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37

        16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ling exercise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injuries, but research on the significant frequency intensity and appropriate treatment duration for sling exercises with local vibration stimulation is lacking.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with vibration on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muscle strength, pain, and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 medical diagnosis of shoulder joint injury. Methods: Twenty-two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Six sling exercises with and without 50 ㎐ vibrations were applied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Each exercise consisted of 3 sets of 5 repetitions performed for 6 weeks. The assessment tools used included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pain level, an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for functional disability. We conducted re-evaluations before and 3 and 6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chang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ROM of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F=3.652, p<.05). In both groups, w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external rotation angle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 (p<.05). The flexor strength of the shoulder joint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F=4.247, p<.05). Both the experiment (p<.01) and control groups (p<.05)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houlder flexor strength at the measurement points. After 6 weeks of the interventions, both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VAS (p<.01), SPADI (p<.01), and orthopedic tests (p<.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and the measurement point in terms of the clinical outcomes observed. Conclusion: The sling exercise with local vibration of 50 ㎐ affected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improved shoulder flexor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shoulder injuries. Therefore, we propose the use of the sling exercise intervention with vibration in the exercis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injuries.
        4,300원
        16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게임이용장애 대학생에 대한 감각자극 기반 미술치료 진단 및 개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검증된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생이 게임이용장애에 취약할 수 있으며, 좀 더 주목해야 할 대상군이다. 게임이용장애자들이 시각적 자극에 매우 민감하므로 그들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진단과 개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온라인 게임 중독자들은 감각에 통해 받아들인 게임 자극을 뇌에서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처리한다. 따라서 감각기반 개입방안들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기초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생 게임이용장애 원인을 바탕으로 한 진단과 개입을 위한 투사 그림검사는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성인애착과 나무그림, HTP(집-나무-사람), 우울과 발테그 그림검사(WZT), 대학생활 적응수준과 풍경구성기법(LMT), 가족건강성과 동적가족화(KFD),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빗속 사람 그림(PITR), 대인관계, 자아탄력성, 애착과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 자아탄력성과 좋아하는 날씨 그림(FKW), 우울 및 조증,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과 따는 사람 그림(PPAT), 우울 및 불안과 별-파도 그림(SWT)이었다.
        4,000원
        163.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장애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횡단적 자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가족의 행복에 대한 해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행복에 대해 종단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탐색적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를 둔 가족 유형별 분포와 종단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 과, 장애인 가구 유형은 단독가구(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15.5%p 증가)와 2세대(6.2%p감소)와 3세대(5.6%p감소)의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구유형별 행복 수준은 단독가구가 일관되게 행복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가족구성별 행복 수준은 초기 조부모의 행복 수준이 낮았으나 최근 가족구성원간 행복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그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사업이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4,500원
        164.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강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특성에 유의미 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는 연령, 학력, 근무기간이었으며, 직무소진의 변수에는 연령, 학력, 고용형태, 임파워먼트에는 연령, 학력, 근무기간, 직무 스트레스에는 월급여, 고용 형태, 학력, 일가치감에는 학력, 근무기간, 고용형태, 직무만족에는 연령, 월급여, 고용형태, 서비스 질은 연령, 고용형태, 월급여 등이었다. 따라서 장애인거주시설에 다음과 같이 요구되어 진다. 첫째, 종사자의 직무소진 및 직무 스트레스의 예방 및 대응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자들 이 직무환경요인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영 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직무소진, 임파워먼트, 직무 스트레스, 일가치감 등을 분석하여 종사자가 직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6,100원
        16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PAPS-D를 활용하여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건강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상자는 발달장애 판정을 받은 중고등부 학생 10명으로 구성 되었고 16주 동안 주2회 총32회 수업을 하였으며, 수업시간은 매 시간 60분으로 하였다. 건강 체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2016학년도 교육과학부에서 개발한 PAPS-D 프로그램으로서 비만도 측정을 제외한 심폐기능(6분 걷기), 유연성(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근 기능(윗몸 말아 올리기), 순발력(제자리 멀리뛰기)을 적용시켜 측정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한 검사 결과는 심폐기능과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연성과 근 기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변인 중 3개변인(심폐기능, 유연성, 근 기능)은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이 건강 체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의 변인(순발력)은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 검사에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된 3개 변인의 결과에 따라 결론적으로 발달장애 학생들의 인라인스케이트 프로그램 적용은 건강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6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운전지원센터 현황과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운전지원센터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서비스 인력 및 이용자 현황을 조사하고,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이용자 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SPSS 18.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대상자는 대부분 2종 보통 운전면허를 취득하고자 하였으나 운전면허 취득 후 바로 운전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많았는데, 그 이유는 직접 운전할 차량이 없거나 운전 실력이 부족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운전지원센터에 대한 정보는 주로 인터넷, 주변사람의 안내, 복지관, 홍보물을 통해 얻는 경우가 많았고, 의료기관, 보건소, 관공서, TV 등 대중매체를 통한 경우는 매우 적었다. 셋째, 운전교육 중 가장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은 주차와 사이드/룸미러로 주변 확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핸들 조작 및 기어변속, 차로유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운전지원센터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의 환경 및 서비스 항목 중에서는 지리적 접근성이 가장 만족도가 낮았고, 운전교육은 가장 높았다. 다섯째, 장애인운전지원센터 개선사항으로는 모든 시험장에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추가 설립, 장애인운전지원센터에 대한 홍보 강화, 장애인 운전자에 대한 혜택 안내, 운전면허 취득 후 교통안전교육 등 사후 지원 강화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인운전지원센터 현황조사 및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장애인운전지원센터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장애인운전지원센터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장애인 운전면허 취득 및 자가운전을 지원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해본다.
        4,800원
        168.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적장애아동은 낮은 지적능력으로 인해 주의집중력의 지속시간이 짧으며 정상적인 언어습득과 발달이 어렵다. 그러므로 사회성이 떨어지고 사람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지적장애아동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에는 동물을 통한 매개 활동이 있다. 동물은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언어능력을 향상 시키고, 인지발달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미숙한 아동에게 동물매개활동은 의사소통 및 자기표현 기술을 습득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물매개활동 프로그 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J도 I시 특수 장애 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14세에서 16세인 지적장애아동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주 1회, 8주간, 총 16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사전ㆍ사후 검사 도구로는 Harris & Harris(1984)의 집중력 격자판 검사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주의집중력과 수용·표현 어휘력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동물매개활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수용·표현 어휘력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시켜 주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4,600원
        169.
        2019.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사회의 안정, 교육의 기회균등 및 사회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생활수단인 휠체어 등 사용이 자신의 삶의 가치와 독립적인 이동을 위한 필수적인 활동보조기기는 일상생활과 이동에서 레저,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장애인의 욕구와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동권 수준에서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분석함으로서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권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 하기 위한 보조기기 등 기술적 방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4,000원
        17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보행이 가능한 편마비 장애인의 가정환경수정 중재 자료로 활용될 지침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조사는 모두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와 선행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조사도구를 만들어 실시하였으며, 4점 척도의 폐쇄형 질문을 사용하였다. 3차 조사는 본인의 의견에 대해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최소값 0.78점 미만 및 수렴도 0.50점 초과인 3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총 96개의 항목을 지침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각 항목의 내용을 요소로 나누었을 때, 기능적 지원성은 49개, 이동과 출입의 용이성은 34개, 접근성은 23개, 공간의 기능과 효율성은 9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지침은 가정환경수정 중재를 실시할 때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작업치료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5,100원
        17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하여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을 적용 하였을 때의 효과 입증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지관 이용 아동 중 연구 포함기준에 해당하는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각각 그룹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 감각 프로 파일, 아동용 일상생활활동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아동 모두 작업수행도, 만족도, 사회성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 영역에서 프로그램 이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 각처리능력의 변화에서는 프로그램 전과 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은 사회성 기술, 작업수행에서의 수행도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영 역의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700원
        172.
        2019.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말소리 낱말 위치, 조음 방법,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 변동 반응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G시에 거주하는 일반 아동 10명과 청각장애 10명의 아동을 선정하여 아동용 한국어 조음 검사를 실시하여 80%의 전체 자음정확도를 기준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적 음운 변동과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의 출현율을 비교하였고, 두 집단 간 자음정확도에 따른 발달적 음운 변동과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의 차이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음 정확도 비교는 조음 방법 중 마찰음에서 청각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음운 변동 비교에서 일반 아동은 긴장음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반면 청각장애아동 집단은 긴장음과 대립되는 이완 음화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집단 간 음운 변동 비교에서 일반 아동 집단이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반면, 청각장애 아동 집단은 초성 생략, 이완 음화, 성문 음화, 탈 비 음화 등의 비 발달적 음운 변동이 나타났으며, 청각장애아동 집단에서도 자음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4,200원
        17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hronic low back pain (CLBP) causes morphological changes in muscles, reduces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flexibility, negatively affects lumbar stability, and limits functional activity. Plank exercise strengthens core muscles, activates abdominal muscles, and improves intra-abdominal pressure to stabilize the trunk in patients with CLBP. Obje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k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LBP. Methods: We classified 33 subjects into 2 groups: An experimental (n1=17) and a control group (n2=16).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lank exercise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stretching exercise. Patients in both groups attended 20-minute exercise sessions thrice a week for 4 weeks.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each subject was evaluated ultrasonographically, and dis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Results: Four weeks later, abdominal muscle thicknes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ver baseline values in both groups (p<.0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5). ODI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Plank exercise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reduces disability secondary to mild CLBP. Therefore, plank exercise is needed to improve lumbar stability and functional activity in patients with mild CLBP.
        4,000원
        17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is characterized by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 jaw. TMD patients generally prefer to chew on the unaffected or less-affected side, and this tendency often results in asymmetries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range of mandibular motion.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symmetries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range of mandibular motion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ethods: Thirty-nin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MD group (n1=19) and a control group (n2=20). The jaw opening range and laterotrusion were measured using a digital vernier caliper.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was examined in both the resting state and the maximal clenching state using ultrasonography. The absolute asymmetry indices calculated based on the laterotrusion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of the respective right and left sides. A two-way ANOVA and a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t was found i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between the TMD and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bsolute asymmetry indices of mandibular laterotrusion between the TMD and control groups (p<.05). Furthermore, the ranges of jaw open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p<.05). The absolute asymmetry index values of masseter muscle thickness at rest and during maximal clenching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ubjects with TMD had a larger degree of asymmetry in laterotrusion than those without TMD. Therefore, a physiotherapy program needs to be designed to restore normal laterotrusion capacities for TMD subjects. These results also showed that female subjects had greater absolute asymmetry indices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than male subjects. Therefore, more training is needed to promote bilaterally balanced chewing among women.
        4,000원
        175.
        2019.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범불안장애의 지속에 관한 메커니즘들을 검토하여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각 메커니즘들은 범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회피하고자 하는 위협요인들과 범불안장애의 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의 영역은 전부 다르게 설명하고 있지만, 위협요인들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으로 대부분 걱정을 이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 메커니즘들은 걱정의 기능에 대한 이해는 달랐고, 걱정의 과도한 사용으로 불안을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불안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으로 범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치유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제 상담과 치유 현장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4,200원
        176.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ompared to healthy people,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have reduced balance abilities which may cause proprioception problems,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avoid physical activities due to pain, and reduced activity levels lead to muscle weakening, which can further exacerbate pain.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use of sensory stimulation; and among these studies, interventions that use vibrational stimulation have shown functional improvements in th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on the balance ability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person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5 subjects in each.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via a balance ability test,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test, a pain test, and a proprioceptive sensory test. Both groups received general physical 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general stabilization exercise,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the pain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balance ability test, the KODI test, and the proprioceptive sensory test. Conclusions: The stabilization exercise with vibration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greater functional improvements than the conventional intervention method. Therefore, the stabilization exercise in a vibration stimulation environment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4,000원
        177.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든 인간은 평생을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생애주기 속에서 학습하는 삶살이 존재이다. 특히, 심신의 불편함과 사회적 불평등을 넘어서야 만 하는 장애인에게 교육은 삶 그 자체일수 밖에 없다. 따라서 장애인 특수교육은 평생교육이자 평생복지로서 인간 존재의 생(生)과 명(命)을 존중하고 행복을 발현하는 미래 배움의 중핵이어야 한다. 이런 논지에서 고령화 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은 “관점의 대비”가 아니라 “관점의 넘어섬”을 추구함으로서 학령기 중심의 특수한 교육적 처치에서 장애 가능성을 지닌 모든 존재에 대한 관심과 이들의 평생 삶살이 전반에 걸친 보편적 인간중심의 준비여야 한다. 즉, 장애인의 전 생애별 주기를 고려한 복지와의 접점 속에서 학습을 넘어서서 진로와 생활, 여가 및 평생 삶살이를 구상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특수교육은 개인 능력의 유무 판정이 아니라, 서로 다른 능력 존재라는 인식기반 위에 인간 존중 실천학문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고령화시대에 모든 인간의 삶살이와 교육은 “살아있음에 기반하여 서로 다름에 대한 공감력 신장으로 소통의 사회화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그 동안 학령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던 장애인 특수교육은 학령기이후를 포함한 계속교육으로서 전 생애에 걸친 평생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령 장애인에 대한 복지의 이중적(노인/장애인) 접근, 실천 지향적 평생학습권 보장, 고용기회의 확대, 주거 공간 확보, 여가문화 참여기회 확장, 자연친화적 환경조성 등이 필요하다.
        6,000원
        17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pplied column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te and transport of silver nanoparticles(AgNPs) in fully saturated conditions of porous media. These colum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mphasize oxidation method with H2O2 concentration and acidic conditions. The mobility of AgNPs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ionic strength that the surface charge of AgNPs(zeta potential) was neutralized with the presence of positive ions of Na+. Additionally, it was also affected due to that not only more increased aggregated size of AgNPs and surface charge of quartz sand. The decreased breakthrough curves(BTCs) of bisphenol-A(BPA) and 17α-ethynylestradiol(EE2) were removed approximately 35.3 and 40%. This is due to that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EDCs) were removed with the release of OH․ radicals by the fenton-like mechanisms from acidic and fenton-like reagent presenting. This results considered that higher input AgNPs with acidic conditions is proved to realistic in-situ oxidation method. Overall,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a set of column experiments employed with adjusting pH and H2O2 concentration in proved to be effective method having potential ability of in-situ degradation for removing organic contaminants such as BPA and EE2.
        4,000원
        17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의 지속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만 7세 이상 13세 미만의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0분씩 8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와 놀이기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포함된 총 24가지 주제에 맞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의 사전․사후․추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적조사의 평균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고, 윌콕슨 순위검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추적조사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중재 이후 대상자들의 감각처리와 또래상호작용, 과제수행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4주후 실시한 추적조사에서 치료의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능력의 증진뿐만 아니라, 또래상호작용이 필요한 학령기 아동들에게 모방과 그룹 안에서의 연습을 제공하고, 일상생활까지 그 효과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다.
        4,800원
        18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보건복지부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도와 활용도를 조사하고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부산·경남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2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보조기기 인식도, 보조기기 활용도, 보조기기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구성되었고, 총 68문항이다. 결과 :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중 96.2%가 보조기기는 장애인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도움이 되는 일상생활영역에 대해서는 운동성과 이동하기 영역이 가장 높았고 컴퓨터사용 영역이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인식도에서는 기울어진 숟가락과 두꺼운 손잡이와 식사 보조기기가 가장 높은 반면, 시각 신호표시기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활용도에서는 욕창 예방용 방석 및 커버가 가장 높았고 시각 신호표시기와 음성유도장치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활용빈도에 관한 질문에는 ‘가끔 한다’가 67.4%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활용계획에 대해서는 ‘그렇다’라고 응답한 치료사가 77.3%로 가장 많았다. 보조기기 활용도 향상을 위해서는 43.2%가 기관의 재정적 지원, 32.6%가 보험수가 도입, 22.7%가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보조기기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32.6%와 65.2%가 각각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고, 교육유형으로는 38.9%가 전문 영역별 종사자 교육, 27.1%가 재활보조공학 관련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추후 재활보조공학에 관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