated cyanogen bromide, and was used for immobilization of pepsin. Porous glass beads were derivatized with 3-aminopropyitrlethoxysilane and with succinicanhydride, and were used for immobilization of pepsin. The results a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10 mg/gr. dry bead and 15mg/gr. dry bead of pepsin were absorbed to CM-cellulose and DEAE-cellulose, 20 mg/gr. dry bead and 27 mg/gr. dry bead were coupled to CM-cellulose and DEAE-cellulose with glutaraldehyde respectively. Enzyme yields were 22% and 24% of soluble pepsin. 2. 16 mg/gr. dry bead of pepsin was attached to cyanogen bromide activated sepharose-4B, 19mg/gr. dry bead was cross linked to the activated bead with glutaraldehyde. Immobilized enzyme activity was 23% of soluble pepsin. 3. 40 mg/gr. dry bead of pepsin was conjugated to the derivatized glass beads. Immobilized enzyme activity was 45% of soluble pepsin.
        4,000원
        179.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Alfalfa의 조단백질(粗蛋白質)은 채취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1회(回) 19.64%에서 4회(回) 12.37%로 낮아졌으며, 조섬유, CWC, Cellulose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Orchard grass도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회(回) 13.79%에서 2,3회(回) 12.97, 12.85%로 낮아졌으며 4회(回) 14.72%로 다소 상승하였다. 그밖에 조섬유, CWC는 채취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낮아졌으며 Cellulose는 시기에 다소
        4,000원
        180.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paration ratio was higher on the fxing soil than none fxing soil in the number of Nematodes.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