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에서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고 계수하기 위한 반선택배지가 개발되었다. 기본배지로서 Potatodextrose- agar (PDA)가 사용되었다. 반선택배지의 최종 조성은 부생성곰팡이와 세균을 저해하고, C. scovillei의 생장에 양호할 수 있도록 확립되었다. 반선택배지는 pyribencarb 와 pydiflumetofen 각각 40 μg mL-1와 세균을 방지하기 위한 streptomycin 100 μg mL-1를 포함한다. 배지의 pH는 85% lactic acid로 4.8로 조절했다. 반선택배지에 배양할 때 C. scovillei의 균사생육 저해율은 Fusarium속과 다른 부생균보 다 뚜렷이 낮았다. 반선택배지에 과실과 줄기조직 현탁액 을 평판배양하여 탄저병균이 자연 감염된 식물체로부터 C. scovillei가 검출되었고, 신뢰할 수 있고 정량할 수 있었다. 이것은 자연 감염된 고추조직에서 C. scovillei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성배지에 대한 처음 보고이다.
        4,000원
        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Salmonella로 인한 식중독 사고 는 2018년 9월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초콜릿 무스 케이크가 원인이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Salmonella Typhimurium이 인위적으로 접종된 무스케이크와 티라미수에서 3M Molecular Detection Assay 2 –Salmonella와 식품공전에 등재된 방법인 분리배지와 real-time PCR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무스케이크 2종과 티라미수 2종 25 g에 225 mL BPW를 넣고 37oC에서 24시간 동안 증균 배양하 였다. 배양 후, 3M Molecular Detection Assay 2 – Salmonella, 분리배지 그리고 real-time PCR로 분석하였다. 초콜릿 무스 케이크를 제외하고 3가지 방법은 유사한 결 과를 보였다. 초콜릿 무스 케이크에서 분리배지와 3M Molecular Detection Assay 2 –Salmonella는 모든 접종수 준에서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 반면 real-time PCR은 104 CFU/25g수준에서 1번의 양성결과를 제외하고 모두 검출 되지 않았다. 초콜릿 무스에 S. Typhimurium을 102 CFU/ 25 g 수준으로 접종하였을때, real-time PCR를 이용한 검출은 15%에서는 부분적인 음성을 나타냈고, 20-100% 함량의 초콜릿 무스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Real-time PCR 로는 chocolate이 15% 이상 함유된 식품에서의 Salmonella 균 검출이 불가능하였지만, LMAP 기반의 3M Molecular Detection Assay 2으로는 chocolate 농도에 관계없이 검출이 가능하였다.
        4,000원
        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 saltiness enhancement at the same salt content through multiple emulsion. We compared the samples with different conditions to determine the optimum stability conditions of water-in-oil through layer separation rate, microscopic observation and size analysis. Four electrolytes such as NaCl, KCl, MgCl2, and CaCl2 were used and agar contents ranged from 0 to 1% were experimented at different volume ratios including 5:5, 4:6, 3:7, 2:8, and 1:9 of water and oi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roplet size according to the electrolyte typ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refore, KCl was used to facilitate in-body excretion of NaCl in the outer water phase, and corn oil containing 8%(w/w)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was used as oil phase. When the volume ratio of water and oil was 3:7, 2:8, and 1:9, the layer separation rate was relatively slow and droplet size was also small. It reveals that the particle size becomes smaller as the water volume ratio decreases. However, consider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and eluted on the inner water, appropriate volume ratio of water and oil should be adopted to 3: 7. At Microscopic observation depending on agar concentrations, small particle size appeared at 0.2% and 0.4% agars. When the water and oil ratio was fixed at 3:7, the particle size was measured at 0.2% and 0.4% agar using a zeta sizer. In conclusion, the droplet size of 0.2% agar was smaller than 0.4%. Therefore, the most stable water-in-oil emulsion was obtained with 0.2% agar, when water to oil ratio was 3:7.
        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lease profiles of nisin from nisin-incorporating gel foods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gels on the growth of Brochothrix thermosphacta in an aqueous system containing the gels have been investigated. A linear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diffusion coefficient (D) for the diffusion of nisin in the gel.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isin released from 1, 2 and 3% (w/v) agar gels on the growth of B. thermosphacta in a broth medium with and without nisin were investigated. The D decreased from 1.2×10 -2 to 8.2×10 -3 and 6.4×10 -3 cm 2 /s as the agar concentration in the gel increased from 1 to 2 and 3% (w/v), demonstrating the diffusion rate in the gels can be controlled by the agar concentration in gel. The agar gel incorporating nisin inhibited the B. thermosphacta growth in the broth medium by prolonging the lag phase. The growth inhibition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nisin in the medium. The results of this study exhibited that the gel food is a feasible nisin delivery system with a controlled release achieved by the adjustment of agar concentration in the system,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nisin-incorporating gel for preserving particulate-containing drinks.
        4,000원
        8.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비만의 증가로 식품 산업계에서는 열량이 없거나 적은 원료로 고열량의 원료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젤라틴과 한천을 원료로 동일한 경도의 젤을 만들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경도를 갖는 젤의 제조를 위하여 물 150 g에 정백당 60 g과 각각 젤라틴 12 g, 한천 2 g을 첨가하여 물 50 g 이 증발할 때까지 중탕하여 성형, 냉각한 후 젤을 제조하였다. 경도는 젤라틴과 한천 젤 각각 22.36, 22.80으로 동등하게 제조하였으며, 이 때 응집성, 부착성, 씹힘성 등은 젤라틴 젤이 더 높았다. 제조된 한천 젤과 젤라틴 젤의 pH는 각각 8.17, 7.05였으며, 당도는 각각 12.97, 14.43oBx를 나타내었다. 응력완화를 측정한 결과 5초 후 한천과 젤라틴 젤의 응력은 각각 3.3, 9.5 N 이였으며 각각 5초, 1초 동안에 급격히 응력이 감소된 후 서서히 완화되었으며 응력완화시간은 한천 젤은 2.54초 였고 젤라틴 젤은 측정이 불가능 하였다. 보수력은 한천과 젤라틴 젤이 각각 98.83, 100%였으며 이는 사용된 한천의 농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젤라틴 대체 시 경도를 동일하게 하였을 경우 질감을 비롯한 다른 요소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agar, sodium alginate and carrageenan on quality of Yugwa(Busuge) base. In the base preparation agar, sodium alginate and carrageenan were added 0.0, 0.1, 0.5, 1.0 and 3.0%(w/w), respectively. Volume, shape, hardness, color(L, a and b value), crude lipid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taste and crispness) of the Yugwa base was measured. Volume of the base was higher than control in case of 0.1-0.5%(w/w) agar, sodium alginate and carrageenan, of which sodium alginate was the highest. Shapes were similar to control. Hardness and crude lipid content was decreased proportional to amount of addition of the three seesweed polysaccharides, the whiteness(L-value) was increased but the yellowness(a-value) and the redness(b-value) decreased. Taste and crispness were increased in the case of 0.1-1.0%(w/w) of sodium alginate, but agar and carrageenan decreased.
        4,000원
        1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파래의 포자가 부착한 Agar와 Agarose코팅필름은 agar, agarose 또는 메탄놀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표면의 성질을 나타냈다. Sigma agarose 코팅필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포자 부착이 일어났다. Bacto agar과 그외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에 부착한 포자는 Sigma agarose으로 코팅한 필름보다 12∼36배나 적었다. 2.5%와 5% 의 SeaKem agarose와 Bacto agar 코팅필름의 비교에서 두 개의
        4,000원
        13.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숙근(宿根)안개초(草)의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있어 배지(培地)에 첨가하는 agar농도(濃度) 및 auxins의 농도(濃度)가 vitrification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 생체중(生體重), 분지수(分枝數)는 agar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auxins의 효과(效果)는 미약(微弱)하였다. 그러나 초장신장(草長伸長)에 있어서 IAA 1.0ppm+NAA 0.5ppm 및 IAA 2.0ppm+NAA 1.0ppm 첨가구에서는 그 결과(結果)가 매우 양호(良好)하였다. 2. 발근소요일수(發根所要日數)에 있어서는 auxins의 첨가효과(效果)가 적었다. 그러나 근(根)의 생육(生育)에 있어서는 IAA 1.0ppm+NAA 0.5ppm 및 IAA 2.0ppm+NAA 1.0ppm 첨가구에 있어서 분화(分化)된 근(根)의 생장(生長)이 매우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이었다. 3. 건전주율(健全株率)에 있어서는 agar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배지(培地)가 너무 경화(硬化)되면(1.5%)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이 극(極)히 저조(低調)하였다. 4. 이상(以上)을 종합(綜合)해 보면 숙근(宿根)안개초의 조직배양시(組織培養時) 외부환경(外部環境)에 대(對)한 적응력(適應力)이 높은 강건한 묘(苗)의 육성(育成)을 위해서는 agar농도(濃度) 1.2%로 한 MS배지(培地)(RM1962)에 IAA 1.0ppm+NAA 0.5ppm 첨가배지(培地)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14.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drobium kingianum의 유묘증식(幼苗增殖)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발아(發芽)에 미치는 기본(基本) 배지(培地)의 영향(影響)과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미치는 hyponex의 종류별농도(種類別濃度), auxin 농도(濃度), 당(糖), 한천(寒天) 및 pH의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는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유묘(幼苗)의 증식(增殖) 및 생장(生長)은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 IBA , sucrose , agar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multiple shoot가 형성(形成)되었으며 유묘(幼苗)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키기 위해서는 auxin이 첨가(添加)되지 않은 배지(培地)에 sucrose 한천(寒天) 및 pH는 5.0이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