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modern society, the sports industry is becoming an important industry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ultural ex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countries. Along with this, the size of sports equipment manufacturers is also increasing, and especially in the archery field, domestic companies occupy a high share in the global market. However, in the case of precision accessories, foreign products are imported and used. Among the precision archery accessories, the cushion plunger is subjected to repetitive loads, and the surface damage due to wear affects the accuracy of the archery, so fatigue and wear analysis taking this into account are required. In this paper, a friction simulation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fatigue life and wear amount of the cushion plunger among the precision archery accessories, an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friction test results.
양궁의 슈팅과정에 대하여 정신 집중력과 긴장 이완도를 뇌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평가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우수, 중급, 그리고 초급 양궁선수들이 야외 양궁장에서 근거리와 장거리 타깃을 대상으로 슈팅 훈련을 할 때 앞이마(Fp1)에 전극을 부착한 헤드밴드 형태의 휴대용 뇌파 시스템으로 뇌파를 기록하였다. 개인별로 기록된 뇌파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계산되었으며, 슈팅 과정에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의 변화 형태가 분석되었다. 개인별로 각각의 슈팅에 대한 정신집중 및 긴장이완 수준 변화는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변화 유형은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을 평가하는 신뢰성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우수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슈팅과정의 진행에 따라 동시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중급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도는 증가하는 반면 긴장 이완 수준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변화는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뿐만 아니라 훈련 시에 유익한 피드백이 되었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양궁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심리기술훈련 지원을 위한 가상현실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실험은 4주간 주 2회 총 8회기 동안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장치, 가상현실 기기와 안구움직임 추적 장비와 시뮬레이션 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전반에 걸쳐 배외측전전두피질(DLPFC)에 서 나타나는 집단 및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훈련에서 구간별 시선행동패턴 측정에 대한 데이터는 집단에 따른 사전 사후 비교를 위해 구간별 독립 표본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배외측전전두피질의 혈류역학변화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우측 DLPFC의 산소 포화도는 사후검사에서 사전검사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사후검사에서 감소하였다. 좌 측 DLPFC의 산소포화도는 두 집단 모두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감소하였다. 가상현실(VR) 시뮬레이션 훈련 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선고정시간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측정에서 차이가 나타 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 추후 반복적인 VR 시뮬레이션 훈련을 통해 양궁선수들의 시선 처리 안정화와 일 관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적: 본 연구는 우수 양궁선수들이 활용하는 강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38명의 국가대표, 실업팀 및 대학선수로 구성된 우수 양궁선수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양궁 선수들이 인식하고 활용하는 강점을 탐색하였으며 강점 인식과 활용에 대한 실증적 파악을 위해 올림픽, 아시안 게임 및 국제대회에서 수상 경력이 있는 10명의 양궁선수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우수 양궁선수들이 활용하는 강점에 대한 귀 납적 내용 분석 결과 첫째, 체력 강점 요인으로는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키, 팔 길이, 체중의 세부 영역과 일반 영역으로는 체력, 체격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 강점으로는 왼쪽 포인트, 힘 연결, 왼쪽⋅오른쪽 밸런스, 중심잡기, 오른팔 포인트, 슈팅 타이밍, 슈팅 리듬감, 오조준, 슈팅 조절의 세부 영역과 일반 영역으로는 내적 포인트(속 자세) 활용과 외적 포인트(겉 자세) 활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 강점으로는 긍정적 사고, 루틴 활용, 사고의 단순화, 자신감 향상 혼잣말, 불안 조절 혼잣말, 심호흡, 심상, 목표설정, 집중력, 자신감, 불안 조절, 회복 탄력성의 세부 영역과 일반 영역으로는 심리 기법과 심리 기술(요인)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에서 나타난 우수 양궁선수들의 체력강점은 긴 팔, 큰 키, 체중이 체격 강점 요인으로 언급됐고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이 체력 강 점으로 나타났다. 기술 강점 요인에서는 내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힘 연결과 왼쪽⋅오른쪽 밸런스가 언급 됐고, 외적 포인트에 해당하는 슈팅 밸런스가 강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심리 강점 요인은 심리 기법에 해당하는 긍정적 사고, 루틴 활용, 사고 단순화 등이 언급됐고 심리 기술에 해당하는 집중력, 자신감이 심리적 강점으로 언급되어 개방형 설문과 동일한 요인들이 확인됐다. 결론: 우수 양궁선수들은 장시간 경기를 위한 체력, 안정적인 밸런스, 긍정적 사고와 집중력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강점들은 유소년 선수들이나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훈련에 매진하는 선수들을 위한 긍정 심리 프로그램 개발과 기술 향상에 긍정적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크린 기반 게임은 여러 공간에 옮겨가면서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일어난다. 이 경우에 센서에 변화가 생기거나 공간의 구성 차이로 설치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실제 게임과 똑같이 경험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난이도를 조절하여 더 많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해 야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 골프와 유사한 형태의 체감형 게임인 스크린 양궁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공간의 변화에 따른 설치를 쉽게 하는 기법,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게임의 난이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실험 결과를 보이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and performance in archery athletes. Methods: Archery athletes(N=302, male=137, female=165) completed measures of Sports Emotion Scale, Sport Emotion Regulation Scale, and Prize of themselves. Results: It was appeared that the sports performance among archery athletes was increased by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y and pride, and emotion regulation such as related behavioral regulation.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archery athletes, a variety of programs to increase positive emotion and related emotion regulation need to be developed.
Purpose: Th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ACT) is a new treatment approach that focuses mindfulness, and it is classified as the third wave in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 Method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a 8-week's ACT program designed specifically for four female archers who had stress and chronic pain. In order to explore process of the ACT, the researcher utiliz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Results: The results exhibited various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ithin six components of ACT program: acceptance, defusion, self as context, focus on present, value, and commitment. Each participant described cognitive-behavioral changes through the ACT program. Conclus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ir changes in terms of‘increasing in awareness', 'diminishing in pain and stress diminishing pain and stress', 'recognizing peer relationship', 'valued goal-setting', 'decreasing negative thought'. Finall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s in mindfulness, and the suggestion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여자 양궁선수의 스트레스에 대하여 수용 전념 치료(ACT)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ACT는 마음 챙김에 초점을 둔 새로운 치료 접근으로, 인지 행동 치료의 3흐름으로 분류된다. 전통적인 심리 기술 훈련은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사고, 정서, 그리고 신체 감각을 통제하거나 바꾸어야 한다는 접근에 기초하지만, ACT는 이러한 내적 경험을 통제하거나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실제로는 역설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를 지닌 고등학교 여자 양궁선수들에게 8주 간의 ACT를 평가하였다. uBioClip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를 측정하였고, 운동스트레스, 수용행동 질문지, 개정된 인지적, 정서적 마음 챙김 척도가 ACT의 기저선, 처치, 추후에 실시되었다. 4명의 단일 피험자 ABA설계가 이용되었으며, 시계열 자료는 시뮬레이션 모델링 분석이 이루어졌고, 리커트 자료는 신뢰 변화 지수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ACT는 스트레스, 수용행동, 마음 챙김에서 유의한 의미 있는 개선을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양궁선수들이 매 슈팅 시에 가지는 심리적 상태와 이에 따른 득점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시합에서 최고수행 시의 심리상태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훈련 시와 연습시합 시에 습득해야할 심리기술을 스스로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심리상태 점검 훈련일지”를 개발하여 훈련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K실업팀 소속 남자 선수 4명이며, 이들의 선수 경력은 8-11년이고, 싱글 라운드 평균 기록이 1340-1350점인 우리나라 최정상급 선수들이다. 실험 설계는 심리상태 점검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일 피험자 반복-반전 설계(single-subject replication-reversal design: ABA)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슈팅 시 심리상태와 득점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고, 아울러 실용적 평가와 사회적 타당도를 위한 검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반전-반복설계의 처치국면에서 심리개입이 동반된 심리상태 자기진단 훈련 프로그램은 연습시합에서 완전한 심리상태(CM)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슈팅 시 심리상태는 부정적 생각(NT), CM, 기술분석(AS) 순으로 득점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NT와 AS는 부정적으로, CM은 긍정적으로 득점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1) 평소 훈련 시와 연습 시합 시의 심리상태 자기진단 훈련이 시합 시의 기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2) 슈팅 시 부정적인 생각과 슈팅 기술에 대한 생각을 제거해야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연구 목적은 우수 양궁선수들의 심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 1에서는 고교선수 57명, 대학선수 25명, 일반 실업 선수 14명 등 총 96명을 대상으로 심상과 관련된 내용을 수집하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를 토대로 8명의 우수 양궁 선수들을 심층 면접하여 심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고교 394 사례, 대학 117 사례, 실업 73 사례의 원자료 중 중복되거나 유사한 상황을 제외한 93개의 원자료를 채택하고, 이를 심상 시점과 장소, 심상 방법, 심상 내용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 2의 결과, 우수 양궁선수들은 주로 연습상황에서 심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식적인 심상훈련을 받은 적은 없지만 선수생활을 통해 쌓아온 자신의 경험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적으로 보이는 겉자세 보다는 속자세를 강조하고, 호흡, 시각, 운동감각을 활용하여 심상을 한다고 진술하였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장점만을 생각하는 긍정적인 심상을 했으며 양궁선수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자신감을 꼽았다. 심상의 선명도는 그다지 뛰어나지 않았으며 심상의 선명도 자체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이들은 평소 연습 시에 많은 반복 연습을 통해서 자신의 속자세에 대한 명확한 단서를 확립했으며, 시합 시에는 그 느낌을 그대로 유지하여 자동화된 몰입으로 수행을 했기 때문에 심상이나 중재전략 없이 시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방형질문지의 결과와 우수양궁선수들의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양궁 심상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양궁선수들의 성별과 소속팀, 그리고 수행수준에 따라서 자기관리와 자신감과의 차이가 있는지,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제25회 대통령기 전국 남․여 양궁선수권대회에 참가한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 소속된 선수들이다. 자기관리는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 설문지 그리고 자신감은 한국형스포츠자신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차이가 없었으며, 소속팀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지지, 코치의 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실업팀 선수들이 자기관리 및 자신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행수준에 따른 자기관리 및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훈련관리, 정신관리,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지지, 코치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우수선수들이 자기관리 및 자신감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능력입증과 사회적지지는 훈련관리, 대인관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코치지도력은 정신관리, 몸관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신체적/정신적준비는 훈련관리, 정신관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엘리트 양궁 선수 대학팀과 실업팀 소속으로 남자 선수 5명, 여자 선수5명 대상으로 엘리트 양궁 선수들이 시합 시에 사용하는 시합전과 시합중의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의 내용을 근간으로 프리슈팅 루틴을 구성하는 인지적, 행동적 원자료에 관한 데이터 풀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모범적인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의 예를 제시하여, 모든 양궁 선수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적합한 루틴을 실용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절차와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프리슈팅 루틴이 심리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4단계의 절차에 따라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각 선수들의 개인차가 고려된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제작한 최종 루틴 프로그램을 스포츠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데이터 풀에 적합하도록 질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루틴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추출된 원자료를 분석하여 소주제(higher order themes)와 대주제(dimension)로 분류하여 데이터 풀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프리슈팅 루틴이 심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수들이 2개월 동안의 루틴 훈련을 시작하기 전과 루틴 훈련이 끝난 후의 심리기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네 번째 단계는, 2개월간의 루틴 훈련이 끝난 후에, 각 선수들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루틴 훈련의 효과, 장점 및 주의 사항, 기술적인 변화, 그리고 심리적 변화 등을 추출하였다. 루틴의 효과에 대한 선수들의 진술을 귀납적으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선수들이 훈련 시에 “훈련을 시합같이” 하는 질적인 훈련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적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는 오직 시각 조절 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로 향상을 보여주었으나, 각성 조절 능력, 위기관리 능력, 목표설정/정신적 준비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파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9주간의 주의집중 훈련 프로그램이 양궁 경기 수행력과 집중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8명의 양궁 선수들(남=2, 여=6)로서 본 연구 실시 이전의 양궁 경기에서의 성적 순위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4명씩 무선할당하였으며, 실험집단은 9주간 Q-jump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하여 주의집중 지속력 훈련과 주의집중 전환력 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을 제회한 모든 훈련 과정에서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통제되었다. 실험 과제는 주의집중 지속력 및 전환력 점수 그리고 양궁 점수이다. 결과 분석을 위해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별로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실시했으며, 측정 시기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반복 측정(repeated measure) 방법 중 반복대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Q-jump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주의 집중력 훈련을 실시한 결과 주의집중 지속력과 주의집중 전환력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b) Q-jump 바이오피드백 기기를 활용한 주의 집중력 훈련을 실시한 결과 양궁 시합 점수에서는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Guay, salmoni, 와 Lajoie(1999)의 연구를 바탕으로 KR 간격조건과 요약된 형식의 KR조건의 상호작용효과 및 독립된 방식에서 안내가설의 지지여부를 통한 효과적인 KR 제공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의 KR 간격 조건(20%, 100%)과 함께 세 가지의 요약형식 KR(ST, SUM, AVE)로 구분하여 총 6가지 형태의 KR(ST-20%, 100%, SUM 20%, 100%, AVE 20%, 100%)을 연구하였다. 양궁선수들을 대상으로 KR 간격과 요약 형식의 KR 조건에서 안내가설의 효과를 통한 효과적인 KR 제시 조건을 규명하고자 50m 실거리 과제를 선정하여 연습단계 30회 파지단계 30회를 실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절대오차에서는 파지수행에 있어서 ST조건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변오차에서는 모든 조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형식의 KR제공 형태보다는 KR 간격의 조건이 학습에 보다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R의 제공은 100%의 제공간격보다는 20%제공간격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양궁선수가 경기 시에 사용하는 집중력에 대한 인식과 조절능력에 관한 전술을 분석하였다. 우수 선수급 양궁선수 63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기 시 집중력의 중요도와 실제 조절에 대한 능력을 검사하고 시합 시 주로 사용하는 집중전략에 관한 인지 및 행동적 내용을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싱글라운드 평균 기록 1348.9점(표준편차 31.6점)과 올림픽라운드 평균 기록 115.2점(표준편차 3.2점)으로 기록 수준이 최상급이었고, 개인별 편차가 낮은 실업양궁팀에 소속된 우수선수 집단이었다. 집중력은 자신감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나 그 중요도에 비해 조절능력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자기 관리, 자신감과 정신력이 시합 시 집중력 관련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평소 훈련 시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인지 행동적 전략은 시합과 동일한 상황에서의 연습과 자세 집중이 집중전력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시합 중 발사선 대기시에는 자신감 고취 행동과 이미지 유지가 주된 집중전략이었고 조준과 발사 시에는 자신감 유지, 발사감각과 리듬감 찾기와 표적 집중이 주로 사용되었다. 경기 중 지고 있을 때에는 자신감을 갖는다는 생각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시합 후에는 자기 반성과 회상을 통하여 다음의 시합이나 발사기술에 대비하는 습관을 집중전략으로 갖고 있었다. 우수 양궁선수의 집중전략은 시합의 전후 단계별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보다 긍정적이고 건설적이고 건설적인 특징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