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14 in the Gangjin area of Jeonnam province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potential of Kenaf as an alternative feed crop of rice. The weather and soil conditions were favorable and there was no adverse effect on the growth of Kenaf. The amount of seeding was given at 10 kg, 15 kg and 20 kg. As the seeding volume increased,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increased, an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nodes decreased. The highest growth rate was observed between 75 and 90 days from the date of planting(p<0.05). As the growth progressed, stem rate increased and leaf rate decreased(p<0.05). Increased amount of seeding and growth resulted in decreased CP and TDN and increased ADF and NDF, which resulted in the decreased economic value of Kenaf as a feed crop. The result of increasing the use of organic fertilizer to 20 kg and 30 kg was similar to increasing the amount of seeding. As organic fertilizer usage increased, dry matter yield and growth rate improved(p<0.05).
        4,000원
        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남부간척지 벼 담수표면 직파재배시 합리적인 질소기비시용시기와 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세사양토(문포통, 염농도0.1~0.2%)에서 동진 2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4월 중순에 담수표면직파재배에서 파종전 기비시용시 적정입모수가 확보되었으나, 파종 후 10일, 20일 및 30일에 기비를 시용한 경우에는 적정입모수가 확보되지 않아 수량감소가컸다. 파종전 기비 시용 처리시 m2당 입모수는 163개이었으나파종 후 10, 20, 30일 기비시용 처리에서는 m2당 평균 98개로 파종전 기비시용에서 입모수가 많았다. 수량은 파종전 기비 시용 처리에서는 10a당 523 kg이었으나,파종후 10, 20, 30일 기비시용 처리에서는 10a당 평균433 kg로 파종전 기비 시용 처리에서 파종후 기비 시용처리보다 수량이 증수되었다. ha당 질소시비량 200 kg에서 쌀수량이 10a당 541 kg으로 처리간 수량이 가장 많았으나 질소시비량 170 kg/ha에서도 질소시비량 200 kg과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담수표면직파재배를 할 때의 기비시용 시기는 입모확보 및 쌀 수량과 염해 등을 고려해 볼 때파종전에 기비를 시용하는 방법이 파종후에 기비를 시용하는방법보다 좋을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질소시비량을 표준시비200 kg/ha 보다 적은 170 kg/ha로 시용해도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년초지에 있어서 가축분뇨를 처리형태별로 시용시기를 달리 했을 때 목초의 생산성과 분뇨의 이용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퇴구비, 톱밥발효돈분 및 액상발효우분을 가을, 봄 및 가을/봄 분할시용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축분뇨의 시용시기는 물론 분뇨의 처리 형태간에 목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가축분뇨의 N 이용효율은 퇴구비와 액상발효우분이 톱밥발효돈분 보다 낮았다. 3. 가축 분뇨의 시용시기
        4,000원
        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기후조건하에서 액상발효 우분의 시용시기(봄, 가을, 봄/가을 분시)와 시용수준(0, 50, 100, 200 k g N h a − 1 )을 달리 했을 때 토양중의 N O − 3 함량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상발효 우분의 시용시기는 토양중 N O − 3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액상발효 우분의 시용수준 증가는 N O − 3 함량을 증가시켰지만 평균 3.6 m g l − 1 에 불과하였다. 3. 토양의 층별 N O − 3 함량은 0~20cm 깊이에서는 분뇨시용 수준과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그 함량도 평균 28.9 m g l − 1 에 달하였지만, 40~60cm층에서는 시용 수준에 관계없이 7.5 ∼ 8.3 m g l − 1 으로 매우 낮았다.
        4,000원
        7.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wnduct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tment level and seasons of sluny hm bovine feces on the productivity of rye, N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under the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fiom this study s
        4,000원
        8.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thc nutrient contents of herbages and energy productivity in grasslan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times and five level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The experimenta
        4,000원
        9.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a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s of cattle slurry applicatioin on the dry matter yield, yield component,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mixed sward,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times and five levels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T
        4,000원
        10.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봄철 건물이용초지에서 이른 봄 추비처용시기가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추비시비시기를 3월 10일, 20일, 30일, 4월 9일, 19일 및 무시비(대조구) 등 6처리를 두고 1차 수확은 출추초기(1989년 5월 9일)에, 2차 이후는 각각 지예적기에 수확하였다. 추비시용구의 목초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는 무시비구에 비해 크게 양호하였으며, 이른 봄 추포시용시기에 따른 목초의 생육, 수량, 조필자질함량, 초필
        4,000원
        11.
        198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rtilizer application time in spring on the growth, crude protein(CP) content and dry matter(DM) yield of grasses for soiling. Application times of fertilizer were March 10, 20, 30, April
        4,000원
        12.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rtilizer application time in spring on the growth, crude protein (CP) content and dry matter (DM) yield of gasses for grazing Application times of fertilizer were on March 10, March 20, M
        4,000원
        1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is planting in April and harvest next April for the fourth season went through medicinal crops. This is why growth and impact on the quantity of additional fertilizer for application timing and amount of application is very important. To want to find out optimal method of additional fertilizer that can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 application. Methods and Results : So this study was designed in order to find out proper timing for application and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Timing for application were July, September, November (custom) and May, July, September and August, October, December.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were 7 ㎏, 13 ㎏, 19 ㎏ per 10 a. The result of an experiment, when In cultivation with timing for application was May, July, September and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was 7 ㎏ per 10 a, In situation of growth and development, plant length was short and root length was long and number of plants was many than timing for application was August, October, December and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was 19 ㎏ per 10 a. In addition, in quantity characteristics, tuberous root number was 44 to 68 more than 24 and tuberous root length and tuberous root thickness was long and thicker. When these growth and development situation and the quantity characteristics, yield was 275 ㎏ to 340 ㎏ more than 65 ㎏ per 10 a. That is 5.2 times. Conclusion : In cultivation of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when the timing for application quickly start in May and reducing the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was yield increased 5.2 times.
        1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seasons and rates with animal liquid slurry on the rice yield and quality. The treatments were application seasons (autumn, spring) and application rates of animal liquid slurry 80, 100, 120, 140% N levels of based on 11㎏ N/10a, chemical fertilizer as control plot.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Cheorwon, Gangwon-Do in 2007. The results was as follows; The plant height and tiller’s number at the application of spring season were higher than that at the autumn application. In the plot of 140% level at the spring application, the plant height and tillers were higher, and the color of leaf was darker than that of the chemical fertilizer. The plot of 140% level in spring application was increased the lodging damage of rice. Rice yield was reduced at 7%, 13% in the plot of 120%, 140 N/10a slurry level in the spring application compared to the chemical fertilizer, respectively. But rice yield at the autumn applic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hemical fertilizer and plots of liquid manure. The rice quality of the 120 and 140% slurry in spring appli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hemical fertilizer. Total nitrogen contents and nitrogen uptake in rice plant were higher at the plot of 120, 140%N in the spring than that of chemical fertilizer. To reduce the lodging damage and increase the yield and quality of rice was needed suitable application of liquid manure in spring season.
        1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어린모, 중묘 등 묘령에 따른 쌀겨 시용 시기가 친환경 재배에 있어서 제초 효과와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그리고 더 나아가 미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1. 쌀겨 처리후 토양내 산화환원 전위차는 급격히 떨어져 심한 환원 상태로 변하였으며, 쌀겨 시용구에서는 쌀겨 살포 직후 1~2 일 사이에 용존산소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 쌀겨 시용구 중에서는 이앙전 5일 시용에서 잡초 본수 및 잡초 건물중이 가장 적거나 가벼워 잡초 발생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이앙 후 늦게 살포할수록 잡초 발생량은 늘어났다. 3. 쌀겨 처리시기에 따른 수량은 이앙전 5일 시용에서 관행시비와 수량이 비슷하였으나, 이앙후 표면처리에서는 수량이 현저히 감수되었다. 4. 쌀겨 시용 시기에 따른 처리별 완전미 비율은 쌀겨 처리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쌀겨 처리구에서 대체로 낮았다. 식미치는 완전미 비율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이 낮았던 쌀겨 시용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2~8 정도 높았다.
        16.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논에서 녹비식물인 자운영과 헤어리베치의 Biomassm증대를 위한 돈분뇨 액비의 적정시기를 구명하여 친환경 벼 재배에 기여하고자 보통논과 미숙논에 돈분뇨를 무시용을 대조로 각각 화학비료 질소 수준 3, 5kg/10a을 가을, 봄 전량과, 가을+봄에 각각 1/2량씩 시용하고 Biomass를 조사한 후 이를 논토양에 환원하여 벼 재배를 한 결과 다음과 같다. 보통논에서 자운영에 대한 액비 시용시 Biomass는 건물량으로 392~401kg/10a로 가을+봄시용에서 약간 높았을 뿐 무처리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헤어리벳치는 516~636kg/10a으로 자운영과 같은 양상이었다.그러나 미숙논에서 자운영과 헤어리벳치에 대한 액비 시용시Biomass는 봄시용이 가을시용보다 증대되었고 가을+봄시용과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헤어리벳치도 같은 양상을 나타냈다. 즉, 액비시용에 의한 미숙논에 대한 보통논의 증대는 자운영이 평균 1.2배이고 헤어리벳치가 1.3배이나 액비무처리에서는 자운영 2.4배, 헤어리벳치가 1.5배를 나타냈다. 이는 토양중 근류균의 밀도와 관계가 있어 보통논에서 자운영과 헤어리벳치의 근류균 밀도는 각각 106, 105 cells 이상이었으나 미숙논에서는 각각 101, 102 cells 이하로 근류균의 밀도가 낮았다. 따라서 근류균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는 가축분뇨 액비 시용이 요망된다. 가축분뇨 시용에 의하여 생산된 자운영과 헤어리벳치를 환원한 후 묘를 이앙 재배하여 얻어진 벼 유수형성기 생육은 초장, 엽색 및 건물생산량 등이 자운영과 헤어리벳치 생산량에서 얻어진 바와 같이, 자운영구보다는 헤어리벳치구에서, 미숙논보다는 보통논에서, 가을 액비 시용구보다는 봄액비 시용구에서 높은 양상을 보였다.
        17.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times and dilution rates of cattle slurry with water on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s of orchard grass. Cattle slurry was applied at the rates of average nitrogen fertilizer equivalent to 150㎏/ha/year in 3 cutting frequency.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yields than that of no fertilization (7.56 ton DM/㏊) were recorded in the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 (10.74~13.54 ton DM/㏊) (p<0.05).
        1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times and dilution rates of cattle slurry on dry matter yields of orc㏊rd grass. Cattle slurry was applied at the rates of average mineral nitrogen fertilizer equivalent to 150 ㎏/㏊/year in 3 cutting frequency.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yields t㏊n t㏊t of no fertilization (3.04 ton DM/㏊) were recorded in the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5.38~6.25 ton DM/㏊) (p
        20.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추작의 알맞는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6년 천안에서 시마바라(도원)품종을 대상으로하여, 7월13일 4절종서를 GA2 ppm과 Ethrel 250ppm의 혼합액에 60분간 처리하여 노지의 최아상에 파종하고, 7월 24일 몇가지 재배처리를 하여 정식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당시의 아장(아경)을 4cm(3.5mm), 7cm (4.5mm) 및 10cm(6.0mm)로 구분한즉 싹이 크고 굵은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 되었다. 2. 질소시용량을 10a당 요소 10, 20 및 30kg으로 구분한즉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3. 질소를 정식기(7월24일)에 전량기비로 주는 것 보다 정식기와 8월15일 또는 8월15일과 9월5일로 분시하는 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4. 재식거리 60 20cm 또는 70 17cm이상의 밀식은 도장을 유발하여 수량 품질이 저하되었다. 5. 정식후에 밀짚을 4, 8, 12cm로 피복한즉 피복이 두꺼울수록 성하기의 최고지온을 낮추고 추냉기의 최저지온을 높이는 효과가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