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1.
        202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 scholars argue that after the Yuan and Ming dynasties,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 "Dai"(埭) gradually diminished in real life, and the character itself slowly faded from people's view. In modern life, people may occasionally encounter the character "Dai"(埭) in some ancient place names or modern place names that inherit ancient traditions. Others suggest that the use of "Dai" (埭) in place names in Wenzhou, Zhejiang Province, is influenced by the Min dialect. However, this paper holds a different view. In fact, in the provinces and cities south of the Yangtze River, including Zhejiang, Shanghai, Jiangsu, Anhui, and Fujian, the character "Dai"(埭) is very common as a place name, with a higher frequency of use compared to its function as a water conservancy facility. It is by no means "occasional." As a frequently used place name, including in Fujian, it has not faded from people's view at all. Through diachronic examination,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 "Dai"(埭) has been used as a place name at least since before the Tang Dynasty and has never been (埭) interrupted. It was not only used as a place name after the Yuan and Ming dynasties. The toponymic use of 'Dai' (埭) across Zhejiang, Shanghai, Jiangsu, Anhui, and Fujian can be regarded as a vestige of ancient Chinese linguistic heritage. Many dictionaries, including some well-known ones, have not included the meaning of "place name character" for "Dai," which seems inappropriate. These dictionaries have included the dialectal usage of "Dai"(埭) as a measure word but have overlooked its dialectal place name usage, which is a case of "focusing on one thing while neglecting another."
        6,600원
        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istorical local chronicles of Chongqing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s well as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valued both history and geography while also emphasizing humanities. The generic toponym characters best indicate the geographical type to which individual toponym belongs, and accommodates the changes in na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west region in China. The Grand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is an authoritative large-scale Chinese language dictionary, serving as a bridge between national language norms and the reality of people’s spoken language. It focuses on reflecting the origin, evolution, and actual usage of toponymic characters, but has quite limited absorption and utilization of toponymic materials from local chronic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exicological value of local chronicles, this article uses the historical local chronicles of Chongqing to supplement the pronunciation, explaination, use cases, and inter-character relationships of the generic toponym characters compiled in The Grand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5,5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세기 동안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던 영국은 해도 제작에 있어 가장 앞선 나라 중 하나였으며, 19세기 중반부터는 영국 수로국 제작 해도가 세계 표준해도로 인정받았다. 영국 해도상에 한반도와 주변 바다는 1855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였고, 해를 거듭하면서 점차 기재 정보가 확충되어 갔다. 이 연구는 1876년부터 1907년 까지 작성된 영국 해도 2347번에 나타난 한반도 해안선의 변화 및 지명 기재 양상을 1876년, 1885년, 1891년, 1907년에 작성된 총 4개의 해도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안선의 경우 1876년의 경우 평안도, 황해도, 전라도 등 서해안에서 집중적으로 변경되었고, 1885년의 경우 동해안 해안선이 동쪽으로 이동한 점, 1891년의 경우 전라도 및 충청도 해안에서 많은 변화가 확인되었다. 1907년에 이르러서는 해안선 이 현재의 해안선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여 완성 단계에 이르렀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한반도 및 주변 바다에 기재된 지명의 경우 기재된 지명의 개수가 1876년에 341개, 1885년에 415개, 1891년에 431개, 1907년에 244개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도인 까닭에 해안 지형과 관련되는 자연지명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인문지명의 비중도 적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907년 해도가 완성단계에 이르러서는 인문지명이 대폭 감소한 점 또한 특이점으로 확인되었다.
        4,6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동해 표기에 관한 학술 논의의 역사와 내용을 정리하여 평가하고, 새로운 지명 사용의 환경 변화에 비추어 향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를 제안하는 목적을 갖는다. 지난 30년의 학술 논의가 가져온 가장 큰 성과는 동해 표기 분쟁을 국제사회에 인식시키고 분쟁의 해결이 필요함을 사회정의, 평화, 인권 등 인류 보편가치의 담론으로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 해법으로서 두 이름을 함께 쓰는 방법의 가능성과 혜택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분쟁지명 해결에 기여할 잠재력 증진, 문화적 가치 존중과 사회변화에 대한 요구, 영향력 있는 MZ세대의 등장, 지구적 환경에 대한 관심사 증가 등에 주목하였고, 각 변화의 단면을 고려하는 연구 주제가 제안되었다. 향후 연구의 지향점은 모든 세대가 수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명 사용의 요소로 정리된다.
        4,500원
        5.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aims to identify place names in illustration titles in John Nieuhoff’s An Embassy from the East-India Company of the United Provinces, to the Grand Tartar Cham Emperour of China (English in 1669, Dutch in 1665). Nieuhoff’s text was very popular with the 17th century European public. After its first publication in Dutch it was translated into French, German, Latin and English and reprinted fourteen times in many European countries. In particular, his illustrations were highly appreciated because they provided realistic and vivid images of China to Europeans at a time when there had been little information about China. I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ever for Chinese style in Europe in the 18th century. Nieuhoff’s illustrations were frequently applied to everyday painted objects such as furniture, screens, wallpaper, textiles, and dishes. About 80% of illustrations present scenery in the area where the Dutch embassy anchored or passed by on their journey from Guangdong to Beijing. However, the place names which were transliterated into Dutch and other European languages are a major obstacle for following Nieuhoff’s travelogue. It is not easy to infer the Chinese regional names from either the Dutch or the English text. Therefore, the paper identifies Chinese regions in the text by mainly comparing Nieuhoff’s information and transliteration with Martino Martini’s Novus Atlas Sinensis (1655).
        6,000원
        6.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인명과 지명을 의미하는 단어가 한자음과 원지음으로 표기되는 양상과 용법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인명이나 지명을 의미하는 두 가지 표기 단어가 동의어가 아니라 유의어라고 가정하고 한자음 표기 단어와 원지음 표기 단어의 차이와 언어학적 레지스터를 밝히기 위하여 두 가지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한자음 표기와 원지음 표기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말뭉치와 소셜미디어 등에서 단어가 출현하거나 검색되는 빈도를 조사하였다. 빈도의 측정 결과 1986년 이후 현행 외래어표기법에서는 중국의 고유명사를 중국 현지음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시하였지만, 매체의 특성이나 텍스트의 성격에 따라서 이전과 마찬가지로 한자음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적은 않았다. 둘째, 말뭉치로부터 한자음 표기 단어와 원지음 표기 단어가 출현하는 문장들을 추출하고, 용례 문장에 포함된 명사들로 구성된 텍스트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텍스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명사들의 연결중심성과 하위집단을 분석한 결과 한자음 표기 단어가 사용되는 문맥과 원지음 표기 단어가 사용되는 문맥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7,700원
        7.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2년 개최된 유엔지명표준화총회 이후 ‘동해’ 지명 표기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동해 표기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다수의 논문과 책자가 발간되었다. 하지만 ‘Japan Sea’로 표시된 해역의 범위에 관해서는 정작 관심이 적은 편으로 제주도 서단과 진도 앞바다를 연결하는 선부터 부산 앞바다에 이르는 대한해협 해역까지도 포함하고 있음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2002년 회람된 IHO S-23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초안에 첨부된 지도를 분석하였다. 1~3판과는 달리 1986년과 2002년 초안에는 바다지명에 계층이 도입되어 있다. 대한해협이 ‘Japan Sea’에 포함되어 있음을 새로이 인식하고 그 배경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하다. 1905년 러·일 전쟁 중에 작성된 조선해협 경계 작전도의 경계선과 유사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일본해의 일부로 대한해협이 포함되기 시작한 배경에 대한 가설은 러·일 전쟁 후 일본군부가 대한해협의 승리를 일본해 해전의 승리로 선전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추후 근대 일본 사료와 IHO의 문서들에 대한 사료검토를 통해 가설이 확실하게 증명된다면 동해・일본해 표기 문제에서도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300원
        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학을 연구하는 중에 문헌 속에서 종종 지명을 마주하게 되는데, 특히 역사적인 지명 (historical place-name)은 낯선 경우가 많다. 한편, 설사 문헌 속의 지명이 자신이 알고 있는 현대의 지명과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그 곳이 과연 정말 현대의 지명에 해당하는 곳이라고 확언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시간이 흐르면서 지명이 바뀐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이다. 이에 문헌 속의 지명이 현대의 지명에 해당하는 곳과 같은 지를 확인하여야 하고, 다른 곳이라면 그 위치가 어딘지를 가능한 한 정확하게 확인하고 지도 에서도 위치를 찾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문헌목록은 중국학을 연구하는 중에 마주하는 지명과 장소의 기초적인 확인을 위한 공구서, 역사적 지명과 위치 확인을 위한 중국의 역사지도, 지도의 역사적 연구, 도시와 지방의 지리와 역사 등을 기록한 문헌 및 지방지, 역대 역사서의 지명색인, 현대의 중국지도 및 중국문헌 속의 외국지명과 연구물 등을 순서로 하여 선정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 해제를 보탠 것이다. 이 목록을 통해 중국학 연구를 위해 필요한 참고문헌목록으로 학술정보를 열람하고 확인하기에 편리한 도움을 제공하면서 학문적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4,300원
        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반도 연안 측량이 최초로 이루어진 1787년부터 국권피탈이 일어난 1910년 이전까지 한반도 인근 해역을 측량한 서양 국가가 해양지형을 인식하고 지명을 명명한 특성을 고유지명의 특징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에서 간행한 항해기 11권, 측량 보고서 5권, 해도 45점, 지명집 3권을 수집해 한반도 연안 해양 측량의 시·공간적 특색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들로부터 118개의 해양지명을 추출하고 유래를 조사하여, 지명 명명 유형을 묘사, 감정평, 차용, 기념(인물, 선박, 일반명사) 등 크게 4개 유형으로 나누어 국가별·시기별 명명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반도 연안 해양 측량은 1787년 프랑스를 시작으로 영국, 미국, 러시아에 의해 활발하게 이뤄졌다. 해안별로 살펴보면 동해안의 경우 러시아에 의해 상세한 탐사가 이루어졌으며, 남해안은 영국을 중심으로, 서해안은 프랑스·영국·미국 등 여러 국가에 의해 측량되었다. 둘째, 명명 유형의 경우 인물과 선박을 기념하는 사례가 각각 46개(39%), 25개(21%)로 주요 명명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묘사 15개(13%), 차용 13개(11%), 일반명사 기념 9개(8%), 감정평 유형 5개(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양 국가는 지명 명명에 있어 기념 유형을 선호하며, 특히 러시아와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와 비교하면 기념 유형을 이용한 지명 명명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강화도 조약 이전 시기에서 강화도 조약 이후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영국과 러시아는 해양지명의 명명 사례 수가 증가하는 경향인 반면, 프랑스, 미국은 지명의 명명 사례 수가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6,000원
        1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중국 지명과 인명을 어떻게 표기하고 읽는지에 대해서 한자문명의 공통자산으로서 한자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일본어 안에는 음성언어가 한자를 중심으로 한 문자언어와 상호보완적인 의존관계에 있음을 확인한다. 그리고 한자가 일본어 안에서 시니피앙(signifiant)으로서 갖는 위상과 기능을 검토하고 그것이 중국 고유명사를 어떻게 적고 읽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와 직결됨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근대 이후 일본에서 중국의 인명과 지명을 어떻게 표기하였으며 그것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하는 역사적 경위를 살펴본다. 또한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 안의 서로 다른 언어권 간에 지명과 인명을 차용할 때에 한자음을 취할 것인가 현지음을 취할 것인가라는 문제의 성질에 대해서도 고민해 본다.
        5,100원
        1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지명 및 인문지명과 관련된 도시철도 역명의 부적합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과 명명 유연 대상의 도상(圖上) 직선거리를 주요 기준으로 삼았으나, 산·천의 고유 특성, 인접역 관련성, 포섭 여부 등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지명 관련 역명은 50개 중 28개(56.0%)가 부적합하였는데, 산과 하천 관련 역명이 대부분이었다. 인문지명 관련 역명은 341개 중 83개 (24.3%)가 부적합하였다. 인문지명 관련 부적합 비율을 세부적으로 보면, 유물·유적 관련 역명의 21.7%, 교육·연구 시설 관련 역명의 47.9%, 문화·체육·관광 시설 관련 역명의 15.8%, 교통 관련 역명의 10.2%, 관공서 관련 역명의 9.1%, 공공시설 중 기타 시설 관련 역명의 29.4%, 민간시설 관련 역명의 35.9%가 부적합하였다. 도시철도 역명의 제·개정 시 본고에서 밝힌 문제점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부적합 역명의 비율을 감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5,800원
        1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동해 수역의 표기를 중심으로 하여, 두 개 지명 사용의 본질, 유형, 필요성, 방법, 그리고 실행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두 개 지명 사용(또는 병기)의 정의와 그 관행이 발생하는 배경을 검토한 후, 두 지명 사용이 어떤 동기에 의해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였다. 어떤 지명을 폐기하고 다른 지명을 쓰자고 주장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서 지명에 담긴 여러 다른 정체성을 존중한다는 점, 두 이름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편적인 인류의 가치를 실현한다는 점, 두 이름이 사용되는 사례가 이미 존재하는 현실을 반영한다는 점, 다언어 지역에서 하나의 규칙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 주요 동기인 것으로 확인된다. 두 이름 사용의 방법에 대해서는 각 이름에 주어지는 상대적 위상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방법이 지명 사용의 당사자에게 어느 정도 수용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두 이름 사용의 장애물에 대한 대응, 두 이름 사용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그리고 두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각 당사국과 국제사회가 받게 될 혜택 등에 대해서는 향후 심도 깊은 토론이 필요하다.
        4,200원
        1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s the mountain place name characters of the "Shuo wen jie zi", including eleven ancient Chinese characters: "Nao(峱), Yi(嶧), Yu(嵎), Yi(嶷), Min( ), Ji( ), Jie(巀), Xue(嶭), Hua(華), Guo(崞), Yang(崵)". Those characters are all from the same radical of the "San"—mean about mountain on "Shuo wen jie zi", and neighbor in the "San" radical. Mountain place name characters in "Shuo wen jie zi", the character structure all added a radical "San", making it become a synthetic character. However, ancient Chinese geographical literature, the mountain place name not necessarily have the radical "San".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mountain place name characters of the "Shuo wen jie zi", research on structural principle related and the use cases on ancient literatures.
        4,000원
        1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05년 을사늑약 전후에 저술된 현채 일가의 지리교재를 분석하여 그들의 동해 지명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까지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를 북해로 불러왔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1905년 러일전쟁 이후 이 바다에 대한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외래지명 일본해가 공식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나아가 일본해는 을사늑약 이후 한국에서도 통감부의 관여로 공립 보통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당시 한국의 민간 지리교과서 집필자들은 일본해 지명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특히 현채와 그의 아들 현공렴은 을사늑약 이후에 지리교과서, 지도, 지도집을 완성하면서 일본해에 대한 자주적 입장에서 동해 또는 대한해를 사용하거나 최소한 대한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했다. 하지만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는 공 ․사립학교를 불문하고 모든 지리교과서와 지도에 이 바다의 명칭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본해로 통일되었다.
        5,100원
        1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포지방은 삽교천의 서안 지역으로서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월경지가 분포하였고, 전국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1914년에 대대적으로 행정구역이 통폐합되었다.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많은 지명이 소멸되었지만, 내포지방의 독특한 지역성 때문에 옛 면천군 지역인 당진시 동부 지역에는 다른 지역과 달리 특이한 유형의 화석지명들이 공존하게 되었다. 조사 결과 월경지와 관련된 사례로는 홍주 북창, 홍주 청금, 덕산촌, 비방구지 등이 확인되었고,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된 사례로는 버그내(범천), 창택, 가화, 덕머리(덕두), 승선, 손골(손동) 등이 확인되었다. 점점 사라져가는 옛 지명을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관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5,800원
        16.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대 유럽 지도에 나타난 한국 관련 지리정보는 중국이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를 발간하고 이 지도가 당빌에 의해유럽에 번역‧소개되면서 질적·양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18세기말부터 프랑스, 영국 및 러시아 등에 의한 해안 및 수로조사결과가 반영되면서 한반도 모양을 비롯한 지리정보의 양과 질이 풍부해지는 계기가 된다. 특히 서양 탐사선에 의한 해안선 및도서지역 탐사는 선박의 국적에 따라 그 나라 언어로 지명을 부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에 중국어 발음으로 표기되던 우리나라와 관련된 지명은 김대건 신부에 의해 한국어 발음의 프랑스어로 제작된 「조선전도」가 유럽으로 전파된 시점을 기해각국의 지도에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1872년의 스틸러의 지도에서 대부분 우리나라 발음으로 지명이 표기된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식 표현의 확산은 일본주재 외교관이었던 어네스트 사토우와 「한반도 산맥도」를 저술한 고토분지로의역할이 컸던 것으로 확인된다.
        4,500원
        1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표기는 지도상의 표식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치적, 역사적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종합적인 지리적 형체이다. 동해 표기는 지도에서 지명이 지니는 지리적 가치와 함께 공동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지명의 공유 차원과도 연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동해 해역의 지명 병기를 위한 논리적 접근의 시작을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은 동해 병기에 있어 지명 표준화와 지명 통일화에 대해 다양성과 차이성을 반영하는 다지명주의 관점의 1객체 다지명 원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전자지도에서는 종이 지도와 달리 다양한 축척에서의 지명 표기와 병기가 가능한 만큼 다지명 원칙과 근거는 전자지도상의 지명 표기와 병기의 근거로도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지명 병기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은 공식적인 하나의 표준 지명을 지향하는 지명 표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조정하거나 해결하는데 적용되는 대안적 시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동해 해역의 지명 병기에 있어 토착 지명과 복수 지명에 대한 입체적 위상 관계의 연구가 활발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4,300원
        1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of place name changes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inguistics. The place name change factors were diachronically review by not differentiating their corresponding period from ancient time to modern times. Generally, China’s place naming has two principles – physical geographical factors, and human geographical factors. In this study, the human geographical factors were mainly looked at by dividing them further into political diplomatic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First of all, as for political diplomatic factors, the country has been through name changes during Cultural Revolution, due to ethnic minority policies and due to foreign relationship, military activity and migration. Secondly, sociocultural factor were found to be place name changes to avoid taboo language, to seek sophisticated naming, caused by contact with different peoples and due to historic and cultural preservation.
        5,800원
        20.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명의 중요성과 필요성의 증대로 인해 우리나라 지명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관리를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다. 하지만 구축된 지명 데이터베이스의 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지명으로 인한 국가 간의 논쟁과 해외 주요 웹 사이트의 오류 지명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 주요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기반 지명 서비스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히 다국어 환경을 고려한 지명 서비스에 대한 구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각 서비스를 살펴본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관리, 사용자의 편의성, 서비스의 확장성이 효과적인 지명 서비스를 위한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런 서비스를 실지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여건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4,6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