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강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Q방법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자녀를 둔 부모 P표본 32명과 31개의 진술문을 표집 하여 Q소팅을 실시하였으며, QUANL-PC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양육강점에 관한 대상자의 인식을 살펴보았을 때 유아자녀를 둔 부모이기에 자녀와의 애정표현 등이 매우 중요하고 긍정적인 강점으로 보편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각 유형별로 자녀의 발달을 이해하고, 발달에 맞는 상호작용을 하고 자녀를 존중하는 것에서는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유아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강점에 관한 4개의 인식유형이 도출되었다. 1유 형 과정중시 관찰강점, 2유형 이해중시 배려강점, 3유형 심미중시 도전강점, 4유형은 탐구중시 활동강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에 관련된 코칭프로그램 등을 설계 시에 강점인식을 바탕으로 설계해볼 수 있다는 것과 부모로서의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유아의 기질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며 개인차가 있어 환경에 의해 변화가 가능하고, 유아의 사회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한 변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발달 특성상 유아에게 있어서 부모의 역할 중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는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일생동안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속성을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유아의 기질과 유아가 최초로 만나게 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이해와 자녀 양육에 있어서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갖추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자녀 스마트 폰 과의존 등 삶의 질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수도권지역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 총 186명이다. 비확률 임의표집으로 표본을 취합하고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취합된 데이터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검증 및 Cronbach’s α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는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 삶에 일정한 인식 변화―경도(輕度)에서 중도(中度)로의 인식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하여 가정에서 자녀 및 배우자와 시간을 오래 보내게 됨에 따라 양육 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저하, 유아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등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는 어머니의 삶의 질을 낮추는 원인이 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하여 심적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유아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심리적 방역을 실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 력과 정서조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두려움, 흥분, 기쁨 상황의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 력이 수준에 따라 감정조절능력의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의 각 요인 간의 상 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망수용능력의 하위 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 화, 조직이해와 정서조절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 타인이해, 탈중심화, 조직이해가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 의 조망수용능력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두려움, 충격, 기쁨의 상황에서 유의하였으나, 흥분 상황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조망수용능력 중 자기이해능 력은 두려움, 충격,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타인이해는 기쁨 상황에서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에 부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언어 및 놀이발달의 변화과정을 그림책 읽어주기와 놀이참여를 통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2018년 6월15일부터 2019년 1월 30일까지 주 2회 총 56회기로 약 7개월여 동안 단일대상으로 탐색연구 하였다. 상담자는 유아의 반응에 일관적이며 수용적인 태도로 자극을 촉진하고, 민감한 반응으로 상호작용하였다. 이에 따른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언어 및 놀이발달 변화과정은 다음과 같이 6단계로 나타났다. 첫째, 자극-불안정 접촉의 혼란스러 운 단계. 둘째, 자극-접촉의 안정의 단계. 셋째, 자극-촉진 수용의 단계. 넷째, 자극-습득 내면화 단계. 다섯째, 자극-표현 변화의 단계. 여섯째, 자극-확장 적 응의 단계로 변화하면서 유아는 일상생활에 적응하며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였 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반응성애착장애 유아의 부모나 다양한 치료 현장의 상담사,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에게 개입을 위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연구목적 : 유아의 언어 발달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의 발달이 촉진되어지는데, 감각 통합의 어려움이 있는 유아는 언어의 구사와 조음에서의 질적 결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감각 조절의 관계를 밝혀 적절한 중재의 개입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발달센터에 내원한 만 3세 유아 53명으로 성별은 남아 37명, 여아 16명이고 월령의 범위는 36개월에서 47개월이었다. 검사 도구는 Short Sensory Profile(SSP)를 2000년 김미선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언어 발달은 영ᆞ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 범주(PD)에 해당되었고, 언어 발달은 SELSI 검사 결과 등가연령 18개월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각 조절의 어려움은 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동이 동반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결과로 보인다. 둘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특히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 중 청각 여과하기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 중 표현 언어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각 영역 감각 조절이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이며, 언어 발달이 더딘 유아가 표현 언어 발달이 되기 위해서는 청각 여과하기를 다뤄주는 감각 통합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특히 감각 조절 중 청각 여과하기는 언어 발달 중 표현 언어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 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조사및 본조사를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본 조사는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와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 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유아교사의 인권의식, 전문성인식, 삶의 만족도가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전문성인식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유의미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정책 지원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 램개발에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dietary behaviors and food allergy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included 592 preschool children aged 1-5 years old in 31 childcare facil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feeding type, complementary feeding, food allergy, dietary behaviors based on the NQ-P questionnaire, and dietary habits of their family were considered. Exclusively breast-fed children was 32.2% of the subjects and the breast feeding duration was 6.5 months. Subjects who had complementary feeding within 6 months was 77.2% and starting time of complementary feeding was 6.1 months. Fifteen percent of the subjects had food allergies and foods that induced allergy were instant foods, eggs, milk and dairy products, nuts, seafood. Food allergy was not related to breast feeding nor complementary feeding. The NQ-P score and its 3 factors including ‘balance’, ‘moderation’, and ‘environment’ were 59.9, 61.1, 56.0, 62.6,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and family dietary habits such as breakfast eating frequency and meal regularity. As age of children increased, instant food intake increased and breakfast eating frequency decreased.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children, their parents, and their care givers at childcare facilities to improve children’s dietary behavior and health.
보육교사는 보육활동에 필요한 결정, 보육과정 설계, 학습, 환경 관리 및 보육활동 계획 및 수행과 더불어 영유아의 발달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과 부모상담 및 영유아와의 전문적인 보육 상담 능력과 학력을 갖춘 전문가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요구사항 및 의견 수렴,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훈련과정을 거쳐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크게 인식하고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지속적이고도 체계적인 자기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해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은 적을지라도 영․유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성장하는데 있어서 아버지는 필수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영․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아버지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책임감과 의무감이 따른 자율적인 행동으로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양육태도로 창의적이고 사교적이며 사회적응력이 높다고 한다.
2018 보육통계를 살펴보면 정부의 국공립어린이집의 지속적 확충 및 우수 민간어린이집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도모를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한 결과, 영유아 대상의 국․공립 및 직장 어립이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지능은 애착 형성과 신뢰감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에 영유아들에게 끼칠 영향을 고려할 때 그 중요성이 크고, 교사의 수업이 창의적으로 구성되어 질 때 영유아의 창의성도 높아지며, 교사-영 유아 상호작용은 교사 자신에게도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 가 되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소진과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광주의 유아교육기관원장 25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원장의 소진척도, 행복척도, 회복탄력성 지수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t검증, ANOVA, 상관관계분석과 Baron & Kenny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개인변인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원장의 학력, 결혼유무, 자녀수에 따라 행복감의 전체와 하위변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소진은 행복감 및 회복 탄력성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의 행복감은 회복탄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장의 소진과 행복감 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소진과 행복감 전체 및 조절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소진으로 인해 행복감이 감소되는 경우에 회복탄력성이 보호요인으로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현대 사회의 급속한 저출산 현상은 사회적 양육지원체계와 함께 보육시설의 질 높은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아동학대와 같은 사회문제들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학부모들은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및 인적 자원에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로서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는 보육교사의 보육적성과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적성이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이 유아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역할을 감당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보육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능력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를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하기 위하여 만 3세부터 만5세 유아 501명과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사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능력 사이에서 교사·유아관계는 부분매개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와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이 교사·유아관계를 경유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 조건부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이때 교사·유아관계를 유아의 자아 존중감으로 조절될 때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동시에 규명 하였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치원을 이용하는 유아들의 주의력 결핍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유아들의 체질을 먼저 구분하고 과잉행동과 주위산만을 알아보기 위해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 측정지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컬러호흡과 컬러 명상을 실시한 후 사전 사후검사간의 대응표본 검정을 측정하였다 체질에 맞는 색깔 옷이나 먹는 것 주위 환경의 색깔을 달리 했다. 그리고 수면시간을 이용하여 파랑색 등을 켠 방 체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주위산만 사전검사 결과는 (M=20.9333, SD=2.491)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사 결과는 (M=17.200, SD=2.007), (t=9.427, P<0.000)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결핍에 대한 사전 사후 간에 검정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산만에 미치는 영향으로 주의 산만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과잉행동은 사전검사에서 (M=21.400, SD=1.638)와 사후검사(M=17.667, SD=1.759) 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t=12.43, P<0.001)으로 나타냈다. 이는 아유르베다 컬러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주의력 결핍 향상에 효과과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부모의 기질과 양육방식, 아동의 기질 조화 및 부조화가 영유아의 이후 문제행동이나 보육시설 적응,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기에 부모가 어떠한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유아의 적응과 사회성 발달에 큰 변화가 있다. 영유아의 사회적 정서적 경험이 주 양유자인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므로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영유아의 사회적 적응, 유능성, 자기확신, 사회성 발달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갈수록 영아의 어린이집 입소율이 높아지고 있고 입소 시작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부모의 기질, 양육방식에 의한 영유아의 문제행동, 사회성 발달 등으로 이어지는 좀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대인은 급격한 사회변화와 발전 속에서 기회의 불균등으로 인해 인간성 상실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현장에서 쉽게 접 할 수 있는 그림책을 활용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인성교육 활동이 영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바람직한 인성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통해 인성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유아가 그림책을 통해 자연 스럽게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는 인성프로그램 개발 및 바람작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사회문화적 교류가 많아지고 급속한 경제발전과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인구 사회학적 변화를 불어오게 되었으며, 다문화 가정의 비율도 높아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 부모의 민주적 양육참여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성공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준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에 관한 아버지의 지원은 영·유아자녀에게는 바른 인성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 정서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올바른 성장과 다문화 가정 부모의 올바른 양육태도에 양육방법에 도움을 주고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information, unbalanced diet, and dietary habits of 86 children in Daegu. The research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et and dietary habits of childre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er children have a more unbalanced diet. Children dislike side-dishes the most. Furthermore, due to the longer time taken to consume food, parents persuade children to eat quickly. Children were also determined to have a high intake of foods and drinks containing sugar; beverages containing sugar are consumed 1-2 times a week by 5-year-olds, and once daily by 6- and 7-year-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dietary programs for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