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체육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기의 사용이 안구운동과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신체 건강한 체육계열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굴절교정 수술 이력, 안질환 기왕력, 양안시 이상이 없는(사 위도: 외사위 7 Δ 이하, 내사위 1.5 Δ 이하) 25명(남 14명, 여 11명, 평균 연령 21.4±2.3세) 학생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시청각 콘텐츠(VR outdoor tour contents)를 30분간 시청하도록 지시한 후 굴절검사 및 정지시력 측정, 안구 운동검사, 양안시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VR 시청 전과 후의 교정시력은 0.96±0.28(V.A.), 0.95±0.31(V.A.)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사 위도가 –5.74±2.47 Δ(exo.)에서 -10.69±3.90 Δ(exo.)로 외사위량이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 었다(p<0.050). 그 외 양안시기능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검사항목은 조절근점, 조절용이성이었다. VR 시청 전의 조절근점은 12.54±1.40 cm에서 15.19±2.22 cm로, 조절용이성은 1분 동안 반전에 성공한 횟수가 11.15±1.78 회에서 6.02±2.16회로 줄어들어 선명하게 초점을 맺는데 시간이 지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VR을 시청한 후 두드러진 시력저하와 시기능의 변화는 없었으나 사위도와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항목 에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시선추적 분야에 사용되는 적외선 동공 검출 기법을 기반으로 동공 크기 변화와 동공 간 거리 변화 분석을 통해 양안시기능을 타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남녀 23명(평균연령 27.27±8.84세)을 대상으로 원거리(3 m) 및 근거리(0.4 m)에서 적외선 필터를 사 용하여 만든 차폐렌즈(이하 차폐렌즈)로 커버테스트를 실시하여 편위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근거리에서 눈앞에 각각 ±1.00 D의 렌즈를 부가한 상태에서 커버테스트를 실시하여 AC/A 비 측정을 하였다.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 하여 위의 과정들을 모두 촬영하였고,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를 사용하여 영상 프레임별 동 공 간 거리와 동공 면적을 계산하였다. 결과 : 원거리 및 근거리 커버테스트 측정값의 T-검정 결과 원거리 및 근거리 커버테스트 모두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p<0.050)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Bland-Altman 일치도 평가에서도 대부분의 값이 두 측정법 사이 95% 신뢰구간 내에 존재하였다. 경사 AC/A 비는 -1.00 D를 가입했을 때 p=0.015, +1.00 D를 가입했을 때 p=0.823으로 –1.00 D 렌즈를 가입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고, 계산 AC/A 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AC/A 비의 일치도 평가 역시 두 검사법 간 평균 차이가 0.9 △로 나타났고, 산점도 역시 평균 차이 선 에 균일하게 배열하여 비교적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 기술에 활용되는 적외선 동공 검출 기법을 기반으로 양안시기능의 타각적 검사 법을 개발하였다. 동공 크기 변화와 동공 간 거리 변화 양상 분석을 통한 타각적 양안시기능 검사 방법이 실제 임 상에 적용된다면, 자각적 검사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500원
        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원거리에서 심한 복시 증상을 가지고 있는 눈벌림 부족형 내사시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시기능훈련의 사 례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자는 만19세 여성으로 복시 증상으로 인해 일상적인 불편함까지 동반된 상태였다.처음 방문시 양안시검사를 실시한 결과 원거리에서 복시를 동반한 눈벌림 부족형 간헐내사시였다. 시기능훈련은 음성융합버전스를 개선시키는 협응훈련과 초점조절훈련, 안구운동성훈련 등을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시기능 평가로는 굴절검사를 포함하여 프리즘 가림검사, 융합능력, 버전스용이성, 눈모음근점, Bagolini striated glasses test, W4D 그리 고 입체시 검사 등을 포함하였다. 결과 : 시기능훈련 전에 원거리 편위량은 내사시 16 △에서 9개월 후 내사위 3 △으로 향상되었다. 근거리 편위 량도 시기능훈련 후에 내사시 7 △에서 내사위 1 △으로 변화가 있었다. 융합능력은 원거리 BI X/4/1에서 훈련 후 에 BI X/4/3로, 근거리는 훈련 전 BI X/8/2에서 훈련 후 BI X/16/14로 모두 변화가 있었다. Bagolini test에서 시기능훈련 전에 나타났던 동측성 복시는 훈련 후 모든 거리에서 단일시로 개선되었다. 처음 방문 시 심하게 호소했 던 원거리에서의 복시 증상은 9개월간의 훈련과정에서 점차 개선되어 안정적인 양안 단일시 상태를 나타내었다. 결론 : 원거리에서 심한 복시 증상을 호소한 눈벌림 부족형 내사시에서 9개월간의 시기능훈련 후에 양안시기능 과 시각적 증상은 모두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4,000원
        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시기능훈련 전 실시한 양안시기능평가 결과값이 시기능훈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등시 및 시기능훈련을 받은 경험이 없는 20대 성인 남녀 57명을 대상으로 60분씩 총 6번의 시기 능훈련을 진행한 뒤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양앙시기능평가 항목은 시력검사, 폭주근점, 사위도, 융합여력, Gradient AC/A비, 융합용이성, 상대조절력, 조절래그,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검사를 포함하였다. 결과: 훈련 전 원,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원,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원거리 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원거리 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p<0.05). 훈련 전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근거리 음성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훈련 전 근거리 양성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근거리 양성융합여력의 변화량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또한 근거리 총 융합여력이 작을수록 훈련 후 근거 리 총 융합여력이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시기능훈련 후 양안시기능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훈련 전 실시한 양안시기능검사 항목 중 근거리 외사위도가 높을수록 시기능훈련을 통한 변화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융합여력이 작을수록 시기능훈련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양안시기능평가 결과값에 따른 시기능훈련 효과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자녀의 양안시기능에 대한 인식 현항을 파악하여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시기능 이상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4월부터 12월까지 근시를 가지고 있는 경기도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굴절 이상, 양 안 감각 기능, 시기능 검사를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학생들이 양안시 할 때 느끼는 자각적 증상과 보호자의 자녀 시각적 상태 및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학생 72명 가운데 19명(26%)이 안경을 착용하고 물체가 때때로 두개로 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시 기능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었으나, 19명의 학생 보호자 가운데 시기능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 프로그램 은 권유한 보호자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호자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설문 결과 보 호자의 60명(83%)은 자녀가 시기능 이상 증상을 호소할 경우 자녀에게 양안 시기능 이상 처치를 받거나 시 기능 훈련 프로그램을 권유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다. 시기능 훈련에 대해서는 보호자의 11명(15%)이 알고 있었고, 보호자의 62명(86%)이 시기능 훈련이 학습장애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으나, 자녀의 학교에서 시 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은 적이 있다고 대답한 보호자는 2명(3%)이었고, 시기능 훈련에 대해 보호 자의 46명(64%)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학생이 시기능 이상을 가지고 있어도 처치를 받거나 시기능 훈련프로그램을 권유한 보호자가 한명 도 없다는 것은 보호자가 시기능 이상에 대한 개념 이 부족하고 시기능 이상 처치에 대한 중요성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보호자는 시기능 훈련이 자녀의 학습장애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 으나 시기능 훈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기회가 거의 없어 시기능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 은 것으로 사료되는 바,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시기능 이상과 시기능 훈련에 대한 교육과 정보제공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500원
        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C/A비 측정방법은 경사(Gradient)에 의한 방법과 계 산(Calculate)에 의한 방법이다. 양안시 타입에 있어서 이들 두 측정 방법에 의한 결과의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안시 유형에 따른 경사에 의한 방법과 계산에 의한 방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질환과 사시 및 약시가 없는 16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자의 평균굴절이 상도 및 연령 은 각각 우안 S-2.34(±2.25)D C-0.98(±1.00)D, 좌안 S-2.22(±2.15)D C-1.05(±1.06)D, 20.84±0.96 세(6세에서 41세)였다. 모든 측정은 Vision-K Auto-refractor®에 의한 완전교정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원 거리(3m) 및 근거리(40 cm) 사위 검사는 각각 하웰 사위카드와 하웰-김 카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계산 AC/A비는 동공거리(cm)+0.4(근거리사위-원거리사위)로 경사 AC/A비는 +1.00D와 -1.00D 조절자극에 의 한 근거리 사위 차이의 반으로 결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에 있어서 계산 AC/A비(5.07±1.55)가 경사 AC/A비(4.00±1.32)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수준에서 높았다(t=1.95, p < 0.001). 계산AC/A는 정위(t=2.0, p < 0.001), 기본형 내사위 (t= 2.16, p < 0.05), 기본형 외사위(t=2.20, p < 0.01), 폭주과다(t =2.26, p < 0.01) 유형에서 경사AC/A비 보 다 유의 수준에서 높았지만 다른 양안시 그룹에서는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전체대상자에 있어서 두 방법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r = 0.012, p > 0.05). 결론: 전체 대상자에 있어서 계산 AC/A비가 경사 AC/A비 보다 높았지만 두 AC/A비 사이의 상관관계 는 보이지 않았으며 두 AC/A비 차이는 양안시 유형에 따라 달랐다.
        4,000원
        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binocular fusion step and functional degree in synoptophore. Methods : we evaluated the binocular simultaneous, fusion and stereopsis conditions of pre and post phoria of 67 adult patients (male 50, female 17) from synoptophore and Vongrafe phoria method. Results : Average of phoria were -1.25±0.43b., phoria distributions were 1 to 7 prism. exophoria much more than esophoria. Esophoria distributions were 1 to 4 prism. Correlation of steropsis according to phoria degree, it was increased in process exophoria to esophoria (r = 0.409. p < 0.001). It were simultaneous perception post corrected phoria better than pre corrected phoria (t = 6.178, p = 1.479E-8). Fusion step were compared pre of corrected phoria to post of corrected phoria, simultaneous perception of pre corrected phoria were 2.05± 1.48°. fusion were 4.31±1.92°, stereopsis were 8.33±3.33°, simultaneous perception of post corrected phoria were 1.37±0.44°, fusion were 3.31±0.92°. stereopsis were 6.54±2.12°. It were fusion post of corrected phoria better than pre of corrected phoria (t = 6.178, p = 1.479E-8). Conclusions : ln these results. phoria degrees were small in synoptophore rather than in Vongrafe method. synoptophore method were evaluated functional fusion degree of vinocular vision, post of corrected phoria were improved simultaneous perception, fusion. stereopsis before pre of corrected phoria.
        4,000원
        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시각 구연 능력과 양안시 기능이 학업 성취도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 았다. 방 법 : 대전 지역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한글 읽기 속도(Korean Reading Rate) 검사와 DEM 검사를 통한 시각-구연 능력(Visual-verbal Skills)과 굴절이 상도, 사위도, 조절 용이성, 융합 능력(Fusional Vergence) 및 조절근점 등의 양안시 기능을 측정하였다. 연간 총 평가 성적을 석차 순으로 상 ․ 중 ․ 하(각 38명씩) 3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종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학업 성취도 각 그룹별로 시각-구연 능력과 비교했을 때 한글 읽기 속도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평균 10초 정도 짧았으며(p = 0.000)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359, p = 0.000). DEM 검사는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9초 정도 짧았고(p = 0.000)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427, p = 0.000). 양안시 기능과 비교한 결과 굴절이상도는 중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0.50D 정도 더 높았다(p = 0.016). 사위도 및 단안 조절기능(단 안 조절용이성 및 단안 조절 근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융합 능력 가운데 원 거리에서 NFV와 PFV 모두 중간 그룹이 가장 낮았다(p = 0.011 및 p = 0.007). 근거리에서 NFV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FV는 상위 그룹이 가장 높았다(p = 0.000). 특히 학업 성 취도와 근거리 PFV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571, p = 0.000). 조절과 폭주의 결합 요소(양안 조절 용이성 및 양안 조절 근점)를 비교했을 때 양안 조절 용이성은 중간 그룹이 가장 높았으며(p = 0.000) 양안 조절 근점은 상위 그룹이 가장 낮았고(p = 0.037), 한글 읽 기 속도와 DEM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r = 0.618, p = 0.000). 결 론 : 학업 성취도와 시각-구연 능력(한글 읽기 속도와 DEM 검사)은 모두 상관성이 있 었으며, 양안시 기능은 근거리 PFV만 상관성이 있었고 근거리 PFV가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9.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안시기능 관련 검사에서 포롭터를 이용한 다소 제한적인 공간에서 측정한 값과 시험테를 이용한 보다 자유로운 시야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전신질환과 안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67 (26.11±2.56세) 남자 32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굴절이상 수술 또는 사시 수술 병력이 있는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자동굴절검사 (KR-7100P, Topcon Co.)와 자각식 굴절검사로 원거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고, Phoropter(Shin-Nippon BR-7), Chart project(TopconACP-7), Trial Frame(FM 580), Lens Holder Kit(Gulden Ophthalmics co.), Loose Prism, MIM Card(Bernell co.)를 이용하여 양안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포롭터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78±2.14△, VG(near) -2.63±4.64△, MR(distance) -0.35±1.85△, MR(near) -1.69±4.80△, MT(distance) -0.40±1.81△, MT(near) -1.78±4.52△였다. 시험테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36±1.70△, VG(near) -1.43±4.00△, MR(distance) -0.08±1.54△, MR(near) -1.07±4.15△, 였다. 원거리 수평 융합버전스 측정 에서는 Smooth Vergence NFV(break/recovery) 10.15△/6.37△, PFV 18.58△/9.43△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9.01△/12.18△, PFV 20.13△/11.65△이었다. Step Vergence는 원거리에서 NFV 8.46△/4.73△, PFV 14.40△/7.89△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5.78△/9.97△, 17.90△/11.03△이었다.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각각 실시된 3가지 사위측정법에 대하여 1차 측정과 2차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MT측정법> MR측정법> VG측정법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고 특히 포롭터에 의한 VG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낮았으며 시험테에 의한 MT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은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Smooth vergence가 높았고 회복점도 원거리에서는 Smooth vergence가 높았으나 근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성융합버전스는 분리점과 회복점 모두 Smooth vergence가 Step vergence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자유공간과 비교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실시하는 양안시 관련 검사가 사위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MT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신뢰도가 좋았으며 융합버전스를 평가할 때는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위자의 자각증상 완화를 위한 프리즘 처방량을 산출할 때 융합버전스 예비량 측정법에 따라 처방량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