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수행한 해양치유 리빙랩을 토대로 산업적 초기 단계에 있는 해양치유 프로그램 운영모델의 최적 모형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해양치유 문헌조사와 기술 수요 조사를 통해 주민들의 건강 관련 이슈,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니즈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운영모델을 기획하였다. 리빙랩에 적용한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자원활용 요법과 전문 해양치유 프로그램인 마린아트테라피, 마린힐링테라피 그리고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 프로그램이다. 사용자 맞춤형 해양치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충남 태안(서해안), 전남 완도(남해안), 경북 울진(동해안)에서 5회에 걸쳐 리빙랩을 운영하였으며, 해양치유 리빙랩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리빙랩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치유 운영모델을 고도화하였 으며, 전문가 자문을 거쳐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모델을 완성하였다.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 경감, 우울감 완화, 근골격 계 통증 완화, 수면의 질 개선, 피부 상태 개선, 체지방 감소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해 양치유 프로그램 운영모델은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내용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가이드라인 성격이 강하므로 향후 구체적인 치유 목적별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해양치유센터 개관을 앞두고 최적 비즈니스 운영 방안을 마련할 때, 지역별 수요와 여건, 시장 환경 변화 등을 탄력적으로 반영하여 종합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마파(MAPPA) 스튜디오의 100% 출자 애니메이션 '체인소 맨' 프로젝트를 비즈니스모델캔버스(BMC) 관점에서 분석하여 신규 일본 애니 메이션 IP의 비즈니스 구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MC의 9가지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공식 자료, 업계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 세그먼트는 글로벌 애니메이션 팬층과 원작 만화 팬 등을 타겟으로 하였고, 가치 제안으로는 고품질 애니메이션과 혁신적 스토리텔링을 제공하였다. 채널로는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을 활용하였으며, 고객 관계에서는 팬 참여형 모델을 도입 하였다. 수익원은 방영권 판매, 머천다이징 등으로 다각화하였고, 핵심 자 원으로 IP와 제작 기술을 활용하였다. 핵심 활동은 고품질 애니메이션 제 작과 IP 관리에 집중하였으며, 핵심 파트너십으로 원작자와 스트리밍 플랫 폼 등과 협력하였다. 비용 구조에서는 제작비와 마케팅 비용에 전략적 투 자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체인소 맨' 프로젝트는 고품질 콘텐츠, 글로 벌 유통 전략, 다각화된 수익 모델을 통해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는 향후 일본 애니메이션 IP의 글 로벌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로파이 걸과 포트나이트의 협업 사례를 통해 게임과 음악 IP 융합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했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한 질적 사례 분석 방법을 사용했으며, 공식 발표 자료, 뉴스 기사, 업계 보 고서 등의 2차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가치 제안' 면에서 로파이 걸 세계관의 게임 내 구현과 실시간 음악 스트리밍의 결합으로 독특한 경험을 제공했다. '채널 전략'으로는 게임 플랫폼, 유튜브 등 멀티채널 접근을 활용했다. '고객 관계' 측면에서는 게임 내 커뮤니티 형성과 실시 간 소통을 통해 사용자 참여를 극대화했다. '수익원'은 게임 내 아이템 판매, 음악 스트리밍 수익 등으로 다각화했다. '핵심 자원'으로는 로파이 걸 IP, 포트나이트 게임 엔진 등이 활용되었고, '핵심 활동'으로는 게임 업데이트, 음악 큐레이션 등이 수행되었다. '핵심 파트너십'은 음악 아티 스트, 스트리밍 플랫폼 등과 이루어졌으며, '비용 구조'는 게임 개발, 음 악 라이센싱, 마케팅 비용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크로스 미디어 전략 의 주요 특징은 음악과 게임을 융합하는 미디어 간 경계 허물기, 2D에서 3D를 연결하는 IP의 확장을 통한 재해석 그리고 멀티 플랫폼 전략 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크로스 미디어 전략의 IP 확장, 사용자 경험 혁신, 다각화된 수익 모델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시하며, 정책적 대안으로 크로스 미디어 협업 지원 체계 마련, IP 활용 창작자 지원 등의 투자 정책 수립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중국의 성공적인 실경 공연 작품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 으로써 향후 한·중 양국의 실경공연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Osterwalder & Pigneur(2010)에 의해 고안된 비즈니 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해 최근 중국 현지에서 가장 성공적이라고 평가받 는 <판타지아·하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실경공연과 달리 <판타지아·하남>의 관객은 지역문화에 관심이 있는 젊은 사람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지역문화를 활용해 공연을 제작하고, 입소문 마케팅 및 홍보 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었다. 또한 수익원으로는 호텔, 문화상품 판매 등 다양한 수익원을 발굴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공연 내용은 전략적으로 그 지역 특유의 문 화에 집중해야 하며, 둘째 수익원의 다각화가 필요하고, 셋째, 온·오프라 인의 홍보를 강화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그 지역의 현지인의 배우들을 육성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본 연구가 한국 및 중국 실경공연 시장 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creasingly, companies’ attempts to become more sustainable are framed in terms of transitioning towards sustainable business models (SBMs), whereby central logic of how the company offers value to customers is challenged (Yang & Evans, 2019). This transition requires companies to rethink the way value and resource consumption are coupled in their operations (Pieroni et al., 2019), as well as consider different ways of connecting with customer needs (Laukkanen & Tura, 2020).
We propose a sales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number of new members, online advertising, and consumer reviews for a short period. Considering purchase behaviors of new and existing members, we predict reliable sales amounts, which can be monthly updated. Our study provides digital marketers with a feasible prediction approach.
Data commentary is an important text type in research articles; however, its discourse model is often challenging to access because it is embedded in the upper genres such as textbook, weather forecast, and journal articl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iscourse model of data commentary, with a focus on academic research papers in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employs Move analysis and SF-MDA(Systemic Functional-Multimodal Discours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oves of data commentaries and the metafunctional meanings of each ste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ata commentary discourse model consists of three moves: (1) summarizing the topic and methodology, (2) representing figure and numbers, and (3) analyzing and commenting on results. Additionally, 22 steps are identified for each move that creates metafunctional meaning: ideational, interpersonal, and textual.
이 연구의 목적은 코칭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개발 하 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초안을 구안하고 전문가 검 증을 통해 수업모형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최종안에 대해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강의 경험이 있는 기업체 교수자와 교육학 박사학위 소지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업모형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수업모형 초안과 비교해 최종 수업모형은 코칭 기법을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의 각각 단계에서 적용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 에 중점을 둔 모형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모 형은 기업체 대상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제공함으로써 창의 적 문제해결 교육을 도입하는 교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체계적으로 교육 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ongoing project, the major building technology companies in Finland are joining forces to research and develop a platform based ecosystem in the intelligent building context. From the business perspective, one of the main question is which kind of business model is needed in the future ecosystem. Keywords: smart buildings; platform economy; ecosystem; business model innovations
Professional sport leagues are both commercial products and public products. As China’s sports leagues transition from state-governed properties to a more commercial model, professional sports are facing a crucial turning point on balancing stakeholders pertaining to its commercial/market value and social value. How to develop a sustainable business and management model of professional sports teams, fitting Chinese culture and the calls on free economy, has become a major challenge to scholars, practitioners and entrepreneurs in China’s sport industry. Every organisation has its relationships with many groups ("stakeholders") that affect and are affected by its decisions, which are dynamic in a constantly changing world. Stakeholder theory was developed through concerns regarding the nature of these relationships in terms of both processes and outcomes for both organisation and stakeholders, and the changing nature of the environment.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년에 걸쳐 수행 된 파라과이 KOPIA 센터의 참깨 시범마을 사업의 경영성과와 투자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범사업 참여농가는 1,172천~2,928천Gs/ha의 수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 기준으로 산출할 경우 연간 760$ 이상의 소득 증가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범사업 투자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된 B/C Ratio는 1.52로 분석되어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범사업에 참여한 농가들의 만족도를 7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시범사업의 전반적인 만족도, 소득증가에 대한 만족도, 수량증가에 대한 만족도 모든 항목에 대해서 만족함, 매우 만족함에 응답하였다. 계속 참여의향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균일성에 대한 만족도가 6.9점으로 가장 높았다.
성공적으로 평가되는 파라과이 KOPIA센터의 참깨 시범마을 사업의 성공요인은 첫째, 적합품목의 선택, 둘째, 현지 적응 신품종의 선발 및 보급, 셋째, 수동파종기, 배무식 분무기, 공동경운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노동력을 절감, 넷째, 적정시비량, 윤작체계, 친환경 엽면시비 등의 재배교육을 통해 농약과 비료비는 절감하고, 수확량 증가와 품질향상을 도모한 것 등이다. 특히,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는 목화의 대체품목이며, 생산 증가에도 가격하락 위험이 적은 수출품목인 참깨를 선발한 부분과,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지적합 품종을 선발했다는 점, 수동파종기와 배무식 분무기, 녹비작물, 지렁이액비 등 저소득 농업인이 지속적으로 수용 가능한 기술이 보급되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Emerging technology trends can seem both elusive and ephemeral but some become integral to business and IT strategies and form the backbone of tomorrow’s business model and technology innovation. Companies (and Administrations) must examine the business impact of these trends and adjust business models and operations appropriately or risk losing competitive advantage to those who do. Rather the technology being difficult it is the implementation of it that could be a challenge. We’re working in an environment where volumes and complexity are increasing, but budgets are decreasing. How to sense and act upon a future that remains unclear? It is required to think very differently about the way to conceive and deliver technology services. The technology is the last step of the foresight process. The author aim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above enquire starting from the identification of technologies and future technological concepts having potentially a significant impact on maritime traffic management and border control systems and the community in the medium to long term, i.e. 5 to 20 years. It is aimed at the idea of capacity building, not simply forecasting. A brief history of Vessel Traffic Services (VTS) followed by some systems engineering considerations are presented in paragraph 1 with connections to technology trends such as intelligent, digital and mesh in the next paragraph. On maritime domain these means, for instance, moving from traditional VTS to Maritime Service Portfolios (MSP) for e-Navigation. Bioinspired technologies forecasts are presented in paragraph 3 with examples of concrete practical use and possible further applications: drones, camera tracking 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passive as well as cognitive radars. Conclusions and a brief outlook will close the text.
The flow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the innovation of the traditional business models of the manufacturers. Servitization is a corporate strategy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These days, the value that the market demands can b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product-service integration. Thus the manufacturers must pursue the fundamental innovation of the current strategy and business models. It is necessary to create common values with customers through providing product-service integrated offerings beyond the development, production, and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selecting suppliers when the manufacturer who offers the value of product-service integration needs to obtain the resources from outside. The case company in this study is the manufacture firm conducting the retail IoT business as a new business. The Delphi method is use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selecting suppliers. This study suggests the academic implications providing the perspective of Servitizaiton by using Delphi method,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pplying the creating value method of Servitization by collecting the opinions from both value providers and value consum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우리나라의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은 2011~2015년 기간에 우리나라 품목별 수출기여도에서 1~4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중요한 산업이다. 이 연구는 과거 건조에만 치중했던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시추설비의 산업구조에서 통합시운전의 서비스 공급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함으로써 시추설비 시장에서 우리나라 조선소의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2014년에 시도된 주작-1 폐공을 활용한 시운전 서비스 모델과 이의 한계 사항을 극복하고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제안 비즈니스모델인 수심 150미터급 시운전 전용 모델의 경제성을 검토하였다. 경제성 평가 결과, 수심 150미터급 모델이 경제적으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합시추설비의 시운전이 연간 2회에서 3,4,5회로 늘어남에 따라 NPV와 IRR 및 B/C 비율이 모두 증가 하였으며, 1회당 사용료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양시추설비의 통합시운전 사업은 우리나라에서 건조되어 인도되는 설비를 대상으로 시추 시운전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Green crowdfunding – fundraising for green initiatives – has become a growing source of alternative finance for sustainable entrepreneurs. The current paper explores the business model of green crowdfunding from three perspectives, i.e. funders, founders and platform. We pay special attention to how green crowdfunding extends consumers‘ involvement in sustainable economy.
Successful business models have some shared attributes or features. The quality of the business model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of the business model, which can help make decisions on how to invest and risk prevention. However, the business model is not static, but changes with external factors such as demand, competition, technology, macro policies,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business goals, strategies, and resources. Therefore, the requirements of the quality attributes of the business model at each stage are different. Dynamic evaluation of business model quality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ny enterprises, but on the emerging issue, academic research has greatly lagged behind the needs of business practices. Fist in this paper, the generation and evolution of the business model is divided into four stages: blueprint design, practical modeling, application copying, and transformational change. Then, based on reviewing literature, seven key attributes of business model quality are identified, namely, uniqueness, complementary, novelty, certainty, scalability, win-win and matching degree. Thereafter, by using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some configurations of key attributes of business model quality are identified, which are considered critical paths for the business success. Finally, the theory of dynamic evaluation of business model quality has been put forward and used to assess the sample business model.
The paper presents the longitude study of Internet technologies introduction into business model. Rapid spread of Internet technolog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models transformation. Today,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 2017 the penetration rate of the Internet in Russia reached 73%. Thus, almost 3/4 of the population is currently Internet users and be reached online. On the one hand, Internet communication speeds up and simplifies the processes; on the other hand, the key competitive advantage of direct selling business model is blurred. For ages business model was based on direct interpersonal contacts between the distributor and the customer. In this business model relationship creates more value than the product itself [Luk, Fullgrabe, Yi, 1996] and face-to-face meeting is the key descriptor [Sanan, 1997]. Direct selling is cultivated through relationships and provides customer-centric marketing opportunities [Harrison, Hair, 2017].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ether introduction of innovative Internet technologies into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s beneficial for traditional direct selling business model. Empirical research i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from three survey waves (6380 respondents in 2011, 5638 respondents in 2014 and 6800 respondents in 2017). Effectiveness of Internet usage the for communicate with customers was analized in dynamics over the three waves of 2011, 2014, 2017. Using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method 15 (fifteen) hypotheses were checked. Nine (9) out of 15 (fifteen) hypotheses were confirmed. Research revealed that personalization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via internet-based tools (e-mail, web site, social networks, professional social networks, video channels, blogs, microblogs, videoconferences and webinars, messaging applications and files). Nevertheless, face-to-face communication remains significant communication channel for success in direct-s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