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국 내 대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 461명의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심리적 안전감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심리적 안전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전감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 로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자기결정성 이론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리더십이 조직의 혁신을 촉진하는 과정을 다각도로 이해하는데 기여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development of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mesoporous activated carbons is required to improv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EDLC. In this study, kenaf-derived activated carbons (PK-AC) were prepared for high-power-density EDLC via phosphoric acid stabilization and steam activation. The pyrolysis behavior of kenaf with respect to the phosphoric acid stabilization conditions were examined via TGA and DTG. The textural properties of PK-AC were studied with N2/ 77 K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s. In addition,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PK-AC was observed via X-ray diffractio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mesopore volume ratio of PK-AC were determined to be 1570–2400 m2/ g and 7.7–44.5%, respectively. In addition, PK-AC was observed to have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mesopore volume ratio than commercial coconut-derived activated carbon (YP-50F). The specific capacitance of PK-AC was increased from 77.0–99.5 F/g (at 0.1 A/g) to 49.3–88.9 F/g (at 10.0 A/g) with activation time increased. In particular, K-P-15-H-9–10 observed an approximately 35% improvement in specific capacitance at a higher current density of 10.0 A/g compared to YP-50F. As a result, the phosphoric acid stabilization method was confirmed to be an efficien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mesoporous biomass-derived activated carbons, and the kenaf-derived activated carbons prepared by this process have great potential for application as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high-power EDLC.
It is addressed that the challenges of poor cyclic stability and low conductivity in metal–organic frameworks (MOFs) hinder their application in energy storage. Here, we synthesized binary metal MOFs through a one-step hydrothermal process, subsequently calcined to produce Co–Mn/reduced graphene oxide (rGO). This approach not only carbonized the organic framework but also enhanced it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tability.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synergistic effects of Co and Mn within the assembled electrode resulted in remarkable performance, achieving a specific capacitance of 3558.65 F g− 1 at 1 A g− 1 and a rate capability of 1000 F g− 1 at 30 A g− 1. The Co–Mn/rGO anode in the asymmetric supercapattery exhibited a broadened operating potential window of 1.5 V, delivering an energy density of 54.65 W h kg− 1 at a power density of 125 W kg− 1, and maintaining 11.375 W h kg− 1 at a high power density of 12,500 W kg− 1. Notably, the capacitance retention rate reached 99.99% after 10,000 cycles at a current density of 10 A g−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ed Co–Mn/rGO composite represents a promising candidate for advanced energy storage systems, offering both high performance and stability.
Capacitive deionization (CDI) represents a novel technology for the desalination and purification of seawater. Selecting the appropriate electrode material is crucial, with carbon electrodes frequently employed owing to their high specific surface area, extensive porous structure,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nature. This study presents a nitrogen-doped porous carbon, derived from household waste, which demonstrates outstanding electrochemical and desalination performance. The purified chitosan was mixed with a specific ratio of CaCO3 and carbonized at 800 °C to produce chitosan porous carbon (CPC-T). To verify the role of the templating agent, its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chitosan porous carbon (CPC) prepared by direct carbonization. CPC-T possesses more mesoporous structures (31.25%), shortening ion transport pathways and significantly enhancing charge transfer rates. The nitrogen-rich doping (8.65 at%) provides numerous active sites and excellent conductivity, making it highly appropriate for capacitive deionization applications. Compared to CPC prepared without a templating agent, CPC-T has a higher specific capacitance (101.5 F g− 1 at a scan rate of 2 mV s− 1) and good cycling stability. The CDI cell made from it exhibits a salt adsorption capacity (SAC) of 25.8 mg g− 1 for 500 mg L− 1 NaCl solution at an applied voltage of 1.4 V, retaining 88% capacity after 50 adsorption–desorption cycles, demonstrating excellent desalination regeneration performance. Additionally, amo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alt solutions, the CPC-T material shows the best desalination performance for the test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500 mg L− 1. For different solute ions, the CDI cell with this material as the electrode exhibits excellent desalination performance for Ca2+, with a SAC value of up to 34.02 mg g− 1. This is a self-doped porous carbon material that significantly outperforms traditional carbon-based materials.
본 연구는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와 기념을 외교 전략으로 활용하는 ‘보훈외교’가 어떻게 정권별로 구성되고 외교정책에 통합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연구들이 보훈외교를 상징적 기념행위나 도덕적 책무 차원 에서 공공외교 혹은 소프트파워 전략으로 제한적으로 해석해 온 반면, 본 연구는 보훈외교가 정권의 외교기조, 국제정세,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전략적으로 구성 되는 외교정책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에 티오피아 사례를 중심으로 역대 한국 정부의 보훈외교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명박 정부는 ‘Global Korea’ 구상 아래 보훈외교를 ODA 및 경제협력 중심의 실용주의 외교와 결합하였으며, 문재인 정부는 포용과 평화를 지향하는 외교정책을 통해 시민참여형 보훈외교를 전개하였다. 윤석열 정부는 ‘글로벌 중 추국가’ 구상을 바탕으로 보훈외교의 브랜드화와 제도화를 추진하였다. 한국 정 부는 보훈외교를 단절 없이 계승·변형하며 정책 도구로 활용해 왔으며, 특히 ODA 및 민간 부문과의 연계는 보훈외교의 지속성과 제도화 가능성을 강화하는 주요 경로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훈외교가 단순한 역사기억의 재현을 넘 어, 정권별 전략 및 외교 노선에 따라 능동적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외교 수단임 을 보여주며, 향후 중견국 외교전략과 역사 외교 간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 분석틀을 제시한다.
케이퍼는 생선 요리에서 악취를 제거하고 맛을 향상시 키거나 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연구 에서는 대표적인 히스티딘 탈탄산균인 Morganella morganii 에 대한 케이퍼의 항균 효과를 broth와 수비드 고등어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broth에서 M. morganii의 1차 및 2 차 생장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수비드 고등어에서 broth 생장 예측모델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케이퍼의 항 균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broth에서 건조 케이퍼를 통째로 사용한 것과 분쇄하여 가루로 사용한 것의 항균 효과 를 비교하였다. 또한 고등어에 2% 소금과 10% 가루 케이 퍼의 단독 및 병행 처리 후 수비드 조리법으로 조리 후 M. morganii를 인위적으로 오염시켜 9oC와 25oC에서 저장 하며 2% 소금과 10% 가루 케이퍼의 단독 및 병행 처리 에 대한 항균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broth에서 구 축된 9oC에서의 최대 증식 속도를 제외한 2차 생장 모델 은 수비드 고등어에서 M. morganii의 성장을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루 케이퍼가 통 케이퍼 보다 모든 농도와 온도에서 M. morganii에 대한 더 효과 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다. broth에서 8oC 이하의 온도에서 는 M. morganii의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가루 케이 퍼의 최소 저해 농도는 9oC에서 7%, 15oC에서 8%, 25oC 에서는 11%로 나타났다. 수비드 고등어에 2% 소금과 10% 가루 케이퍼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병용 처리했을 때 항균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특히 9oC에서는 M. morganii 의 성장을 완전히 저지하였다. 그러나 25oC에서는 소금 또 는 가루 페이퍼를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 병용 처리했을 때 M. morganii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으나 9oC에 서처럼 완전히 저지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 투식량으로 고등어의 수비드 조리에서 케이퍼의 특성이 맛을 향상시키고 실온 유통 제품의 저장성을 연장할 수 있는 천연 보존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revised “Chinese Comprehensive Dictionary” (Second Edition) still contains citation errors, primarily in the form of omissions, additions, transpositions, and misquotations in the cited texts, as well as errors in the sources of citations (including both the main text and the “List of Cited Works”). These errors range from individual category oversights to comprehensive mistakes, creating “serious flaws” in the citation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compilation quality of the “Chinese Comprehensive Dictionary”. In the past, citation errors have been generically attributed to the “negligence” of the compilers, a view that lacks specificity. This paper points out 21 examples of citation errors in the “Small” and “Mouth” radicals of the “Grand Dictionary” and uses them as a basis for a targeted exploration of the causes of citation errors in the “Grand Dictionary”. Corresponding revision suggestions are proposed.
본 연구는 학교숲이 환경적·교육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성되고 생태전환교육 장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부 경남 5개 군의 학교숲이 조성된 7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녹지 면적은 E학교의 1,289 m2에서 F학교의 4,751 m2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3,081 m2을 보였다. 상록수와 낙엽수는 각각 45종(39.5%), 69종(60.5%), 교목과 관목은 72종(63.2%), 42종(36.8%), 교목과 관목의 개체수는 978본(17.2%), 4,696본(82.8%)으로 나타났다. 학교숲에 가장 많이 식재된 수종은 영산홍이었으며, 이어 산철쭉, 회양목, 무궁화, 사철나무 순이었다. 종다양성과 균재도는 각각 평균 2.23, 0.62였으며, 학교간 유사도 지수는 0.5 전후의 값을 보였다. 학교숲에 식재된 수종 중 교과서에 언급되는 식물의 일치율은 33.8%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