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7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가축분 퇴비(이하, 음폐 퇴비) 사용은 농경지의 작물 생산량 증가 및 토양 이화학성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농경지의 과도한 음폐 퇴비 사용은 작물 생육 저해, 농경지 양분 유출로 인한 하천의 부영양화 등 토양 환경에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폐 퇴비(Food Waste Compost with Manure, FWC)의 사용량을 달리하여 노지에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처리구는 무처리구 (NF), 무기질비료 처리구(NPK50%, NPK 100%), 음폐 퇴비와 무기질비료 50%를 투입한 처리구(NPKFWC1, 2, 3)로 달리하였다. 시험 후 토양 화학성 결과, 음폐 퇴비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기물, 유효인산, 교환성 양이온 등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고추 생육 조사 결과, 1년차 전체 주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NPKFWC1, 2에서 NPK 100%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음폐 퇴비를 3배 처리한 NPKFWC3은 NPKFWC1, 2에 비하여 약 10% 감소하였다. 2년차 전체 주당 생체중은 NPKFWC1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NPK 100%에 비하여 약 29% 높았다. 또한, 음폐 퇴비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본 연구 결과, 음폐 퇴비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양분의 과량 축적 및 고추 생육이 저해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음폐 퇴비 사용 시 정량(1,309 kg 10a-1)을 사용할 것을 추천하며, 장기적 사용 시 노지 및 시설 등의 작물 영향 평가 등의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재배지에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가축분 퇴비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가축분 퇴비(Food Waste Compost with manure, FWC) 연용 시 시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3년간 수행하였다. 퇴비 처리는 사용량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촌진흥청 시설 토마토 표준 시비량(N-P2O5-K2O=20.4-10.3-12.2 kg 10a-1)의 총 질소량 기준 100%로 하여 무기질 비료 반량 + FWC 정량(NPKFWC1), 무기질 비료 반량 + FWC 2배량(NPKFWC2), 무기질 비료 반량 + FWC 3배량 (NPKFWC3)을 처리하였다. 또한, 무기질 비료 사용량에 따른 변화를 퇴비와 비교하기 위해 무기질 비료 반량(NPK 50%) 및 무기질 비료 정량 (NPK 100%, Control) 처리하였다. 초장은 FWC 처리구가 대조구 대비 높았으며, SPAD-502 값은 NPKFWC2에서는 증가하였으나, NPKFWC3는 대조구 대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년차 수확 후 토양 pH의 경우 NPKFWC3에서 6.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토양 EC는 NPKFWC1에서 9.5 dS m-1로 가장 높았고, NPKFWC3 처리구에서 6.9 dS m-1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3년간 전체 처리구 간 과실의 평균 횡경, 종경, 당도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NPKFWC2까지는 높았으나, NPKFWC3에서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무기질 비료 반량에 음식물류폐기물 혼합 가축분 퇴비 처리 시 추천 시비량 대비 2배량까지는 생육 및 수량이 증가하나 3배량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oking, especially meat and fish grilli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ources of indoor and outdoor particulate matter (PM). Most of PM emitted from cooking is ultrafine dust (PM2.5). Since odorous organic acids, aldehyd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absorbed by PM and discharged, restaurants and food service industries are major sources of odorous PM emission that cause odor nuisance complaints in cities. PM emitted from cooking also contain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which are carcinogens. In this paper, the domestic PM emission status of biomass combustion, especially meat and fish grilling, was analyzed temporally and spatiall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PM emission concentrations, emission rates, emission factors and their compositions from cooking we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food ingredient types, cooking methods, seasoning and oil addition and fuel types on the PM emission were reviewed. Much more PM was produced when cooking with charcoal rather than electricity or gas. The higher the fat content of food ingredients such as intestines, the higher the PM emission concentration and emission rat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M emissions depending on the cooking oil types, and the PM emission concentration was high when olive oil or corn oil was used.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more information through followup studies on the emission concentrations, emission factors and properties of PM emitted from cooking activities.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for controlling odorous PM in restaurants and food service industries, and predicting the impacts of odorous PM on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6,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수분 음식물 및 농업 폐기물을 재활용한 고형연료 제조에 필요한 열분해장치를 개 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kg/hr인 실험실용 열분 해장치를 제작하였다. 건조 처리된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폐기물을 열분해처리용 실험 원료로 사용하 였다. 원료종류, 열분해 온도, 열분해 시간에 따른 농업폐기물과 음식물 폐기물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 하였다. 농업폐기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55.35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3,333kcal/kg으로 측정되었다. 열분해처리 하지 않은 농업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3,400kcal/kg, 저위발열량은 3,090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음식물 폐기 물 건조물의 열분해 처리 결과, 열분해 처리능력은 평균 88.27kg/hr, 저위발열량은 평균 4,016kcal/kg 으로 측정되었다. 열분해처리 하지 않은 음식물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4,040kcal/kg, 저위발열량은 3,686kcal/kg으로 측정되어 열분해처리로 발열량이 역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처리능력은 연구목표치인 50kg/h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저위발열량은 연구목표치인 4,000kcal/k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저위발열량 측정 기준 함수율이 습량기준으로 약 10%로 추정되는 바 5%로 조절하 고, 열분해 열풍온도를 상승시키면 발열량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파일럿 및 상용급 규모에서 UF 분리막을 결합한 혐기성 소화 공정을 장기간 운영하여 분리막의 성능, 소화효율, 바이오가스 생산량과 수질 등의 다양한 인자를 도출하였다. 파일럿 규모에서 막의 투과 플럭스는 15∼20 LMH, 막간 차압은 1∼3 kgf/cm2로 운전되었다. 유입수의 TCOD 와 SCOD 는 각각 113 g/L, 62 g/L 이었고, 유출수의 TCOD 와 SCOD는 UF 공정 이후 제거효 율이 93% 및 86% 로 나타났다. 상용급 규모의 운전 결과, 분리막의 투과 플럭스는 12∼15 LMH로 나타났다. 유입수의 CODcr, TS, VS는 각각 236 g/L, 62.5 g/L, 50.2 g/L였으며, 농축여과분리막을 통과 후 제거율은 각각 99%, 94% 및 98%로 조사되었다.
        8.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식물류폐기물의 에너지 잠재량은 2,206 천TOE 임에도 대부분 사료화와 퇴비화로 약 85.5%가 재활용 되고 있으며, 해당 시설에서 생산된 제품 중 사료화는 72%, 퇴비화는 61%가 무상판매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을 반탄화 반응을 이용하여 연료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음식 물류폐기물만 단독으로 연료화 할 경우 연료적 가치가 낮아짐을 예방하고자 하수슬러지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비율은 10:0, 8:2, 6:4, 5:5로 하였다. 실험 결과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반응온도 240℃이상에서 함수율 10%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 었다. 고정탄소의 경우 반응온도가 높아질수록, 하수슬러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기 1.1%에서 최대 약 36% 로(혼합비율 6:4, 반응온도 270℃) 측정 되었으며, 발열량의 경우 반응온도 24 0℃부터 고형연료제품기준인 3,000Kcal/Kg 이상에 만족하는 발열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기시료보다 약 6 배 정도 증가한 발열량을 얻을 수 있었다. Van krevelen Diagram이 Lignite 범위까지 이동하였으며, 슬 러지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은 연료비와 5,500Kcal/kg 이하의 연소성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하수슬 러지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발열량은 감소하지만, 고정탄소 함량 증가, 연료비 개선 등으로 음식물류 폐기물만 단독 고형연료화 한 것 보다 연료로써의 품질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를 대량사육하기위해 발육 기간 동안 음식물건조사료를 주성분으로한 먹이로 조성을 달리하여 사육하였다. 먹이조성비율은 산란된 알의 부화유도배지, 부화유충 1, 2단계 먹이로 서로 다르게 제작하였다. 부화유도배지는 육성돈사료와 물을 4 : 6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부에 밀기울을 3 ㎝ 두께로 덮었다. 부화유충 1단계먹이는 음식물건조사료(50%), 맥주박(40%), 밀기울(9%)에 당밀과 발효액을 각각 0.5%씩 혼합하였고 부화유충 2단계먹이는 음식물건 조사료(99%)에 당밀과 발효액을 0.5%씩 혼합하였다. 부화유충먹이의 함수율은 약 60%로 제작하였다. 부화유도배지에서 동애등에유충은 부화 후 3일간 사육한 후 유충 1단계 먹이로 7 ~ 8일간 사육하였고 2단계 먹이로 6 ~ 7일간 사육하였다. 사육한 종령 및 번데기는 수확하기 전 2일 동안 먹이를 공급하지 않았다. 동애등에유충과 번데기를 수확하기위해 진동채로 분변을 분리하여 수확하였다.
        11.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im at the workplace which is report target about person who emits much food waste, apartment house and detached house. We respectively selected 3 places in this study. Density of average complex bad odor which is generated in storage container of food waste appears high in order of workplace(2,523.8 OU/m3), apartment house(2,135.7 OU/m3) and detached house(1,556.5 OU/m3). And then, it doesn’t seem like big difference. However, these appear degree of bad smell intensity which is more than 3. Meanwhile, bad smell intensity about 3 same occurrence sources which are classified (three places which are respectively workplace, apartment house and detached house)appears big difference. Therefore, we must completely follow the meter-rate system of food waste to reduce the bad smell intensity of storage container of food waste. Also, we must use verified products in order that quality of exclusive storage container prohibits leakage of bad odor. And then, we must periodically clean the storage container and sterilize it. In addition, when we discharge food waste, we must decrease moisture content to squeeze included water. Also, we must make an effort to reduce storage period , as much as possible. And then,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 about this.
        4,000원
        12.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2012년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수입 시장 규모는 1억호 이상의 가정 중 1%에도 못 미치는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약 2400만 달러로, 현재까지는 가정용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제가 없으며 정부의 수거 및 재활용 계획이 일부 시범지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점차 확대될 전망으로 향후 큰 시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선호 가격대와 타겟에 대한 분석 이후, 분리수거가 활성화된 지역 중심으로 중국 하수관거의 특징 등을 고려한 기술을 채택한 제품을 개발하여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4,000원
        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expert system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is proposed. The method of material flow analysis (MFA) is applied. Proper handling of waste beyond the terms of the need for proactive research been mentioned before, but actually cause the waste generator research focuses on consumer behavior and the business community to analyze the flow of materials within the study are insufficient . In this paper, the type of food consumption and food wast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secondary schools in the diet is provided for student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the target model diet expert system was reconfigured . Preference for leaving the food in the diet leads to the important information that is Each diet recipes that make up the target material flow analysis (MFA) was constructed to perform all the database . This database is currently being generated from the rain while cooking diet edible plants and materials to reflect the self-esteem following the recommended diet is used to create . Reducing food waste is actually being used currently in research knowledge to the knowledge base was constructed . Future Home Smart System wa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system to the user , by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utilization can be expected.
        4,000원
        1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삼킴 시 음식물의 점도 및 양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단계적으로 점도와 양을 증가시킬 때 나타나는 삼킴근육의 근활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D광역시 ○○대학교에 재학중인 건강한 성인 40명(남 20명, 여 20명)을 대상으로 surfaceElectromyographic(sEMG)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점도와 양에 따른 삼킴 시의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활성크기를 측정하고, 음식물의 점도와 양의 변화 시 삼킴에 따른 노력의 정도를 객관화된 수치로 나타내고자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사용하였다. 결과 : 음식물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목뿔위근육의 근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음식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의 근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구강 내 조절 및 인두기 삼킴 반사가 저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하의 식이를 결정할 때 점도의 정도와 양을 고려한 식이 추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식물의 삼킴 시 목뿔위근육과 목뿔아래근육에 요구되는 근활성도를 추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4,300원
        1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of plate waste and prevention of plate waste reuse in foodservice operations. To achieve these goals, we surveyed the entrepreneurs of foodservice operations,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and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food safety enforcement about their perceptions and strategies on plate waste management. The professionals’ survey indicated that definition of plate waste needed to be clear for understanding. Also Korean food culture insisting on abundance and variety table settings, foodservice owners' demands for cost reduction, and foodservice workers' insufficient safety perceptions were indicated to bring forth the practice to reuse plate waste. The effective ways to control plate waste management were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s for Korean food culture upgrade among consumers and improvements of safety perceptions among owners, as well as workers. Also small portion size was needed to reduce plate waste.
        4,000원
        1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ants from boiled egg samples were measured through time between fresh and decayed status. Air samples released from boiled eg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ve different period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set for 9 days. The concentration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carbonyl compounds (CC), and NH₃ were generally higher than others lik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ver the entire period. Among target compounds, the concentration of H₂S recorded the maximum value of 3.65 ppm immediately after boiling which indicates its maximum contribution as odorant in fresh stage. In addition, some odorants (i.e. CH₃SH, AA, PA, BA, and VA)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7.52 to 50.8 ppb. Emission of most odorants generally decreased after 1 day of boiling, although their concentrations increased again after 3 days to reach the peak values after 6 days. The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measured by air dilution sensory test samples between fresh and decayed egg showed patterns similar to H2S. In additio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p<0.01) between complex odor and H₂S.
        4,800원
        1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market of the food waste disposer has increased. Therefore, many companies in the development of food garbage disposer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is study, we used QFD (Quality Function Development) to find out the quality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od waste disposer reflecting the consumer needs. HOQ (House Of Quality)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 was written by investigating the consumer needs based on the consumer complaints and survey. In addition, we generated the CTQ (Critical To Quality) reflecting the weighting of the importance of the parts. As the research result, the important quality factors for the food garbage disposer were the grinding capability, drying, and odor emission features. The crushing motor associated with grinding and dehydration appeared as the most important quality factors among the parts. Second thing was the fan motor associated with odor. The finding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od waste disposer reflecting the consumer needs.
        4,000원
        18.
        201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results of three components analysis about food waste, moisture content appeared high in order of school(89.1%), townhouse(64.9%), apartment(63.2%) and home(63.2%). And content of ash also appeared high in order of school(8.8%), townhouse(6.3%), apartment(5.4%) and home(4.2%). This is judged as cause of difference of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emission-source, diversity of kind of cooked food and volume-rate disposal system which is not performed. Meanwhile, combustible content is 10.9~32.6% and it is the most highest in order of home, apartment, townhouse and school. And big difference of standard deviation of apartment and townhouse is judged as difference of homogeneity due to co-emission of food waste. In addition, Low heating value appeared high in order of home(1086.07 kcal/kg), apartment(1033.69 kcal/kg), townhouse (678.07 kcal/kg) and school(9.18 kcal/kg). And the reason that heating value of school is very low is error about simple formula which is applied when moisture content is more than 50%.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is difficult in analysis of Low heating value of food waste.
        4,000원
        1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식물 폐기물 침출수를 처리하는 분리막 결합 고온 혐기성소화공정(생물학적 반응조) (Anaeorobic Membrane Bioreactor, AnMBR)의 파일럿 운전에서 분리막의 교차여과 속도와 막간압력이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정압여과 하에서 교차여과 속도가 증가할수록 파울링의 속도는 현격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향은 낮은 막간압력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막간압력이 증가할수록 여과대상 물질의 압축성으로 인해 투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파울링층(혹은 케익층)이 분리막 표면에 형성된 것에 기인된 듯하다. 여과대상 시료의 입도분석을 해 본 결과 입자크기는 약 10~100mum 범위에서 분포하였고 이에 따라 브라운확산에 의한 역수송보다 분리막 표면에서 교차여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력이 입자의 역수송에 더욱 기여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이는 AnMBR의 연속운전을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다. 운전 후 막 부검을 실시한 결과 유기 및 무기 파울링이 모두 관찰되었으나 어느 것이 지배적인 파울링 기작을 나타내는지는 앞으로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 무기 파울링의 경우 대부분 분리막 표면에서 스케일링 형성이 지배적이었으며, 따라서 분리막의 공극 막힘에 주로 기여하는 작은 콜로이드성 유기물질의 경우 분리막 표면에서 전단력에 의한 역수송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including H₂S, CH₃SH, DMS and DMDS released via cooking were investigated. Cooking smoke samples were produced by two different cooking methods (fry and steam) and analyzed for direct comparison between three types of food (cabbage, clam and coffee bean). In general, a large quantity of RSC came out from fried foods relative to steamed foods. The conversion of RSC concentration to odor intensity (OI) showed OI values in the range of 2.54∼6.41 for fried foods and 1.23∼3.68 for steamed fo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and establish environmentally friendly cooking method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