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Jinhae New Port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economy and foster the regional port logistics industry. However, since most of the port-related industry companies are located in the old downtown areas of Busan, such as Yeongdo and Jungang-dong, the main focus of the port will still remain in the old downtown of Busan even after the opening of Jinhae New Port. This study conducted basic research to maximize the benefits of the Jinhae New Port opening by exploring ways to establish Gyeongnam and Changwon as port logistics hubs. Th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included identifying target port-related industries and companies for attraction, as well as presenting the justification and rationale for establishing Gyeongnam and Changwon as port logistics hub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pply industry, ship management industry, ship repair industry, and shipbuilding equipment industry are sectors that Gyeongnam and Changwon should focus on attract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Gyeongnam and Changwon as port logistics hubs is presented based on: 1) local tax revenue from the operation of Busan New Port, and 2)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a megacity. Specific implementation measures suggested include: 1) renaming the port, 2) attracting port-related industries, 3) seizing key agendas for port advancement, 4) establishing a smart port task force for the coexistence of ports, universities, and cities, and 5) enhancing the attractiveness of port cities to prevent population outflow.
Some scholars argue that after the Yuan and Ming dynasties,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 "Dai"(埭) gradually diminished in real life, and the character itself slowly faded from people's view. In modern life, people may occasionally encounter the character "Dai"(埭) in some ancient place names or modern place names that inherit ancient traditions. Others suggest that the use of "Dai" (埭) in place names in Wenzhou, Zhejiang Province, is influenced by the Min dialect. However, this paper holds a different view. In fact, in the provinces and cities south of the Yangtze River, including Zhejiang, Shanghai, Jiangsu, Anhui, and Fujian, the character "Dai"(埭) is very common as a place name, with a higher frequency of use compared to its function as a water conservancy facility. It is by no means "occasional." As a frequently used place name, including in Fujian, it has not faded from people's view at all. Through diachronic examination,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 "Dai"(埭) has been used as a place name at least since before the Tang Dynasty and has never been (埭) interrupted. It was not only used as a place name after the Yuan and Ming dynasties. The toponymic use of 'Dai' (埭) across Zhejiang, Shanghai, Jiangsu, Anhui, and Fujian can be regarded as a vestige of ancient Chinese linguistic heritage. Many dictionaries, including some well-known ones, have not included the meaning of "place name character" for "Dai," which seems inappropriate. These dictionaries have included the dialectal usage of "Dai"(埭) as a measure word but have overlooked its dialectal place name usage, which is a case of "focusing on one thing while neglecting another."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예술과 과학의 융합을 대표하는 모범 사 례로, 예술 창작자의 직관적 표현과 수학적 논리의 엄밀성을 결 합함으로써 현대 예술 창작에 새로운 방법론적 틀을 제공한다. 특히 공공미술 분야, 그중에서도 공공 조형물의 설계 및 실천에 있어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뚜렷한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공공 조형물의 설계 방식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며, 점점 증가하는 대중의 참여성, 상호작용성 및 표현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공공 조형물 창작에 있어 보수적 설계 방식의 한계 를 극복하고, 참여성·상호작용성·표현 다양성에 대한 현대적 수 요에 대응하기 위해 파라메트릭 디자인과 디지털 제작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먼저, 예술과 기술 융합의 대표적 사례인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개념적 진화 및 비선형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이어 공공 조형예술 분야의 실천적 적용 사례(대표적 사례: The Orb)를 심층 분석하여, 디지털 기 술이 형태 생성의 복잡성 향상, 구조적 혁신, 대중 참여 확장에 미치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연구는 전통적 창작 방식 과의 비교를 통해 설계-제작 프로세스의 패러다임 전환을 규명 하며, 파라메트릭 디자인이 조형 예술의 방법론적 재구성 뿐 아 니라 미학적 경험의 재정의에 기여함을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팅 등 첨단 제작 기술과의 결합이 촉발하는 예술 창작의 존재론적 변화(개방적 시스템, 협력적 생성 체계)와 공공예술의 미래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시한다.
본 글에서는 일본의 자유주의자들이 만든 지배 논리를 계보학적으로 규명 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마루야마 마사오가 제시한 사유양식에 대한 해석 이 와쓰지 데쓰로, 쓰다 소키치가 어떤 차이성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 으로 출발했다. 제2장에서는 자유 개념이 인식의 해방을 주장하지만, 그것이 탈바꿈되어 공동체 사유로 회수되는 논리가 무엇인지를 논했다. 제3장에서는 사유양식에 대한 문제가 서구 극복과 일본 내부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논리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후루타 히카루와 아미노 요시히코를 통해 고찰했다. 그 리고 이러한 논리들이 와쓰지와 쓰다의 일본독자성 주장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제4장에서는 사유양식의 논리, 서구 극복을 위해 제시한 일본 역사 에 내재한 ‘천황 친정 부정론’의 양상을 확인하고 이것이 국제(国制)의 해석으 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규명했다. 그것은 이시이 료스케와 와쓰지의 영향을 받은 이시이 시로의 논리와 마루야마의 ‘자기법칙성’ 개념의 차이가 무엇인지 를 밝혀냈다. 그것은 사상의 의미와 국제지(国制知)의 개념으로 출현하면서 상징천황의 민중지배를 밝혀내 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오히려 민중의 지지에 의해 나타난 천황 존숭으로 발전하게 된 점을 고찰했다. 그리하여 제5장에서 는 마루야마의 사상사라는 용어가 이시이가 사용하는 사상사 개념의 차이성 때문에 자립의 의미도 달라졌음을 밝혀냈다. 사유양식의 문제는 역사성 자체 를 규명하는 것이었고, 그것이 자립된 자유를 획득하는 방법이었지만, 이상하 게도 자유주의라는 이름이 관료주의 비판으로 이어지면서, 정신적 규율의 문 제가 소멸되어 버렸다. 그럼으로써 천황의 전쟁책임에 대한 비판적 사유양식 은 사라지고 그에 종속된 대중의 존숭심만이 부활되면서 ‘천황’의 지배는 영 속적인 제도적 이즘, 즉 국제이즘(国制ism)화 되었던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와 정밀함이 진행됨에 따라 공정과 부품의 수분 제어 기술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낮은 운영, 설치비용, 항상성 유지, 신뢰성이 확보된 고효율 제습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멤브레인 콘덴서는 고효율의 제습기술 로 주목받고 있으며, 무기막을 활용할 경우 가혹한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수성 미세다공성 물질인 실 리카라이트-1 (silicalite-1)과 친수성 메조다공성 물질인 γ-알루미나를 이용하여 재료물질의 기공 크기에 따른 멤브레인 콘덴 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수열합성 및 이차성장을 통해 실리카라이트-1/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덴서을 제조하였으며, 보헤마 이트 졸 기법(boehmite sol-gel method)으로 합성한 후 실란코팅을 통해 소수성 개질된 γ-알루미나/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 덴서를 제조하였다. 수분 응축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리카라이트-1/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덴서는 36.5%의 수분 제거율을 보였으며, γ-알루미나/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덴서는 51.4%의 수분 제거율을 보였다. 이는 메조 기공을 갖는 기공구조가 제 습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며, γ-알루미나가 경제적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 어 산업용 제습 응용 분야를 위한 멤브레인 콘덴서에 적합한 물질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patent trends for technologies that convert horticultural crop residues into mushroom substrates and developed mycelium-based utilization technologies.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disposable plastics and Styrofoam has increased. Therefore, the demand for innovative and eco-friendly solutions has substantially increased. Agricultural residues such as fruit pruning residues and citrus waste provide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viable alternatives to imported raw materials because of their rich 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ubstrates containing these residues can produce mushrooms of equivalent quality as conventional sawdust-based media,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improving resource independence. In addition, mushroom mycelia have been developed as sustainable materials for non-animal leather, packaging, building, and insulation. A patent analysis of ECOVATIVE confirmed important innovations in processing, material mixing, and product applications. The results provide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n integrated system for utilizing horticultural residue resources with mycelium-based materials, as well as offers strategic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dustrial material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gricultural byproducts to reduce dependence on imported substrates, lower cultivation costs, and mitigate environmental impacts, ultimately contributing to a circular economy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materials.
이 글은 이청준의 축제를 브루노 라투르의 ‘허구의 존재자’ 개념과 미셸 칼롱의 ‘번역’ 이론에 기반해 분석한다. 축제는 장례라는 의례를 중심으로 다 양한 존재들이 얽히는 관계망을 형성하며, 감정과 기억, 인물과 사물이 끊임없 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서사를 구성한다. 본고는 칼롱의 번역 이론에서 제시 된 네 단계—문제화, 관심화, 등록화, 동원화—를 장례의 서사 흐름에 적용해, 죽음을 둘러싼 관계들이 어떻게 조정되고 재배치되는지를 추적한다. 번역은 고 정된 질서를 해체하고, 이질적인 행위자들 간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구 성하는 네트워크 형성의 과정으로 작용한다. 축제에서 독자는 효, 죄책감, 상 실, 돌봄 같은 정동에 감응하며, 텍스트와 함께 의미를 생성하는 참여자로 위치 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을 고정된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 보지 않고, 독 자와 함께 세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존재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본 연구는 고속철도 궤도 구조의 핵심 부재인 상부 콘크리트층(TCL)에 GFRP 보강근을 적용하여 기존 철근을 대체한 구조의 비선형 동적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GFRP는 비도전성, 내식성, 경량성과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어 철도 신호 간섭 방지와 내구성 향상에 적합하다. 국내외 설계기준은 정적 하중 중심이어서 GFRP 적용 구조의 동적 응답과 균열 거동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적 비선형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GFRP 보강 TCL 구조와 기존 철근 보강 구조의 하중-변위, 균열폭, 응력 분포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철근 적용 구조는 높은 연성으로 인해 반복 재하에 따른 균열 확대가 크지만 GFRP 적용 구조는 취성적 파괴 양상을 보이며 균열폭이 작고 안정적이었다. 두 구조 모두 허용기준 내의 성능을 만족하였으며, GFRP 보강 구조는 특히 반복 하중에 대한 안정성과 구조 신뢰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GFRP 보강근을 활용한 철도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 리 측면에서 실용적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설계기준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