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과 효소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iromyces communis 곰팡이를 이용하여 in vitro 발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Ⅰ과 Ⅱ의 대조구에는 지방산을 첨가하지 않았고, 처리구는 시험Ⅰ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를 첨가하였고, 실험 Ⅱ에서는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를 첨가하였다. 두 실험 모두 39℃에서 7일간 (2, 3, 4, 6 및 7일) 실시되었다. 시험 Ⅰ의 가스발생량은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H2가스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시험 Ⅱ의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 2일에서 6일까지의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해 높았지만 이후에는 낮았다. 수소가스 생성비율은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 가장 많았고 linolenic acid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시험 Ⅰ의 pH는 6.63에서 5.85로, 시험 Ⅱ에서는 6.59에서 5.40으로 낮아졌다. Carboxymethylcellulase 활력은 발효시간(day)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arachidonic acid 첨가구의 증가폭이 컸다. 본 실험의 결과는 반추동물의 사료에 불포화지방산을 첨가하면 반추위곰팡이가 생성하는 수소를 불포화 지방산이 이용하여 메탄생성 억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NA marker related to health index which is derived from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meat. We investigated a genetic association between two SNPs (-867G>C and 878C>T) of SCD gene and health indexes. Two health index values (index of atherogenicity and index of thrombogenicity) were derived from a comb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Phenotypic correlation indicated that oleic acid (C18:1)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index of atherogenicity (-0.84) and index of thrombogenicity (-0.91),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878T>C S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A (index of atherogenicity, p=0.012) and IT (index of thrombogenicity, p=0.006).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regulatory SNPs (-867G>C and -877Gdel) and health indexes. Haplotype analysis detected 4 main haplotype (GdelT; 0.004, GdelC; 0.344, CGT; 0.350 and CGC; 0.261) in Hanwoo. The GdelT haplotype was significant on IA and IT. The effect of GdelT haplotype showed increasing IA and IT values, while GdelC haplotype has a decreasing IA and IT value in Hanwoo. In conclusion, the 878C>T SNP in the SCD gene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is health index and might be implemented into animal breeding program.
냉동 검은밀복어 10개체를 반 해동상태에서 근육, 껍질, 간장 및 내장으로 분리하여 독성검사와 총지질량을 구하였고 TLC로 조성을 조사하였다. Silicic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간유로부터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을 분리하였으며 중성지질중의 DHA 및 EPA함량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검은밀복어의 총지질 함량은 간장 29.34∼36.54, 내장 4.95∼6.11, 껍질 1.12∼1.60 및 근육 0.23∼0.38%로 나타났고, TLC 분석 결과 다양한 지질성분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에서 triglyceride가 가장 많았다. 지질 함량이 가장 높은 간장 부위의 총지질의 지방산은 주로 palmitic acid(16:0), palmitoleic acid(16:1),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EPA(20:6) 및 DHA(22:1)이었다.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0.84)은 높았고, DHA와 EPA의 함량은 각각 15.99와 3.04%였다. 간유 중의 중성지질 95.46, 당지질 1.45 및 인지질 3.09%의 함량인데, 이 중 가장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중성지질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16:0),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EPA(20:5) 및 DHA(22:6)로 나타났다. 그 중의 DHA와 EPA함량 비율은 각각 16.62와 2.41%로 나타났다. 한편, 간장내의 지질 추출 전과 후에 대한 독성치는 모두 무독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Ω-3 fatty acid, linlenic acid, EPA, DHA on serum lipid and cytokines of male rats(Sprague-Dawley). Animals of 3 groups were administrated perilla oil, salmoon oil, and tuna oil of 0.4 ml/day for 8 weeks respectively. These oils were used for a source of linolenic acid, EPA and DHA.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s significantly body weight, serum PGE2 content and serum cytokines content of the rat, and increases internal organs weight, specially liver weight and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the rat. In the results, authors propose to use perilla oil for source of effective Ω-3 poly-unsaturated fatty acid(linolenic acid) to Prevent cardiovascular and immune diseases.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된 흰쥐 골격근에서 n-3 다불포화지방산이 당수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5주간의 식이에 의한 각군간의 유의한 체중 변화는 없었다. 5주간의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혈당은 정상식이군의 83mg/dl에 비하여 94mg/dl로 13% 더 증가하였다(p<0.05). n-3 다불포화지방산에 의하여서는 혈당의 유의적 감소는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였다. 혈장 인슐린은 정상식이군의 11.6U/ml에 비하여 고지방식이군은 32.4U/ml로 높았으며(p<0.01), n-3 다불포화지방산에 의하여 28.7U/ml로 감소하였다(p<0.01). 가자미근의 당수송은 시험관 실험에서 고지방식이군이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기초상태 뿐만아니라 인슐린 1, 10, 100nM에서도 현저히 감소하여(p<0.01) 인슐린 감수성과 반응도 모두 감소한 인슐린 저항성을 보여 주었다. 고지방식이군에 n-3 다불포화지방산의 첨가시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기초상태, 인슐린 1, 10, 100nM에서 유의하게(p<0.01) 증가하였으나 정상군의 그것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5주간의 고지방식이시 당수송에 장애와 골격근의 인슐린 저항성이 발견되었으며, 고지방식이에 n-3 다불포화지방산의 첨가에 의해서 골격근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가 억제되므로 고지방식이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은 n-3 다불포화지방산이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후 17주된 Sprague Dawley종 수컷쥐에게 식이지방량이 총섭취 열량의 40%인 고지방 식이시 n6 linoleic acid, n3 EPA와 DHA 지방산을 충분한 양의 tocopherol과 한께 6주간 투여하였을 때 이들 지방산이 plasma와 RBC, 간조직의 tocopherol, MDA함량과 간의 SOD, GSH-Px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lasma tocopherol은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감소되었으나 plasma MDA는 식이 지방산 종류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RBC MDA는 n6 LA에 비해 n3 LL와 EPA + DHA에 의해 증가되었고 RBC hemolysis도 증가되었다 간과 RBC의 tocopherol 함량은 식이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영향이 없없으나 MDA함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SOD와 GSH-Px활성은 식이 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높을수록 모두 증가되었으나 GSH-Px는 SOD에 비하여 식이지방산에 의한 영향이 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지방 식이를 할 경우 SOD와 GSH-Px 활성이 높아져도 RBC와 간조직의 MDA는 오히려 증가되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막아주지 못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동물성 식품의 계속적인 섭취 증가로 식이중 열량과 지방의 양이 계속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로인한 여러 순환기계질환의 예방을 위해 n3 PUFA를 섭취할 경우 결국 더 많은 tocopherol섭취가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
정상사료내의 지질에 철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사료(Common feed)와 물을 혼합한 비정상 사료내에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상사료(P<.05)와 비정상사료(P<.01)내의 Vitamin E 함량은 1.75mg/g(실험 1일째) 로부터 0.25mg/g(실험 11일째)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2. 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8mg/g(대조군)로부터 17.6mg/g(20% 철분 혼합군)로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3. 비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9mg/g(대조군)로부터 17.4mg/g(20% 철분 혼합군)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4. 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비정상사료내의 함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정상사료와 비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불포화 지방산에 있어서 날짜 경과별 및 철분 혼합 수준별 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쥐의 암컷에서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creatinine 및 prostaglandin의 혈액내 함량을 측정하여 실험 동물로써의 생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른 이들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신과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마리의 임신하지 않는 쥐를 대조군으로 하고 임신한 쥐 35마리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5개의 임신군과 2개의 분만군) 100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21일군이 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 쥐 암컷의 혈청내 인지질 함량은 의 범위였고 임신21일군과 분만후 36시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각 실험군 및 전체임신군과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간에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3) 쥐 암컷의 혈청내 creatinine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가 안정되지 않았지만, 임신21일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임신9일(), 12일() 및 15일()군 등이 낮은 수준인데 비하여 임신18일군()부터 대조군보다 증가되기 시작하여 임신21일군()과 분만후 12시간군()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달했으며 분만후 36시간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p<0.01)차이가 안정되었고 특히 전체임신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과 천체임신군의 평균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5)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및 creatinine 함량은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말기와 분만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6)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Interaction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s)on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ctivity was studied for a period of 30 day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as a basal diet .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8 feeding group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 of α1-lipoprotein par lipalbumin is 0.34 for control group, 0.38 the highest group fed 0.1 Mg(II) 10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25 group fed 0.1M Mg(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2. The ratio ratio of α2-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64 for control group. 0.95 as the highest for the group fed 0.1M Ca(II) 1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0.1M Ca(II) 5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3. The ratio of β-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71 for control group, the highest 0.81 for the groups fed 0.1M Mg(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37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4. In serum triglyceride, control group was 129.5mg%, the highest 155.4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5.7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0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5. In serum cholesterol, control group was 96.7mg%, the highest 152.5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0.5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6. In case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control group was 0.95, the highest 0.98 for the group fed 0.1M Ca(II)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7. Interaction between metal(II) ion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 are soybean oil〉sesame oil〉perilla oil, for Mg(II). soybean oil〉perilla oil〉sesame oil, for Ca(II). Therefore, it is invetig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etal 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is the higher, the cholesterol level is the lower,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is increased.
The effect of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dimerization of waste vegetable oil was investigated. The high efficiency and recyclability has allowed different metal oxides to be used as catalysts in numerous synthetic reactions. Herein, clay, aluminum, titanium, calcium, magnesium and silicon oxide micro/nanoparticles are used in a Diels-Alder reaction to catalyze the production of the dimer acids. The metal oxides assist the electron transfers during cyclization to produce the desired product.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LC-MS)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ere used to verify the production of dimer acids. For the confirmation of cyclization,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rom the analysis, silylated or pristine clay showed its effectiveness as a catalyst in dimerization. Furthermore, alumina and alumina/silica composite showed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 reaction to yield cyclic dimer acids. These result suggested that metal oxides and montmorillonite might be used in synthesis of dimer acids for the recycle of waste vegetable o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