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웹툰을 한국어 교육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위 해 웹툰의 의성·의태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에 두 편의 인기 웹툰에서 무료제공되는 회차에서 300개의 의성어와 의 태어를 추출하여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웹툰에 사용되는 의성·의태 표현 이 사전에 등재된 어휘인 경우도 있지만, 사전에 미등재된 어휘인 경우 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형태적으로 변형이 가해지기도 하고, 다양한 품사들이 의성·의태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작가의 판단과 필요에 따라 새로운 어휘들이 웹툰 안에서 의성·의태 표현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며, 하나의 의성·의태 표현이 2개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기존의 만화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 만 세부적으로는 더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다. 이렇게 웹툰의 의성·의 태 표현의 변형, 생성이 자유로운 이유를 웹툰의 특징인 실제성, 상호작 용성, 추측 가능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웹툰을 언어교 육에 적용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보니 웹툰 언어의 특징을 분석하 지 못한데 반해 본 연구는 웹툰 언어의 특징을 언어학적 관점에서 다루 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웹툰 언 어의 특징들을 형태, 의미, 통사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면 한국어교육, 한 국어 통·번역 교육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6,400원
        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some features of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onomatopoeia, which include onomatopoeic and mimetic expressions. The study analyzed 115 expressions from the 16 works of hangari (pot) which is written by Chung Ho-sung, one of the most well-known Korean writers. The Chinese translations were found to b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types: 1) maintaining onomatopoeia; 2) switching into patterns; 3) providing explanations; 4) deleting and 5) differentiating interpret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ype 3 (providing explanations) was most frequently used, being responsible for 39% of all the Chinese translations. Type 1, maintaining onomatopoeia, was responsible only for 26% of the translations, confirming that Korean has much more abundant onomatopoeia than Chinese. The other three types ranged from 10% to 14%, which requires some particular attentions of the translators. Finally, the study suggests a specific classroom activity which can facilitate effective learning of onomatopoeic translations of Korean into Chinese.
        5,200원
        4.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at studying how the effects of Animal Assisted Therapy on the elderly’s depression, cognition are. The ques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s. 1. What is the demo-soci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 Uisung nursing home? 2. What are the effect of Animal Assisted Therapy on the elderly’s depression, cogni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the data by interviews through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s dur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elderly in Uisung nursing home are as follows. In the demo-socio factors, the elderly’s average age is 78, The score of depression of experiment group is 47 in comparison of the previous test 52. The score of cognition is 14 in comparison of the previous test 13. Although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post test of MNSE-K, depression, the differences of test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post test of MNSE-K,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meaningless. With a view of this point, we can conclude that we need more observation of the effect of the animal assisted therapy in nursing home Uisung area in spite of better conditions than before. The agency to solve the elderly depression, cognition in nursing home need more observation to recogniz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depression, cognition in Uisung Kyungbuk Area. In reality, the elderly in nursing home feel more better than before therapy, which implication is very meaningful in elderly welfare.
        4,300원
        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d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communic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1). 145~17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summarize concretely what kind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have been used, and analyze the semantic function, the features of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of “came from everyday words” and “made in interne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the followings.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concomitant features of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twork communication were confirmed. On the contrary, there are also a few kinds of differences. On account of character input features of Chinese, many pinyin character's repetition forms and pinyin character reduction forms had been used. The “ORZ” and other image letters were used fo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together by China netizens. Take it as a whole, because of differences in characters and character input mode of two languages,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ut they have many similarities of usages, on account of the same motivation and culture of netlanguage us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communication.
        7,700원
        6.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안동시, 영덕군, 의성군, 청송군 일대 총 17개 지역에서 2010년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노린재목과 매미목 분포를 쓸어잡기법으로 정량 조사한 결과 노린재목은 16과 82종, 매미목 13과 78종이 채집되었다. 그리고 노린재목에서 소금쟁이과 1종, 쐐기노린재과 3종, 장님노린재과 22종, 침노린재과 3종, 실노린재과 3종, 뽕나무노린재과 1종, 긴노린재과 10종, 허리노린재과 7종, 호리허리노린재과 1종, 잡초노린재과 4종, 알노린재과 2종, 뿔노린재과 5종, 땅노린재과 1종, 광대노린재과 1종, 억세노린재과 1종, 노린재과 17종이 채집되었고 매미목에서는 쥐머리거품벌레과 1종, 거품벌레과 5종, 뿔매미과 4종, 매미충과 45종, 큰날개매미충과 3종, 긴날개멸구과 1종, 줄강충이과 1종, 좀머리멸구과 1종, 꽃매미과 1종, 상투벌레과 1종, 장삼벌레과 4종, 멸구과 8종, 매미과 3종으로 총 160종이 채집되었다. 한반도 전체의 노린재목 687종중 11.9%인 82족과 매미목 501종중 15.6%인 78종이 채집되었다. 이 중 노린재목 1종과 매미목 7종이 한국특산종으로 조사 되었으며 주로 의성군에서 채집되었다.
        9.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uthern margin of Euiseong sub-basin north of Mt. Palgong, Daegu is composed of Cretaceous elastic sediments, which were intruded by Palgongsan granitic rocks at the end of Cretaceous period. During investigation of the heavy minerals extracted from the sediments, plenty of the unstable heavy minerals like epidote and garnet etc. compared to other parts of Kyungsang basin necessitated the study of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diagenesis of the sediments. The occurrence of those unstable heavy minerals such as epidote and garnet seems to be associated with intrusion of Palgongsan granite and accompanied metamorphism. Twenty four representative specimens throughout the area were studied for grain size analysis and clay mineralogy. The grain size ranges from fine to medium sand fraction, showing fining upward trend from Nagdong through Hasandong, Jinju, Iljig, Hupyeongdong to Jeomgog formations. The sand grains are moderately sorted, normal to very negatively skewed, and mesokurtic. The bivariant grain size analysis tests such as skewness vs standard deviation (Friedman, 1967) and mean diameter vs standard deviation (Moiola and Weiser, 1968) strongly suggest fluvio-lacustrine environment. The clay minerals extracted from eight of the specimens are illite and chlorite . Mixed layer clay minerals are not identified. Illite crystallinity of the illite diffraction peaks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diagenesis. The illite crystallinity ranges from 2.23° to 6.20°(Weaver index values) and from 0.25 2B to 0.60° 2θ (Kubler index values) and strongly suggests that some of the specimens already passed through zone of diagenesis and transfered to anchizone.
        4,000원
        10.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관리로서 처음 독도를 확인함으로써 『세종실록』「지리지」(1454)의 기록이 조선정부의 명확한 영토인식을 나타내는 「울릉도사적」의 장한상에 주목한다. 울릉도 수토활동을 동해 독도 수호에 공적을 세운 인물이라는 측면에서 비안고을의 장한상이라는 인물상을 확인하고, 부친 장시규 공과 더불어 국토방비에 큰 공적을 세웠다는 의미에서 ‘양대 절도사(兩代節度使)’ 행적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그 공로로 봉토를 하사받게 되는데 비안고을에서 순천 장씨(順天張氏)의 입향과 세거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절도사를 모셔놓은 경덕사, 세거지와 제실, 묘소 등을 답사하여 살펴보고, 독도 지킴이 장한상을 의성의 역사적 인물로서 어떻게 부각시킬 것인가를 고민한 것이다. 독도에 관한 사료가 상당부분 일본 측에 존재하고 있기는 하나, 장한상의 「울릉도사적」은 국내에서 몇 안 되는 중요한 사료이다. 그러기에 의성 비안고을이 낳은 인물 장한상은 독도 수호에 기여한 중요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의 업적과 존재에 대해 인식과 관심이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역사문화 유산이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의성이지만 지역이 가진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더 찾아내고 이를 의성의 역사문화콘텐츠로 조금씩 부각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지역 역사적 인물의 가치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울릉도 수토관 장한상’에 관련된 유적과 유물, 문서 등이 관리 소홀과 도난 등으로 많이 유실되고 있는데, 적어도 관련 유적 및 유물에 대해서 보존과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울릉도사적」뿐만 아니라 관계되는 사료 등을 통해 장한상의 업적을 다시 점검하여 ‘독도를 수호한’ ‘의성’의 ‘역사적 인물’로 부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11.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Uiseong Binggye-ri Ice Valley of Korea, where a low temperature talus is located. The talus temperature at Ice Hole near the lower end of the talus remained at 0°C until summer or autumn and averaged -0.3°C over 2 years. The talus temperature at Warm Hole was much higher than the external air temperature during autumn and winter. The outflow of warm air at Warm Hole begins in the late summer of fall. The direction of airflow through the talus surface was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alus temperature and external air temperature. Annual variations in talus temperature and air exchange between the talu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It was found that the airflow directions at Warm Hole and Ice Hole were not necessarily opposites. The outflows from the talus at Ice Hole and Warm Hole can occur simultaneously.
        1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북 안동시 갈라산(해발 596.2 m, 북위 36˚29'396"~36˚29'356", 동경 128˚43'841"~128˚45'799")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6년 4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총 92과 273속 365종 2아종 47변종 10품종의 총 424종류로 정리되었으며,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9종류, 약용 291종류, 공업용 109종류, 관상용 135종류,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 24종이었다. 특기할 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9종류,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 II급이 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III등급 7종류, IV등급 1종류, V등급 2종류,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1분류군, 위기종이 3분류군, 취약종이 2분류군, 귀화식물이 23종류로 나타났다.
        1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성 옥동광산에 적치되어 있는 광미는 미세분말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 구성광물은 황철석, 섬아연석, 녹니석, 일라이트, 사장석, 스멕타이트, 석고 등이다. 점토광물 중 스멕타이트는 광미 적치장 상부에 집중되어 있고 하부로 갈수록 녹니석이 증가한다. 석고는 광미 적치장 표면에 주로 나타나는데 이는 광미와 반응한 침출수가 증발하면서 침출수에 포함된 Ca와 SO4가 반응하여 침전된 증발잔류물로 추정된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광미에 포함된 섬아연석은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풍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랜 시간동안 지하수와 반응하여 다량의 Zn과 SO4를 침출수에 부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4.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의성지역의 약용작물 생산현황(生産現況) 및 경영분석(經營分析)을 위하여 약용작물 재배 농가 147호를 대상으로 재배실태와 작물별 소득(所得)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특화계수(特化計數)가 1이상인 작물은 작약(21.59), 산수유(14.82), 시호(7.90), 지모(6.41), 지황(3.96), 두충(3.44), 목단(2.28), 백지(1.51)순으로 나타났다. 2. 조사농가의 평균 토지이용면적(土地利用面積)은 1.92ha이었는데, 그중 밭이 1.35ha. 논은 0.56ha이었다. 농지분포(農地分布)는 농가당 평균 3.1곳에 10.2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용작물부문에 년간 노동투하(勞動投下)는 31.1%를 차지하였다. 3. 조사대상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은 36개 작물로 농가당 평균 2.4작물이었다. 대표적인 작물은 작약이었는데, 조사농가 147호 가운데 85농가가 참여하여 30.72ha를 재배하고 있었다. 4. 약용작물 재배실태를 보면, 작약, 시호, 택사, 길경, 황기, 감국 등은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추세(趨勢)이고 홍화는 새로운 소득작물(所得作物)로 재배되고 있으며, 더덕, 지모, 지황, 원황정, 백출 등은 재배 면적이 늘어났다. 5. 36개 약용작물중 10a당 평균소득이 높은 작물은 홍화(2,775천원), 원황정 (2,706천원), 일천궁(2,573천원) 등의 순이었으나 재배농가에서는 농가여건에 부응하면서 위험부담이 적고 가격안정(價格安定)이 기대되는 작물을 선택하여 농가 수준에서 부가가치(附加漂値)를 최대한 증대(增大)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15.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最近) 질병(疾病)의 예방(豫防) 및 치료(治療) 한약재(韓藥材)와 국민건강증진(國民健康增進) 식료품(食料品)으로 수요(需要)가 증가(增加)하고 있는 작업(芍業)의 신품종(新品種) 육성(育成)을 위(爲)하여 경북(慶北) 농촌진흥원(農村進興院)에서는 1987년(年)부터 1993년(年)가지 7개년간(個年間) 국내(國內) 산야(山野)에서 지방재내종(地方在來種)을 수집(蒐集) 공시(供試)하여 순계(純系)를 분리(分離)하고 우량계(優良系) 통(統)에 대(對)한 생산력검정(生産力檢定)과 지방적응성(地方適應性) 및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기존(旣存)의 지방재래종(地方在來種)보다 양질다수성(良質多收性)인 의성작업(義城芍業)을 육성(育成)하였던바 그 主要特性(주요특성)과 수량성(收量性)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의성작업(義城芍業)은 홀꽃의 적색(赤色)으로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에 비(比)해 맹아수(萌芽數)와 근수(根數)가 많고 줄기도 굵으며 뿌리도 직근(直根)이어서 초기생육(初期生育)이 왕성(旺盛)하여 양질(良質)의 생약재생산(生藥材生産)에 유리(有利)한 품종(品種)이었다. 2. 출현기(出現期)와 개화기(開化期)가 빠르고 경장(莖長)이 짧으며 주당(株當) 경수(莖數)와 근수(根數)가 많아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으로 유망시(有望視)되었다. 3. 일반적(一般的) 품질(品質) 특성상(特性上)으로 의성작업(義략城릇芍)은 근육색(根肉色)이 백색(白色)이고 직근(直根)이며, Paeoniflorin 함량(含量)도 높았다. 4. 화학적(化學的) 품질특성상(品質特性上)으로는 풍기재내(豊基在來) 대비(對比) 총당(總糖)은 12.22%, 전분(澱粉)도 9.8%나 많았으며 조단백(粗蛋白)과 조회분(粗灰分)은 대등(對等)하였고 조섬유(粗纖維)는 1.17% 적었다. 5. 의성작업(義城芍業) 병충해(病蟲害) 및 도복성(倒伏性)도 대비(對比) 품종(品種)인 풍기재래종(豊基在來種)보다 강(强)하였다. 6. 10a당(當) 수량성(收量性)으로 볼때 의성작업(義城芍業) 대비(對比) 품종(品種)보다 생산력검정시험(生産力檢定試驗)에서 총수량(總收量)은 42%, 상품수량(商品收量)은 13% 많았고, 지성적응시험(地城適應試驗)에서 각각(各各) 32%, 17% 증수(增收)되었고 농가실증시험(農家實證試驗)에서도 총수량(總收量)은 27%, 상품수양(商品收量)은 19% 증수(增收)되는 양질(良質) 다수성(多收性) 품종(品種)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