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깨에 발생하는 노린재류는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등이다. 이들 노린재들은 참깨가 개화하는 시기부터 발생하여 수확시기까지 잎, 줄기 및 꼬투리의 영양분을 흡즙하여 식물체를 고사시키거나 참깨 종실을 쭉정이로 만드는 등의 피해를 준다. 2013부터 2014년까지 2년 동안 밀양지역 2개 포장에서 조사한 시기별 노린재 발생량은 개화기인 7월 21일이 주당 0.2~3마리,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인 8월 5일이 0.9~1.2마리, 등숙기인 8월 20일이 1.2~1.8마리였다. 이들 노린재에 의한 참깨 피해를 산출하기 위하여 요방제 시험을 수행하였다. 참깨의 생육단계별로 풀색노린재 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은 참깨 주경의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에는(개화중기) y = 11.754x – 0.1834,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개화말기)는 y = 7.6887x – 3.6407이었다. 이 관계식을 기준으로 설정한 풀색노린재의 요방제 밀도(10% 수량감소율 기준)는 참깨 주경의 하부 10∼1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는 10주당 9마리, 하부 20∼22마디에 꼬투리가 달리는 시기는 10주당 18마리였다. 참깨에 피해를 주는 노린재를 방제하기 위해 델타메트린 유제 및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를 처리한 결과, 처리후 3일차 평균 방제가는 델타메트린 유제가 97.6%,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는 95.7%였고, 7일차는 델타메트린 유제가 98.6%,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는 97.7%로 방제효과가 좋았다.
잎브로콜리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배추좀나방의 적절한 방제시기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유충접종밀도와 잎브로콜리 피 해량의 관계를 분석하여 경제적피해허용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추좀나방 3~4령 유충을 주당 0, 0.5, 1.0, 1.5, 2.0 마리를 5월 24일에 접종하고, 6월 1일, 6월 9일, 6월 18일에 발생밀도와 엽수량을 조사한 결과, 초기 접종밀도가 증가할수록 배추좀나방의 발생 밀도는 증가하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엽수량은 감소하였다. 이를 토대로 배추좀나방의 접종밀도와 수량감소율을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 과 y=1636-394x (R 2 =0.79***)로 추정되었다. 잎브로콜리에서 5% 피해율을 경제적 피해한도로 볼 때 배추좀나방의 경제적피해허용수준은 10 주당 2~3마리이고, 요방제 수준은 10주당 1-2마리 수준으로 추정된다.
 ,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control thresholds for managing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ricius (Lepidoptera: Noctuidae) at different larval densities and growth stages of Chinese cabbage in field conditions. The percent yield reduction (Y) of Chinese cabbage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S. litura (X, no. oflarvae/100 plants) for three weeks were estimated by Y= - 21.85X + 1300 (R2=0.997) 5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Y= - 12.1X + 1382 (R2=0.998) 20 days after transplanting.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ies of S. litura larvae and the yield index of chinese cabbage, the number of larvae (2nd to 3rd instar) which caused 5% loss of yield was estimated as 2.9/100 plants 5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5.6/100 plants 20 days after transplanting.
가을배추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접종시기와 접종밀도에 따른 배추의 수량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배추 정식 5일후 담배거 세미나방 0, 5, 10, 20, 40마리/100주 접종 20일 후 피해엽율은 각각 0.9, 44.2, 60.8, 67.3, 77.7%였고, 정식 20일 후 접종은 0.7, 14.55, 19.8, 31.9, 39.9%로 정식 초기에 피해가 더 심했으며,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피해엽율이 높았다. 담배거세미 나방 무접종구의 수량 1,302kg/10a를 기준으로 정식초기 40마리 접종구는 439kg 으로 66.3%, 정식중기 40마리 접종구는 34.7%의 수량감소를 보였다. 유충밀도와 수량의 회귀분석 결과 정식초기는 Y=-21.85X+1300 (R2=0.997), 정식중기는 Y=-12.1X+1382 (R2=0.998)로 산출되었고 이를 근거로 배추 수량 5%를 경감시키 는 담배거세미나방 밀도는 정식초기는 2.9마리, 정식중기는 5.6마리였다. 배추에 서 담배거세미나방 발생밀도와 수량과의 관계는 부의 상관으로 접종밀도가 높을 수록 수량은 크게 감소하여 배추 수량에 담배거세미나방 발생밀도가 큰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 기장, 수수 등 잡곡은 재배면적 및 소비량이 매우 적어 2000년대 초반까지 연구자, 생산자 및 소비자로부터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한 작물이었으나, 최근 국민 소득 향상 및 웰빙시대를 맞아 잡곡의 건강기능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잡곡 재배면 적 및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잡곡프로젝트 및 지역특성화사업 등 잡곡주산단지화에 따른 재배면적 및 재배지역 증가와 더불어 잡곡에 발생하는 각 종 병해충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잡곡 주산단지들은 무농약 농 산물로 인증된 지역이 많고, 또 아직까지 잡곡에 대한 병해충 발생정보가 적어 이 들 병해충에 대한 재배자들의 관심 또한 매우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잡곡에 발생 하는 해충들 중에서 조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애긴노린재에 대한 요방제 수 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황금조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기능성작물부내 조 포장에서 격리상(2x1.2x2m 앵글 케이지, 모기장)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조에서 애긴노린재 약충(4-5령)의 접종밀도와 조 수량감소율과의 회귀분석식은 출수후 10일이 Y = 0.4773X + 3.8581, 출수후 20일이 Y = 0.3232X + 3.1372, 출 수후 30일이 Y = 0.2260X + 0.1302 이었고, 상관계수는 각각 R2 = 0.9921, R2 = 0.9893 및 R2 = 0.9964 이었다. 따라서 조 애긴노린재 요방제 수준(5% 수량감소 율)은 출수후 10일이 2.4마리, 20일은 12.9마리, 30일은 23.3마리/이삭 이었다.
시설 배추 벼룩잎벌레의 발생밀도와 피해량을 상호 분석하고 요방제 수준 설정 을 통하여, 신속하고 합리적인 방제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봄 배추(CR-새신록엇갈이) 정식(4월 중순) 후 생육초기(정식 5일 후)와 생육중기(정 식 30일 후)에 벼룩잎벌레를 밀도별로 접종한 후 상품수량을 조사, 피해율을 산출 하였다. 시험구는 망사케이지(1×1×2m. 120목 나일론 재질)로 격리하였으며, 난괴 법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배추 생육초기 벼룩잎벌레 접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30.35X + 1418.5, R2 = 0.8656이었으며, 피해율은 10주당 2마리 처리구에서 3.6%, 16마리 처리구에서 37.8%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배추 생육중기 벼룩잎벌레 접 종밀도와 상품수량과의 관계는 Y = -20.41X + 1366.8, R2 = 0.9278이었으며, 피해 율은 10주당 10마리 처리구에서 3.1%, 40마리 처리구에서 66.2%로 접종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시설배추 봄 재배시 상품수량 피해허 용수준을 5%로 감안할 때 벼룩잎벌레 요방제 밀도는 생육초기 1마리/10주, 생육 중기 7마리/10주로 분석되었다.
하나 각종 병해충의 잦은 발생으로 인해 농약살포 횟수가 매우 많다. 따라서 농작물 중 잔류농약 초과 검출건수도 전체 대상작물의 11-12%를 차지하여 가 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래서 본 시험은 들깨의 주요 해충인 담배거세미 나방 유충에 대한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남천들깨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기능성작물부내 비닐하우스(40×5.4m)에서 수행하였다. 잎들깨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발생은 노지가 7월 중순부터 10월 중순, 시설은 7월 상순부터 11월 상순까지 발생하였고, 발생최성기는 노지 및 시설 모두 9월 중순이었다. 페로몬 트랩에 의한 수컷성충의 발생은 6월초부터 11월 상순까지 발생하였고, 발생최성기는 9월 상순부터 하순까지였다. 28℃에서 담 배거세미나방 령기별 잎들깨에 대한 1일 섭식량은 2령, 3령, 4령, 5령 및 6령 이 각각 2cm2, 5.5cm2, 15.0cm2, 31.6cm2 및 66.4cm2로 5령 이후부터 급격히 늘 어나는 경향이었다. 잎들깨에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접종밀도와 잎들깨 수량 감소율과의 회귀분석식은 담배거세미나방 2령충과 3령충이 각각 Y=2.3888X- 0.8708, Y=3.2133X-1.1625이었고, 상관계수는 각각 R2=0.988, R2=0.9886이었다. 따라서, 잎들깨의 담배거세미나방 요방제 수준(5% 수량감소율)은 2령충이 2.5 마리, 3령충은 1.9마리/100주였다.
Economic injury level and control thresholds for the management of beet army worm,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Noctuidae) were evaluated on chinese cabbage of two different planting time. Two inoculation times were tested for each planting and the number of inoculated larva was 10, 20, 40, 80, respectively. Damages of leaves by first inoculation were 63.2% after eight days planting on 80 larva inoculation plot. By the second inoculation, those were below 50% after 20 days planting on the end of September.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yield reduction were as following, Y = -10.62x + 867.9 (R² = 0.643) for 5 days and Y=-6.432x + 1074 (R² = 0.720) for 20 day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conomic injury level was 5.4 larva for five days and 9.0 larva for 20 days per 20 chinese cabbage.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were 4.3 and 7.2 larva, respectively.
배추에서 파밤나방 요방제수준을 설정하기 위해 2007년 8월 28일, 9월 12일 배추를 정식하고 정식 5일째에 파밤나방 1~2령을 10, 20, 40, 60마리/100주 씩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밤나방의 접종시기별 피해엽율을 보면 정식 5일째(1차 접종)에 20주에 40마리 접종 시 9월 7일에 33.5%의 피해엽율로 가장 높았으며 5마리 접종시 10.9%로 나타났다. 정식 20일째에 접종(2차 접종)한 경우 9월 7일에 20.5%의 피해엽율로 높았으나 1차 접종 보다는 낮았으며 또한 10마리 접종구에서도 7.5%로 1차 접종 때보다 아주 낮았다.
파밤나방 무처리시 수량은 3,495.2kg/10a이었으며 1차 40마리 접종에서 수량은 1,774.2kg/10a로 수량감소율은 49.2%였으며 2차 접종에서는 수량 2,220.5kg/10a로 수량 감소율은 36.5%였다.
파 파밤나방의 유충밀도와 수량감소율과의 관계는 정식 5일은 Y=-43.474x + 3419.6(R2 = 0.9698), 정식 20일에는 Y=-32.977x + 3518.9(R2 = 0.9928)로 배추재배 시 정식 5일째 요방제 수준은 20주당 1.8마리이며, 정식 20일에 발생하는 경우 20주당 4.6마리였다.
파밤나방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율과 수량감소율의 관계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피해가 클수록 수량 감소율도 크게 나타나 대파의 수량에는 파밤나방의 피해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yrausta panopealis is the major pest in green perilla. The larva weaves a web on the shoot of green perilla and damages. In case of extreme, The larva cuts the main branch of green perilla and the leaf of green perilla isn’t harvested anymore.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control thresholds (CTs) for P. panopealis injuring green perilla in green-houses. Different densities of P. panopealis ranged from 1 to 20 crops (2 units per crop) per 100 crops on 13. June, early inoculation. The number of injured leaf and the rate of injured crop were increased by 23. June, on the other hand were decreased after that day. Also, the amount of yield sow the same result above. The economic loss time calculated by the ratio of cost managing this moth to market price (C/V) (C: cost managing a moth, V: Market price) was 4.0%. The economic injury level was 5.1 larval per 100 crops.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was 4.1 larval per 100 crops.
Control thresholds for the management of beet army worm, Spodoptera exigua (Lepidoptera : Noctuidae) were evaluated on welsh onion of two different planting time. Two inoculation times were tested for each planting and the number of inoculated larva was 5, 10, 20, 40 per twenty plants. The injured rate of leaves was 33.5% to 10.9% at 7th September at 40 to 5 larva inoculation plot on the five days planting. That of leaves was 20.5% at 40 larva on the twenty days planting. The yields of welsh onion on non-inoculation plot were 4,395 ㎏ per 10a. The rate of reduced yields was 49.2%(1,774.2 ㎏) and 36.5%(2,220.5 ㎏) at 40 larva inoculation on the 5 and 20 days planting, respectively.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yield reduction were as following, it was Y=-43.474X + 3419.6 (R² = 0.9698) for 5 days and Y=-32.977X + 3518.9 (R² = 0.9928) for 20 days.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trol threshold level was estimated to be 1.8 larva for 5 days and 4.6 larva for 20 days per 20 plant. The more damaged leaves by S. exigua larva, the more yield reduction on welsh o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