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6

        16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entrepreneurs’cooperative.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379 employees of entrepreneurs’cooperative in Kangwon-do province.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Also, intellectual stimul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proactiveness only. Second,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sales volume and employment increase, but intellectual stimula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ment increase only. Third, corporate entrepreneurship(risk-taking, proactiveness)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sales volume and employment increase. Fourth, corporate entrepreneurship(risk-taking, proactiveness)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But,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not mediating effect
        4,500원
        16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부모와 그 유아를 담당 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 코칭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칭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 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과 관계역량 영역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역량과 의식역량 및 성장역량은 상대적으로 설 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의사소통 및 관계역량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저비용의 코칭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기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한다. 본 연구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리고,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기 위해 코칭교육의 기회를 높이는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5,500원
        163.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이 도전하고 있는 “소비자 중심의 교회”를 만들어낸 산업시대 패러다임을 비평하고, 요한계시록의 어린양 리더십 을 통해 발견되는 “관계적” 리더십 신학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교적 교회론이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는 “소비자 중심의 교회”는 그 주요한 특성인 “거래적 방식”을 통해 교회의 본질을 성공적으로 파괴해 왔다. 소비자 중심의 교회는 로스트(Joseph C. Rost)가 파악한 산업시 대 패러다임의 연장선에 있으며 그 뿌리는 요한계시록 17장의 음녀의 특성을 관통하여 이사야 14장의 “아침의 아들 계명성”(14:12)으로 상징된 루스벨(Lucifer)의 정신까지 다다른다. 루스벨과 음녀는 둘 다 거래적 방식으로 리더십을 행사 또는 확보하고 있다. 선교적 교회론이 하나의 방법론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이라는 반복된 주장은 “음녀”로 상징된 타락한 교회를 향하여 “거기서 나”(계 18:4)오 라는 하늘의 외침과 일맥상통한다. 거래적 방식으로 지도력을 확보하고 힘과 권위를 행사하는 음녀의 활동은 요한계시록의 중심인 어린양의 리더십에 정면으로 대치된다. 상하계급구조(hierarchy) 속에서 더 높은 위치를 점하려는 루스벨의 태도는 기독교왕국(Christendom)으로 특징되는 교회역사의 정점마다 지도자들의 리더십을 통하여 때로는 노골적으로 때로는 교묘하게 드러났다. 그 결과 어린양의 이미지를 통해 십자가에서 계시되었던 하나님의 성품은 거래적 방식으로 우위를 점하려는 교회지도자들을 통해 심각하게 왜곡되었다.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어린양의 리더십은 세속적인 리더십과 근본적으로 출발점이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세속적 리더십 이론들이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어린양의 리더십은 삼위일체 하나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한 “사랑의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요한계시록은 관계 중심의 선교적 리더십이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종말론적 교회의 특징이 되어야 함을 계시한다.
        7,000원
        16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ees’ trust, perceived support from superio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s of locus of control. Using the Amos program, this study test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five hypotheses based on empirical data from 233 employee samples in coffee shop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ositive consideration and charisma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employees’ level of trust toward superiors and perceived support from superiors.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promot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Lastly,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locus of control showed that a lower level of extrinsic control and higher level of intrinsic control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eater receptiveness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findings in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significant factors of employee effectiveness influenc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coffee shop industr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4,000원
        16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조직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정부 조직도 생존과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창조적인 조직혁신에 적응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으며,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관리의 확대로 구성원 각자가 변화와 성장을 위해 구성원 개인의 자기 통제시스템을 자극하고 내재적 동기부여가 가능한 셀프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셀프리더십은 자기관리에 중점을 둔 개념으로 구성원 스스로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달성에 대한 보상을 스스로 정하는 등 개인적 자기통제를 통해 자신의 내재적 동기를 유발하여 개인적 효과성은 물론 조직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조직의 발전을 위한 셀프리더십 적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셀프리더십의 개념과 전략,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교정조직의 현황과 진단을 통해 교정조직의 셀프리더십 적용방안으로 첫째, 조직문화의 혁신, 둘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셋째, 셀프리더십 조직 내 확산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5,200원
        16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조직은 급속한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기술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 며, 조직구성원은 과거와는 달리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무쌍한 조직 환경에서 조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 방향을 경쟁 조직보다 먼저 예측하고 변화를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조직은 조직 내 핵심역량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은 조직구성원이다. 지속적인 변화를 강요 받는 시대에서 조직구성원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실행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은 현대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직무특성, 조직적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기반으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불러일으키 는 두 가지 요인에 집중한다. 첫째, 개인 스스로가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켜 자기 스스로에게 영향 력을 발휘하는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 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조직이 자원을 할당하거나 조직구성원에게 분배하는 과정상의 의사결정이 얼 마나 공정한가에 대한 구성원의 지각인 절차공정성에 의해 혁신행동이 유발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상호작용이 어떤 양상으로 혁신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개인적 특성과 공정성의 상호 작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가 불일치하는 점을 고려하여, 경쟁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셀프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셀프리더십이 높은 조직구성원이 낮은 조직구성원보다 혁신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절 차공정성은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조직의 절차공정성이 높다고 지각한 구성원이 그렇지 않은 조직구성원에 비해서 더 많은 혁신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 과 절차공정성의 상호작용은 혁신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셀프리더십과 절차공정성이 상호 작용을 하면서 시너지의 효과를 내기보다는 서로간의 효과를 보완 및 대체하는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미 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16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과 교사가 업무 및 학교생활을 통해 얻어지는 만족도와 학교조직과 학생 및 수업에 대한 애착의 정도를 나타내는 교사헌신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 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09부를 회수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 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일터영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은 소명의식을 제외하고는 교사만족 교사헌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터영성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수업 헌신 간에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만족 및 조직헌신 간에는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학교조직성과에 중요한 변인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학교장은 교 사의 일터영성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여 조직의 성과를 높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6,600원
        168.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근로자가 경험하는 직무정서를 중심으로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력과, 직무정서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그동안의 정서 연구는 정서의 유의성, 즉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그 러나 정서는 유의성 차원뿐 아니라 고양된 정도를 보여주는 활성화 차원에 의해 여러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서의 유의성과 활성화 차원을 고려하여 직무정서를 포괄적으로 구성하고 측정하였 다. 직무정서의 선행요인으로는 직속상사의 영향력을 대변해주는 변혁적 리더십을 채택하였고, 정서의 효 과성 변수로는 동기부여의 결과지표인 업무노력, 혁신성과의 지표인 창의행동, 그리고 부적 효과로서 조 직과 직무로부터의 이탈의도를 선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리 더의 비전제시는 작업장 내 긍정정서를 높임과 동시에 부정정서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정서와 효과성 변수와의 관계에서는 긍정정서가 업무노력과 창의행동을 유발시키고 이탈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부정정서는 업무노력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 사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169.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이 조직 혁신의 핵심인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과정에 내재된 메 커니즘의 일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창의성에 미치 는 진성 리더십의 정적 효과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심리적 안전의 매개역할과 구성원 향상초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공군 장교 상사-구성원 171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진성 리더십은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이 이 영향력 과정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진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을 높여주고 이로 인해 구성원의 창의성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안전과 창의성 간의 관계는 구성원의 향상초점이 높을수록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심리적 안전을 통한 진성 리더십의 간접효과는 구성원의 향상초점이 높을 때만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상사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 매우 중요하 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진성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매개 및 조절변수를 밝힘으로서 이론적 기여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5,500원
        17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Firstly,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leader trust, self efficacy, and creative behavior. Second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der trust, self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323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Ulsan, Gyeongju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leader trust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self efficacy. Thir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creative behavior.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trust and the self efficacy is positively related. Fif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 trust and the creative behavior. Six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 efficacy and the creative behavior. Finally, the leader trust and self efficacy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4,000원
        17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A시, P시, S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32명의 설문지를 t검정(t-test)과 분산분석(One-Way ANOVA),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는 연령, 결혼여 부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는 가 정어린이집의 보육교사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은 원장의 코칭리더십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을수록 보육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 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코칭리더십의 관계, 개발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평가 요인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6,000원
        17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년 12월 14일부터 18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국제나사렛 교단 아시아태평양지구(이하 아태지구)의 싱크탱크 모임이 최초로 개최 되었다. 당시 제기되었던 주요 이슈 중 하나가 아태지구에서의 리더십 위기였다. 즉, 일부 연회(district)에서 토착적 리더십으로의 위임 및 이양이 원만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연회에서 피라미드 모델(Pyramid Model)에 근거한 전근대적 권위주의 리더십이 만연하고 있다는 상황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중적 리더십 위기는 아태지구의 성장동력을 저해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 위기를 극복할 대안으로 성서적 충실성(biblical authenticity)과 현대적 적합성 (contemporary relevancy)을 겸비한 트리 모델(Tree Model)을 새로 운 리더십 패러다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리더와 팔로워(follower)의 관계가 수직적 상명하복인 전통적 피라 미드 모델과는 달리 트리 모델은 양자 간의 유기적 상호의존성과 수평적 파트너십을 전제하고 있는데, 이런 관점은 현대 리더십 이론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또한 군림과 권한독점 대신에 섬김(servanthood)과 권한부 여(empowerment)가 트리 모델에 본유적으로 내재하고 있는데, 이런 특징은 성서적 리더십 원리와 잘 부합된다. 이처럼 현대적 적합성과 성서적 충실성을 지닌 트리 모델을 통해 리더십에 관한 인식론적 전환이 아태지구에 확산되면 현재의 리더십 위기 상황이 극복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리 모델의 권한부여적 속성은 토착적 리더십으로의 위임 및 이양에, 섬김과 파트너십의 수평적 특성은 전근대 적 권위주의 리더십 타파에 각각 기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아태지구의 성장 동력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6,400원
        17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리더십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최근 리더십 분야의 연구들은 변혁적 리더십이 개념적으로 두 가지 차원의 집단지향적 및 개인지향적 변혁적 리 더십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해서도 그 효과성의 차이를 입증해왔다. 하지만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이를 살펴보는 연구들은 아직까지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 단지향적 및 개인지향적 변혁적 리더십이 한국과 일본 종업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Ralston과 그의 동료들(1997)이 주장한 크로스버전스 이론에 따르면 민족문화와 경제적 환경은 개인의 문화적 가치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의 문화적 가치는 자신이 선호하는 리더십 스타일을 결정한다.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유교문화권에 속하면서 도 경제적 환경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두 국가 간 리더십 효과성 차이에 주목하 는 것은 비교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예상한 바와 같이 한국과 일본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국가에서 집단지향적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은 정의 관계를 가지기는 했지 만 그 효과성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국에서 개인지향적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은 정의 관계를 보였지만 일본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상황적 보상 리더십 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상황적 보상 리더십은 집단지향적 및 개인지향적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 상반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지만 그 효과는 한국에서만 유의하였다. 한국에서 상황적 보상 리더십 은 집단지향적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는 강화시키는 반면 개인지향적 변혁적 리더 십과 조직몰입의 정의 관계는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결과는 국제경영관리 관점에 서 효과적인 리더십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7,800원
        174.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cording to industry reports, a CEO’s strong social presence has a tremendous impact on the company’s reputation and their own image. However, despite being considered as digital influencers, most C-suite leaders fail to establish their own personal brand online. This under-development leads to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CEOs currently doing with their social media and why are CEOs (not) using social media? Interviewing 16 Dutch CEOs,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leadership style (transactional or transformational) and leaders' perception of narcissism in online impression management on CEOs’ social media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se relationships, the research further clarifies CEOs’ leadership communication strategies on social media and establishes the drivers and barriers for social media engagement to pave the ways for interested social CEOs. The results suggest that leadership styles may detect the content strategies and motivations of social media usage. The activity level, however, is determined by the perceptions of self-image and degree of a narcissistic impression on using social media. With this finding, we propose CEO social media activities can be typified into four categories: thought leader, storyteller, professional networker and selective performer. Transformational leaders tend to emphasize on being accessible and transparent to their audience. When they are positive about being narcissistic on social media, they are more likely to be a storyteller where they strive for charismatic and authentic content building. Conversely, a more reserved transformational leader would be a selective performer where they only publicize their stories in front of a selected group of audience, mostly through internal platforms. On the other hand, transactional leaders tend to focus on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in using social media. The ones who see the benefits of social media and are confident in sharing their own ideas tend to be thought leaders among their professional networks. On the contrary, the reserved transactional leaders rather using social media to connect with their professional network to obtain information than broadcasting their own voices. The study provides insights in how CEOs formulate their leadership communication online; further research should continue exploring the impact of various strategies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stakeholder engagement.
        175.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firm’s new product success is mainly determined by how well it is accepted by the mass in a short time. Although companies have been adopting various marketing methods, word-of-mouth [WOM]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customer acquisition (Villanueva, Yoo & Hanssens, 2008), primarily due to its reliability, social support, and support by social pressure and surveillance as Arndt (1967) has suggested (as cited in Woodside and Delozier, 1976). Moreover, online word-of-mouth is being given new significance alongside the advent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Twitter, blogs, and other online channels (Berger and Iyengar, 2013; Dellarocase, 2003; Schafer & Taddicken, 2015). For this reason, researchers have paid a close attention to opinion leaders, who are not only early adopters of innovation themselves (Goldsmith & Witt, 2003), but also information transmitters and influencers (Vernette, 2004).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oth online and offline opinion leaders, who could adopt new products first, and diffuse the adoption of new products to others. Thus, this study draws upon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conceptualized by Rogers (1995). According to Rogers (1995), innovation is defined as an individual’s or an organization’s perception of an idea as new. In addition, he articulates that if an innovation is transferred through certain communication channels over time within a social system by its members, diffusion occurs (Rogers, 1995; Rogers, 2002).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termediary role of opinion leadership as a quintessential link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consumer innovativeness and lifestyle and values) and new product adoption behavior. The research data is collected through survey, which i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a group of users of Apple Watch by Apple, Mi band by Xiaomi, and the products by Fitbit. The model of the study will be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s not only regular opinion leadership in offline context, but also online opinion leadership in order to go with the tide of the developing online world. Moreover, this study selects wearable technology as a new product category, which makes the overall research highly fashion-oriented.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of product categ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s and values and opinion leadership. The author anticipates that fashion innovativeness and four lifestyle and values factors (sense of accomplishment, self-fulfillment, excitement, and fun and enjoyment) will positively affect online and offline opinion leaderships, which again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new product adoption behavior. Moreover,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s and values and involvement of product category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online and offline opinion leaderships and new product adoption behavior. This study may contribute both to the academia and to the managers within businesses that deal with wearable devices. Theoretically, this study is of particular value in that it adopts consumers’ lifestyles and values as predictors of opinion leadership and new product adoption behavior, which is an uncommon approach within existing research streams regarding opinion leadership and new product acquisition. In managerial terms, by revealing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both offline and online opinion leaderships who are the potential customers of new products, this study enables the managers to identify their targets and differentiate their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s. In particular, since this study adopted several wearable technologies as new products, businesses that deal with wearable devices may pay close attention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manipulate their marketing strategies in adequate terms.
        176.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n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on safety performance in bulk shipping compani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322 respondents working in dry bulk carriers was us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s (i.e. transformational, passive management, and contingent reward) on safety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national culture dimensions such as power distance, uncertainty avoidance, collectivism, and long-term orien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behaviour. Long-term orient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attitude, whereas masculin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safety attitude of seafarers.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attitude and safety behaviour of seafarers. Moreover, practical implication from the research findings to improve ship safety in dry bulk shipping were discussed.
        4,500원
        17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가 일터에서 느끼는 영성(workplace spirituality)과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교사학생 친밀감 및 교사가 학교조직과 학생 및 수업에 대한 애착 의 정도를 나타내는 교사헌신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교 및 기독교대안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409부를 회수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일터영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은 교사학생 친밀감과 교사헌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터영성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학생 친밀감 간에는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헌신 간에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터영성이 학교조직에서 처음으로 실증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조직에 서 교사의 일터영성은 조직성과 변인인 교사학생 친밀감과 교사헌신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교장은 교사의 일터영성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5,200원
        17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general surveys on factors related to Leadership. However, less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game using pattern, psychology factor. This study sought to clarify several of these relationships. Using data from a survey of 1800 adolescent game users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logical factor(Extraversion, Social Intelligence, Self Esteem, Self Control), game using pattern(Game Time, Online Community, Game Norm, Game Efficacy, Game Leadership) and demographic variables(Age and Gender). Results showed that Extraversion, Social Intelligence, Self Esteem, Self Control(psychological factor), Game Leadership(game using pattern) Use increase Leadership. while Game Time(psychological factor) decrease Leadership. And Game Time, Online Community, Game Norm, Game Efficacy(game using pattern), Social Intelligence(psychological factor) Use increase Game Leadership.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4,000원
        180.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examines how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contributed to explaining innovative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298 individuals in employe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t Jinju, Changwon, Gimhae, Busan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innovative behavior.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innovative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Finally,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cluding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