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05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선형적 서사 기법은 시공간적 초월성과 설득력 있고 다양한 가능성의 사건 전개의 방식을 말하며 이를 뮤지컬의 등장인물에 적용하며 서사를 전달하는 주인공이 아닌 다른 등장인물들 중에서 비선형적 인 인물의 가치와 역할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인물이 아닌 새로이 창작된 인물들이 등장하는 뮤지컬 <엘리자벳>과 <서편제>를 통해 비선형적 인물들을 규정하고 이들의 음악적 역할들을 분석하였다. 뮤지컬 <엘리자벳>에서 루케니는 지속적인 사건 개입과 시간과 공간으로 넘나들며 관객을 이끌어가고, 토드는 추상적인 의미를 인물화 하여 음악적 변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비선형적 인물이다. 뮤지컬 <서편제>의 비선형적 인물은 대중음악을 공연을 위한 새로운 인 물 춘식으로 다른 음악적 양식을 융합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동호모는 비선형적인 인물로 죽음과 상처 그리고 오랜 유랑생활을 상징하는 초월적 인물이며 시공간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뮤지컬 주인공이 아닌 비선형적인 인물들을 분석하여 무대에서 시공간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고, 다양한 음악 장르들을 융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흥행적인 요소를 가진 뮤지컬 배역을 개발할 수 있다. 뮤지컬에 서 비선형적인 인물들의 연구는 다양한 음악의 융합과 보다 구조적으로 짜임새 있는 뮤지컬을 제작할 수 있다.
        4,2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꼭두각시놀음 무형문화재 조 사보고서에 수록된 대본을 기준으로 주요 등장 인물,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 동방삭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한 것 으로, 조선 후기 다양한 사당패들에 의해 공연된 각기 서로 다 른 인형극이 옴니버스 형태로 융합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64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꼭두각시놀음은 조선 후기 꼭두각시, 박첨지, 홍동지, 평안감사를 중심인물로 공연된 인형극이 통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둘째, 꼭두각시는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대변하는 인물로 자 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결정하는 인물로 순종적이면서도 진취적 인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박첨지는 가부장적 남성 중심 사회에서 허세와 권위 의식에 사로잡힌 인물로, 권위주의적이고 남성중심적인 마초 (Macho)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홍동지는 순박하고 어눌하지만 재리에 밝으며, 자신의 힘을 타인을 위해 사용하는 이타적인 인물로 민초들의 능동적 인 삶을 대변하고 있다. 다섯째, 평안감사는 부정부패의 무지몽매(無知蒙昧)한 권력층 을 상징하는 인물로, 효성이 지극한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여섯째, 동방삭은 종교 지도자처럼 고난과 어려움을 위로하 는 역할을 하며, 껌벅이와 묵대사로 분화되면서 그의 매력적인 인물 특성은 사라진다. 본 연구 결과는 꼭두각시놀음의 주요 등장 인물들의 성격을 규명하고, 전통 인형극의 복원과 2차 창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7,8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함미가 그린 『금병매화집』의 인물 형상 표현을 분석하여 그 주요한 특징과 화가의 해석을 추적하였다. 화가는 화집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을 여성 인물, 남성 인물, 군상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기 +주요한 표현 초점을 설정하였다. 여성 인물에 대해서는 ‘신’(神)과 ‘신사’(神似)를 추구하는 중국화 전통의 연장에서, 남성의 시각에서 ‘여성스러움’ 또는 ‘여성미’를 나타내는 다양한 ‘태’(態)를 형상화하였다. 남성 인물에 대해서는 주인공부터 소인물에 이르기까지 개성 있는 형상을 부여하여 화집의 세계를 생동감 있게 만들었다. 또 즐겨 그린 군상 묘사를 통해 군중의 속물성과 타락 한 세태를 비판하여 소설의 주제를 심화시켰다. 화가는 이들 형상을 통해 민국시대 말기 부호와 고관 등 가진 자들의 사치와 성애를 탐닉하는 혼란상을 비판하였다.
        5,500원
        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오지호의 인물화의 변화과정을 통해서,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 아래에서 한 작가는 어떻게 자신의 예술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오지호의 인물화들에서 미술의 세 가지 양식과 그 지리적, 시대적 변용(變容)을 찾을 수 있었다. 미술학교에서 배우고 익힌 아카데미적 사실주의와 사회적 사실주의, 미술 그 자체만이 목적일 수 있는 모더니즘 양식이다. <누드>는 목탄 데생이 기초가 되는 아카데미즘의 인물화이고, <시골소녀>가 아카 데미즘이나 순수미술작품이 아니라 1930년을 전후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현실참여적 작 품이다. 계몽적 문화운동이 끝난 후, 오지호가 만난 색채주의자 반 고흐는 오지호의 작품이 모더니즘으로 가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고, 1937년 <처의 상>은 모더니즘적 인물화라고 할 수 있다.
        7,7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三字經』은 중국의 학동 계몽도서로, 내용은 여러 인물과 史實典籍名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주제별로 보면 가정교육 학식 역사 勤學으로 대별된다. 이 중, 마지막 주제인 ‘勤 學’ 부분에서는 학동들이 훌륭한 동량으로 성장하는데 모범으로 삼을만한 역사적 인물들을 학습의 ‘롤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이미 성현이 되었거나 벼슬아치가 되었으면 서도 배움의 끈을 놓지 않고 열심히 공부했던 인물 이야기도 있고, 가난을 극복한 이야기, 神童 이야기를 비롯하여 조기학습과 만학, 성별을 무시하고 능력을 보여주었던 여성 이야기도 있으며, 열악한 환경에서도 훌륭한 인물로 성공한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도 있다. 본고는 勤學 을 통해 성공한 롤 모델을 여섯 종류의 주제로 나눠 그 특징과 의미를 살피고 있다. 오늘날 아동교육은 날로 발전을 거듭해 가고 있지만, 고전을 통한 인성교육 및 진로지도는 상대적으 로 미미한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三字經』이 소개하고 있는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인물과 고사 유형들을 오늘날에도 적절하게 ‘스토리텔링’하여, 아동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면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데 크게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5,8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한설야의 소설 『탑』이 지닌 문학사적 의미를 인물 분석을 통해 드러내고자 기획되었다. 카프 맹 원인 한설야가 현실을 버리고 구한말 어린 소년을 내세워 글쓰기를 한 이유를 작품의 내적 상황에서 밝 히고자 하였다. 내재적 분석을 시도한 결과 『탑』의 중심 코드인 주인공 우길은 여성 인물 계섬과의 관계를 통하여 신분제의 해체를 겪고, 아버지 박진사와의 갈등을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를 맞는다. 그러나 이런 인물 관계의 분기점은 지속적으로 유보되어서 결말 부분에 이르러서야 표면화된다. 이를 『탑』의 열린 결말이라고 보았다. 그러는 동안 소설 『탑』은 가족사 속에서 가라져 가는 풍속과 가치 문화 를 병렬 구조로 제시한다. 이는 한설야의 작가적 암중모색의 과정에 해당한다. 본고는 『탑』을 1930년대 창작방법이나 장편소설론 속에서 탐색하지 않았다. 『탑』에 대한 더 적합한 논의는 1940년대 한국 문학 의 전체적 조망(외재 분석을 추가하는) 속에서 가능할 것이다.
        5,200원
        7.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based on the 15th century’s architecture Mohwagwan and Taepyeonggwan and the architects behind 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line with Ming dynasty’s protocol, the King of Joseon marched with honor guard in front of his people.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needed to match space was implemented and result in Mohwagwan and Taepyeonggwan. Second, King Taejong founded Mohwaru to share the role with Taepyeonggwan. He appropriately utilized Mohwaru as a place in manners before people enter the Seoul city wall. And He organized this architecture on the level of the palace. Third, Pak Jacheong was overseer the whole constructive process, from the selection of site, landscaping, construction, maintenance to civil engineering of Mohwaru. There are many difficulties, but he completed through the construction work owing to the protection of King Taejong. Forth, Hong Li worked with Pak Jacheong to build Taepyeonggwan and Mohwagwan from Taejong to Sejong. Supervisors in King Sejong times were required not only private capability but also understanding the Confucianism ritual. Hong Li was faithfully performed the role. Fifth, Sejong was recognized only an excellent ruler but he was also a great coordinator with a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architecture. These Sejong’s action fully can be seen as an architect.
        4,200원
        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동양화에서 반복되는 주제인 ‘전통의 계승과 혁신’이란 측면에서 김농의 인물화 작품을 통해 전대 양식의 수용과 자기화 과정과 후대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김농 인물화의 전대 양식의 수용과정을 이공린(李公麟) 을 연상하게 하는 백묘양식과 양해(梁楷)의 감필법(減筆法)과 묵법(墨法), 마화지(馬和之)의 난엽묘(蘭葉描), 곤잔(髡殘)의 도 상(圖象)의 영향으로 세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고, 자기화 과 정을 거쳐 예체(隸體)를 연상시키는 서법적인 붓질을 이용하여 중국 불화 역사상 가장 독특한 구조를 가진 불상도인 <설색불 상도(設色佛像圖)>의 새로운 창작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 히 김농의 <달마도>는 청초 개성파 화가인 곤잔의 영향을 받 아 제자 나빙(羅聘)을 거쳐 해상화파 화가인 오창석(吳昌碩)에 게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밝혔다. 인물화는 동서를 막론하고 대단히 오랜 역사적 전통을 지닌 장르이다. 그러하기에 인물화에 관한 조형적 경험과 이론 역시 대단히 폭 넓고 풍부하다. 개괄적으로 정리하자면 서구의 인물 화가 인물의 형태와 색채 등 외형적인 조건에 관심을 두는 것 이라면, 동양의 인물화는 대상이 되는 인물이 지니고 있는 내 적인 내용의 표출에 가치를 두는 것이라 정리할 수 있을 것이 다. 전통적인 동양화론으로서 전신(傳神)은 예술가의 창작개념 에 직접 관여하는 것보다 인물화 작품에 나타나는 정신적인 문 제를 중요시 한다. 그러나 현대미술로서 인물화는 예술가의 창 작주체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전통적 전신의 개념과 뜻을 참고 하여 정신표현의 현대적으로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 금농의 창작 작품 <설색불상도>가 도움이 되길 바란다.
        5,800원
        9.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최근 몇 년간 한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등장인물의 성격 유형과 수행 기능을 살 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MBC TV의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Mnet의 <슈 퍼스타 K2> 주요 등장인물인 TOP4를 대상으로, 이들의 성격 유형을 에니어그램 을 통해 분류하고 수행 기능을 행위소모델과 기호사각형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결 과에 의하면, 두 프로그램의 TOP4 등장인물은 발신자-수신자, 주체-대상, 조력자 -반대자의 3개 대립항이 상호교차 되면서 중복 기능을 하고, 공유하는 정보를 중 첩적으로 이용하며, 특히 주체는 조력자를 통해 추구 대상을 얻기 위한 정보를 학 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프로그램의 등장인물이 관계적 행 위를 통해 다양한 의미론적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이들이 오디 션, 리얼리티, 쇼라고 하는 성공의 욕망을 구체화시켜주는 기제들을 통해 경쟁과 협력이라는 이중의 역설적인 관계 속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6,400원
        10.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her seemingly insufficient time of l0 years, as being an artist, includingthe period of art education, Paula Modersohn-Becker was highly productive in herartist skills by leaving more than 500 oil paintings, 700 sketches and 13 etchings.This suggests that her passion for art was not infinitesimal. Paula Modersohn-Beckermostly worked in the Worpswede Art Association wherein liberty and artisticactivity were highly regarded. In spite of her length of duration within the art circle,she was able to be independent of the shadow of the association because she alwaystried to learn a new approach. Paula Modersohn-Becker, it is understood, that herawareness of Worpswede’s characteristics and overcoming them enabled her toproduce progressive work. The researcher studies the properties of female portraitsin Paula Modersohn-Becker’s work.The researcher noticed that women in Paula Modersohn-Becker’s portraits werenot the only attraction but the accessories which the women are wearing in theportraits also viewers’eyes over them. The researcher also categorizes the variousfemales in her portraits into basic three subjects based on Greek mythology:Persephone, Demeter and Aphrodite, who is unusually used as the goddess of thecreativity in this study, according to Jean Shinoda Bolen’s original grouping form.Repeating the original form of Greek mythology, women, in Paula Modersohn-Becker’s portrait, have a propensity to be classical, and very unlike modernpainting. Paula Modersohn-Becker does not appear to have expressed any sympathy with feminism - which represented the new life-style in the city - and ‘equal rights forwomen’in those times perhaps because of her bourgeois background and also hersupport for Worpswede’s conventional female distinctiveness based on naturalism.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Paula Modersohn-Becker had a pre-modern view ofwomanhood, what we should heed is regardless of whether it be modernism or not,is that she had her own thoughts in a subjective way. Not only did she have themodern impression of tableau but she also worked as a professional female painterwhich was her dream and a most unusual career for a woman in those days. Thisproves that Paula Modersohn-Becker had a independent and subjective view of herprofession. Suggested to be the forerunner of female artists among phallic Germanexpressionism, Paula Modersohn-Becker should not be misjudged as an old-fashioned woman judged only by her painting.One omission in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er does not study comprehensiblyPaula Modersohn-Becker as the forerunner of German expressionism. In spite of thefact that Paula Modersohn-Becker’s achivements have been referred to as result ofrecent studies of German expressionism, there is not enough data about her works,with the consequent lacking of concrete studies of her and her works. Havingstudied Paula Modersohn-Becker with the diverse approaches hereafter,achievements of German expressionism are, hopefully, more affluent.
        6,700원
        1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촬영에 HDTV 따른 인물 숏(shot)에 대한 카메라 구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기존 연구와 관련 전문서적들은 픽션쟝르(fiction genre)인 드라마와 영화에초점을 맞춰져있다. 그러나 텔레비전 편성에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넌픽션쟝르(뉴스, 교양 등)에 대한 인물 숏 구도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넌픽션쟝르에서 4:3의 화면비와 16:9의 화면 비에 따른 인물 숏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디자인되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HDTV의 기술적 특성과 심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주된 기술적 특성은 인간의 시야각에 부합된 16:9 화면비율과 고화질의 영상이었다. 심미적 특성 시각적 감각과 관습적 감각이 결합된 황금비율의 미적 감각이었다. 이 두 가지 특성이 결합되어 기존의 4:3화면비와는 다른 16:9에서의 인물에 대한 카메라 구도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숏의 사이즈별, 인물과 여백, 스튜디오와 야외 촬영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4:3에서 16:9로 화면비 전환에서 인물 숏의 사이즈는 수평여백, 인물의 좌우 여백이 증가하게 되어 인물의 정면배치보다는 측면배치를 통하여 깊이감을 주어야 한다. 둘째, 16:9로 화면 비에서 헤드 룸, 리드 룸. 룩킹 룸의 경우, 16:9의 헤드 룸은 4:3에서와 같은 관습적인 느낌의 헤드룸을 주기 위해서는 보다 타이트(tight)하게 바스트 숏을 잡아야 한다. 16:9의 룩킹 룸은 3분할 선의 안쪽 사각형 꼭짓점에 인물이 위치해야 시청자로 하여금 안정감과 균형감을 주면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16:9의 리드 룸은 4:3에서의 리드 룸보다 더 많은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셋째, 4:3에서 16:9로 화면비 전환에서 스튜디오 인물 숏은 4:3의 화면보다 여유롭게 그룹 숏을 촬영할 수 있다. 넷째, 4:3에서 16:9로 화면비 전환에서 야외 인물 숏은 4:3의 인물 숏보다 고려해야할 점들이 많다. 타이트한 클로즈업을 해도 주변에 배경들이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4:3에서의 타이트 클로즈 업 느낌을 살리기 위해서는 보다 타이트하게 촬영되어야 한다. 또한 주변 배경을 이용하여 인물에 대한 배경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7,700원
        12.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방영되었던 TV 드라마 ‘SKY 캐슬’의 극중 등장인물의 성격유형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는 의상색채를 통해 살펴보고 그 연관성과 상징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은, 첫째, MBTI 방식 관점에서 드라마의 극중 역할에 따른 등장인물의 캐릭터를 성격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드라마 의상 색채의 상징성을 정의한다. 둘째, ‘SKY 캐슬’ 드라마의 시놉시스에 따른 배역 캐릭터를 MBTI 방식의 성격유형으로 드라마 의상색채가 가지는 상징성을 이해한다. 셋째, ‘SKY 캐슬’ 드라마 등장인물의 성격유형에 따른 드라마 의상의 색채 상징성 특성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SKY 캐슬’의 스토리 이해를 위한 등장인물 한서진, 이수임, 노승혜, 진진희, 김주영의 성격유형은 MBTI 방식으로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드라마 의상에 사용된 색채의 의미와 상징성을 유형화 할 수 있었다. 둘째, MBTI 방식으로 분류된 등장인물의 성격유형은 INTJ, ISFJ, INFP, ENFP, ENTJ/INTJ으로 분류되었으며 의상색채의 관점에서 그 상징성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셋째, 등장인물 한서진, 이수임, 노승혜, 진진희, 김주영의 성격유형 INTJ, ISFJ, INFP, ENFP, ENTJ/INTJ의 관점에서 의상색채 검정, 하양,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상징성을 결과로 도출하였다.
        13.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멀티미디어 정보 환경 중에서도 미국 방위산업체 정보기관의 감시 카메라 속 특정 인물을 색출하는 작업 상황을 가정으로, 사용자가 방대한 영상 데이터 기록물들 가운데 원하는 정보를 한 눈에 분석하고 검색해 낼 수 있는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멀티미디어 검색 환경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실행된 실험에서 CAVE형 가상현실 공간 인터페이스를 검색환경으로 제안하고 데스크톱과 CAVE형 공간 인터페이스를 비교 평가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콘텐츠는 각 과제에 최적화되어 개발된 소프트웨어들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CAVE형 가상현실 공간 인터페이스에서 검색의 효율을 높여주는 입력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였다. 특히, 인간의 움직임에 보다 가깝게 디자인되어 자연스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스처 입력시스템을 중심으로 CAVE형 가상현실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3가지 입력시스템을 사용하여 검색 후 각 과제들에 대한 선호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과제별 검색 수행 시간을 측정하여 효율성 높은 입력시스템을 분석하였다.
        1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ems of Wangsogun. had been written by man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oets in ancient time. Today we can discover several different aspects from the their contents. On this parer,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particular points of three nations' poems in which Wangsogun's life was divided in six terms. The first, I am interested in how poets of each nation described Wangsogun, before she left the court of Han(漢) in old time of China. In the poems, poets of three nations commonly told it very sadly at that time. However Japanese and Chinese poets did not say about it as sad as Korean do. It is very interesting thing that Korean poets sang the fact distinctly. Probably, in Korea the birth and growth of someone are accepted as an important thing than any other country. The second. Wangsogun had lived unhappily in the court of Han, because she didn't be recognized by Woenhe(元帝), the Emperor of Han. Among the poets of Japan and China, this problems were not accepted as a large issue except of Korea. The third, it was really miserable thing for the poets of three countries in ancient East Asia to describe the fact that Wangsogun departed for Hyungno(匈奴). Especially, In Japan, this subject of Wangsogun's poem, was accepted more serioulsy than the other countries. The fourth,it caused variety problems why Wangsogun had to be married to Hohansa(呼漢邪), the king of Hyungno. The poets of three nations generally explained that Wangsogun wanted to go there by herself, but that reason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country. The fifth, the life of which Wangsogun had lived in Hyungno, implicated lots of means in Chinese poems. In historical materials, it was treated very importantly whether Wangsogun was married to his son or not. But, in the poems, many poets of three countries criticized about incapability of Han dynasty. The sixth, at this part, I try to understand the reaction of poets who wrote the Cheongchong(靑家), Wangsongun's tomb. Man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oets sang the Wangsogun's conduct through description of Cheongchong. Especially Korean poets described the mood of Wangsogun's tomb less than Chinese poets. This aspect was caused from Korean poets had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see the Cheongchong. On the above, Icompared three nations ancient poems which told the life of a woman who lived in the court of Han, and was married to Hohansa. We realize the fact that poets of three nations described the life of Wangsogun in various sides of hteir various versions. In many cases, Chinese poets sighed at the tragic fate of their own country, Korean expressed the sorrow of themselves through the Wangsogun's poems, and Japanese sang the grief of Wangsogun who had to go to Orangkae(胡)'s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