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conceptual design of information displays for supporting responsive actions under severe accidents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Severe accidents in NPPs can be defined as accident conditions that are more severe than a design basis accident and involving significant core degradation. Since the Fukushima accident in 2011, the management of severe accidents is increasing important in nuclear industry. Dealing with severe accidents involves several cognitively complex activities, such as situation assessment;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human operators with appropriate knowledge support in their cognitive activities. Currently, severe accident management guidelines (SAMG) have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However, it is also inevitable to develop information displays for supporting the management of severe accidents, with which human operators can monitor, control, and diagnose the states of NPPs under severe accident situations. It has been reported that Ecological Interface Design (EID) framework can be a viable approach for developing information displays used in complex socio-technical systems such as NPPs. Considering the design principles underlying the EID, we can say that EID-based information displays can be useful for dealing with severe accidents effectively. This study developed a conceptual design of information displays to be used in severe accidents, following the stipulated design process and principles of the EID framework. We particularly attempted to develop a conceptual design to make visible the principle knowledge to be used for coping with dynamically changing situations of NPPs under severe accidents.
        4,300원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하천공간은 모든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 오락 공간 및 문화 공간, 스포츠 공간, 자연 학습 공간 등을 제공한다. 또한 주변 지역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여 도시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 규모의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하천 생태환경 악화와 수질오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민의 삶의 질도 악화되고 있다. 란주시의 경우도 80년대 초 하천률은 11.1%였고 20세기 말 8.4%였고 수면의 면적은 약 25%로 감소되었다. 란주시의 남하천은 성관지역의 중앙을 관통하는 고대 황하강 수로의 남쪽 분지에 위치하고 있다. 총 길이8.24km, 유역면적4.13km²이다. 하천주변으로 황하강 문화유산과 시립도서관, 둔황(敦煌) 아카데미 회관, 간쑤(甘肃) 아카데미 회관, 지방 TV 방송국과 같은 문화시설과 상업시설이 밀집되어 있다. 또한 고밀도 주거지역이 위치하고 있다. 주민들의 환경 위생에 대한 인식이 약하여 생활 구역 근처의 쓰레기는 임의로 하천에 버려지고 각종 오염물이 유입되었다. 그로인해 오염된 하천으로부터 다시 도시민들은 수질악화와 악취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수생태계 파괴도 심각하다. 하천의 자연 경관 역시 도시개발로 인하여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삼고, 한국의 "지속가능한 도시 하천 관리"의 정책 수단과 사례지의 구체적인 하천생물종 및 생태계 복원기법과 과정을 연구하여 중국 란주시의 남하천에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한다. 사례연구지는 한국의 서울시의 청계천과 전주시의 전주천과 삼천, 중국의 소주천(苏州), 진화하(秦淮河)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 사례의 경우, 1960년대 서울 도심의 교통 정체를 없애기 위해 청계천을 복개하였다가 2000년대 들어서면서 하천을 생태적으로 복원하였고,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전주시는 전주천을 맑은 물이 흐르는 자연형 하천으로 가꾸어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사람과 자연이 조화로운 녹색환경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전개하였다. 그 결과 연장 7.0㎞ 구간에 걸쳐 하천 유지용수를 확보하고, 오염원 제거 및 정화시설 설치 등 수질 개선사업과 함께 고수부지 식생 및 하도 내 어류 서식처 등 생태계 복원과 자전거도로・산책로・자연관찰시설 등 친수공간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전주시 삼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총 9.8km구간으로, 반딧불이 복원, 수달 서식지조성,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정비 등 쾌적한 하천 및 여가공간을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중국 사례의 경우, 소주시(苏州市) 소주천과 남경시(南京市) 진화하(秦淮河)에서는 공원형 하천을 생태환경과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생태하천으로 복원사업이 진행되었다. 현재 중국은 상류 및 하류를 포함한 하천 유역에 대한 종합적 계획이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의 도시 하천 관리는 하천 생태환경, 주거생활 및 경관을 포함한 도시 하천관리 계획 및 프로그램의 지속가능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3.
        2016.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혁명 이후, 지구의 생태 환경은 거대한 변화를 겪고 있다. 학계에서도 생태 환경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도 융합학 방식을 통해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융합학으로서의 예술 디자인은 철학, 미학 등 인문학 분야 및 경영학, 엔지니어링 등 공학 분야와도 다양하게 결합되고 있다. 넓은 의미로 생태라고 함은 자연을 가리킨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는 동양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관념이다. 동양사회에서는 줄곧 자연과 인간의 조화 통일을 강조해왔다. 특히 유가에서는 천인상통론을 통해 자연(天)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였다. 우주론적 의의로 보면, 인류사회에 기본적 도 덕 원칙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주례·고공기』의 디자인 이념 역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 하였고, 새로운 인공물을 만들어 낼 때 항상 자연을 고려하였다. 그러므로 모든 기물을 만들 때 자연과 조화를 이룰 때 아름다움을 논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디자인은 인간의 창의성에 의해 만들어지는 주관적 능동성 외에 또 자연 생태를 통해 그 재료를 얻게 된다. 인간은 합리적으로 자연 생태가 제공하는 재료를 얻었을 때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디자인이 될 수 있고 또한 자연 생태를 보호할 수 있다. 『고공기』의 디자인 관념의 중심은 자연 생태, 인간과 디자인 간의 조화됨을 미적 가치로 체현하고 있다. 조화미는 고대로부터 인간이 추가하는 이상의 경지이기도 하다. 동양 고전미학에서 볼 때 “조화”를 아름다움으로 여기는 사상은 매우 풍부하다. “조화”가 강조하는 것은 바로 서로 다른 물질 간의 상호 협조, 평형과 유기적 통일이다. 자연, 인간, 인공물은 세계의 3대 존재이다. 그러므로 인공물의 디자인과 창조는 반드시 자연과 인간 사회의 통일을 고려해야 한다. 그럴 때 인류는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다. 나날이 윤택한 생활 환경 조건 속에서 현대의 디자인은 물질 우선의 사회로 전락했다. 인간과 자연 생태의 관계는 이미 심각한 대립적 상황을 이루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지속 발전 가능성은 우리가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점을 직면케 한다. 여기서 우리는 『고공기』에서 말하는 “하늘의 때, 땅의 기운, 재료의 아름다움, 기술의 공교함” 즉 자연, 인간, 인공물의 통일된 생태 디자인 미학관을 돌이켜 볼 필요가 있다.
        5,1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업화 시대 이후 공간설계에 있어서 생태적 접근은 지속적으로 주목 받아왔다. 옥외환경디자인의 영역, 특히 조경설 계에 있어서 생태적 설계는 크게 두 가지의 흐름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기술적인 측면의 생태설계로서 설계 행위를 통하여 환경의 생태적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는 분야이며 둘째는 생태적인 공간을 사회문 화적으로 이해하고 어떻게 대중에게 그 공간의 생태적 가치를 설계라는 매개를 통해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분야이 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의 관점에서 조경설계가 공간의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으로 다룰 때 생태적 의미가 더 효과적 으로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따라서 생태적 조경설계의 여섯 가지 대상을 요약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계언어 여섯 가지를 제안하여 논증하였다. 설계주제로는 생태적 기능, 경관의 일시성, 역사성, 시각적 흥미, 안전성, 접근성을 요약하였고 설계언어는 구체적으로 설명, 상징, 대비, 틀, 다양화, 그리고 거리두기를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산재되어 있는 설계언어를 종합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태설계에 응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제안하고 각 설계언어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4,200원
        6.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e of vertical space greening of urban architecture which is an effective approach to build the green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to increase urban green space, is the ecological planting epidermis design. By means of learning th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ecological planting design of construction epidermis, the paper reviews principles of ecological planting design of construction epiderm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planting design, which bases on the concept of BBL, the bioclimatic buffering layer. Furthermore, it aims to find new creative ideas of the combination of green plants and construction epidermis design,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s for Chinese construction epidermis design practice.
        4,000원
        7.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은 한국전쟁 이후 파괴된 산림을 조기 에 녹화하고, 솔잎혹파리 피해가 없는 소나무를 제외한 속성수 위주의 경제림으로 조성함에 따라 일본잎갈나무, 리기다소나 무, 잣나무, 전나무, 편백 등 고유한 자연식생경관과 이질적 이고 단조로운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인공림 중에서 단일 종으로 구성된 단층구조의 침엽수림은 광투과율이 낮고 타 감작용으로 인해 생물종다양성 저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 으며, 화양구곡 등 자연과 전통문화생태경관이 중요한 독특 한 경관자원에 대한 기초자료와 관리시스템도 제대로 마련 되어 있지 못하다. 산림면적비율이 64%인 우리나라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에서 시작된 산림요법, 산림테 라피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산림치유, 숲치유라는 용 어가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2007년 제주도 올레길, 2009년 북한산둘레길 등 문화생태경관 테마와 자연치유 기능을 가 진 산림을 이용하는 탐방객이 증가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함께 도시림은 만성적인 대기오염, 산성비, 토양건조화, 귀 화식물 창궐, 답압피해, 야생동물 서식지 단절과 훼손 뿐만 아니라, 2006년부터 온대중부지방을 중심으로 2012년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참나무시들음병 발병으로 서울 남산과 북한산국립공원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산림식생관 리에 새로운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독일의 von Salisch(2009)는 1800년대부터 산림식생관 리에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임업림 미학(Forest Aesthetics)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할 때 자생 낙엽활엽 수와 자생 침엽수, 인공조림 외래수종, 자생 관목류, 수형, 수 피, 낙엽색깔, 꽃, 열매, 숲의 향기와 소리 등 경제성과 자연치 유 요소를 고려하였다. 최근 독일에서는 경제성 위주의 목재 생산과 생태계 보전 위주의 자연보전 목표와 함께 휴양적 측 면에서의 미적가치를 추구하는 산림미학(Woodland Aesthetics)을 강조하고 있다. Stölb(2012)는 산림미학(숲미 학)을 산림경관관리와 생물다양성 증진, 고유성을 가진 숲 에서 감성적인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산림의 미적 가치 를 창출하는 개념이라고 하였다. 전 산림의 95%가 인공림 인 영국에서는 1990년대 초 다양한 종 구성, 수령, 층위구 조, 식생유형 등 산림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모자이 크 패턴의 산림경관을 조성하는 Forest Design 개념이 유행 하기 시작하였다(Bell and Apostol, 2008).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 때 자연림을 훼손하고 대면적으로 속성수 침엽수 를 조림하여 성공하였으나, 1960년대 Dame Sylvia Crowerk 가 산림경관디자인 개선 문제를 제기하면서 Forest Design 개념이 도입되었다. Forest Design은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장기적인 Forest Design Plan을 수립하여 임목축적량, 경관 디자인, 고고학적 자원, 야생동물, 심미적 가치, 야생동물 생물이동통로, 자연정화능력을 가진 수려한 계곡의 보전 등 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생산을 위한 경제림 육성을 제외한 고유한 자연경관 회복, 생물종다양성 증진, 휴양 및 자연치 유, 전통문화생태경관 복원, 야생동물서식처 등 다목적 산 림식생관리 목표를 달성하고, 생태적 천이계열을 고려한 우 리나라 산림식생관리에 도입할 수 있는 Forest Design Planning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그 체계는 산림관리 목표 설정 → 관리대상지의 자연환경 및 입지 특성(기후, 해발고, 향, 경사, 지질, 토양, 수계, 개설임도, 탐방로) 자료 구축 → 자연생태계 현황(식물상, 야생동물 서식현황), 비오톱현 황도(토지경계, 토지이용, 식생구조, 표본목 수령 등), 식생 경관현황도 조사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산림식생관리 Zoning → Sketch Design(Zoning별 상세 관리목표 설정 후 밀도조절 및 식재계획, 생태적 천이 유도 계획, 전통문화 생태 경관 회복, 방제계획 등 수립과 자연치유 프로그램 구 상 및 설계) → 비오톱유형도, 식생경관관리 지도, 실행계획 도 제작 → Feed back → 문서작성 → 승인 → 실행 → 모니터링 및 보완 등의 절차로 설정하였다.
        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정제어시스템과 같은 복잡한 시스템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를 설계하기 위해 두 가지의 세부적인 설계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정보디스플레이에서 표현할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고 조직화하는 문제와 그 표현할 정보를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 문제로 구분이 된다. Ecological Interface Design (EID)는 두 문제를 다루기 위한 이론적 배경지식과 방법을 제공하는 정보디스플레이 설계의 틀이다. EID는 1990년대 초반에
        4,000원
        9.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e of vertical space greening of urban architecture which is an effective approach to build the green healthy living environment and to increase urban green space, is the ecological planting epidermis design. By means of learning th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ecological planting design of construction epidermis, the paper reviews principles of ecological planting design of construction epiderm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planting design, which bases on the concept of BBL, the bioclimatic buffering layer. Furthermore, it aims to find new creative ideas of the combination of green plants and construction epidermis design,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s for Chinese construction epidermis design practice.
        4,000원
        10.
        201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mited human attention resources produce cognitive load and so critical human error. In particular, the case of large-scale systems due to human error from the limited attention resources had often very large accidental damage. Recent disaster of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is a typical example. Display design method to reduce the cognitive load has been studied in the area of Ecological Interface Design (EID). EID method proposed Work Domain Analysis (WDA) for understanding work domain constraints. Using WDA method, it analyzed Steam Generator and Pressurizer Water Level control process design of digitalized Main Control Room.
        3,000원
        11.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이론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이론이 제공하지 못하는, 차별화된 학습자 중심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주의 학습이론들은 현재 정보화 사회의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 학습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학습자 주도적인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오락적 요소가 충분히 반영된 환경으로서 교육용 게임은 게임세대라 할 수 있는 지금의 학습 세대에게 적합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이다. 따라서 교육용 게임의 설계를 위한 관점으로 구성주의적 학습 이론의 특성을 고찰하면서 설계 원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으로서 최근 부각되고 있는 활동이론, 분산인지, 생태심리학의 관점에서 이론적 배경이자 실천적 방안으로 교육용 게임의 설계 원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것은 향후 학습자 중심 학습을 위한 상황별, 유형별 교육용 게임의 설계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이론적 기반 및 논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2.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ch controversy has been generated over whether the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in Korea is faithful to the basic approach of ecological restoration compared to projects aimed at creating parks or green spaces. This study was aimed at understand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practitioners in the planting design method, which is recognized as relatively important in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The proficiency of practitioners in planting design techniqu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seven areas: overall planting design awareness, plant species selection method, planting tree sizes, planting density, use of native species, vegetation climatic zone, soil environment, and weed contro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o thought they were experts in the field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the group who thought they were experts in the field of parks and green spaces. Moreo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work performance, that is, the group whose main industry was ecological restoration, the group that performed relatively more ecological restoration work, and the group that rarely performed it. Therefore, to apply desirable ecological restoration techniques in the future and to clearly differentiate between the approach in the field of parks and green spaces, the appropriate tree size or planting density selected in the ecological restoration planting design stage must be chosen. To this end, the awareness of expert groups must be improved and related laws, systems, and guidelines must be revised.
        13.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혁명 이후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구의 증가와 도시화는 현대인의 삶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 인권과 자연과의 공생이 주장되기 시작한 19세기 중반 이후의 사상가와 문필가로부터 환경 친화적 개념을 도입한 디자인 교육자들과 정치가 등 다양한 분야의 실천가들과 그들의 대표적인 저서와 사상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사상과 함께 태동한 생태학의 이론과 개념 으로부터, 생태학적 디자인은 인간과 환경의 공존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태학적 디자인이라는 큰 영역 속에서 에코디자인(Eco Design), 그린디자인(Green Design), 환경친화적 디자인(Eco Friendly Design), 지속가능한 디자인 (Sustainable Design)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비슷하면서도 다른 디자인 관점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디자 인’이라 불리고 사용되는 디자인의 개념을 시간과 공간과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소개하고, 디자인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성’ 이라는 불분명한 개념을 디자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경과 인간 활동의 공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생태학적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감성 손글씨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되고 있으며, 디자인의 한 분야로 이슈화 되고 있다. 더욱 이, 아날로그적 감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하고 해석하며, 디자인의 시각적 영역에 새로운 가치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품의 광고 및 홍보, 영화 타이틀, 드라마, 책표지, 예술작품, 패션 뿐 만 아니라 생활 소품에서도 여러 분야의 디자 인과 접목되고 있다. 디자인에 있어 정밀하고 기술적인 측면이 요구될 수도 있으나, 인간의 감성이 내재된 감성 손글씨는 전통서예와는 다른 예술성과 상업성, 독창성, 차별성을 요구한다. 예술과 실용의 목적 외에 미래지향적인 자연주의 디자인 과 인간중심의 정서 부활로 새로운 디자인 영역의 확장과 바람직한 미래 창출을 기대한다. 최근에는 자가 치유인 자신을 힐링하고 자존감을 높이며 우울감, 강박감을 극복할 수 있는 예술 치유의 한 분야로도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원시의 자연생태하천의 복원사업으로 정비된 교량명판에 감성 손글씨를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 였다. 또한 ‘캘리그라피’ 용어의 정의를 ‘감성 손글씨’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대 도시 중심으로 재정비되는 도시환경개선사 업에 적극 활용과 미래의 창의융합에 결합된 도시환경 디자인 설계와 현 시대의 트렌드에 맞는 문자 디자인의 콘텐츠 개발 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1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습지나 자연습지 모두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홍수를 저감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새롭게 만들어지거나 복원되는 습지에서 자연습지와 유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연습지와 유사한 패턴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바로 대조습지에 대한 조사 및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생태적 식재 설계의 접근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취지에서 국립수목원의 수생식물원에 도입가능한 수종 선정과 배치를 위해서 현지내 서식중인 수종, 대조습지내에서 관찰된 수종, 그리고 각종 문헌에서 나타난 수종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만들고자 하는 수생식물원의 습지 유형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하고자 하였다. 우선 대조습지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자리형 6개, 웅덩이형 4개, 경사형 1개 등 총 11개 지점을 선정하여 식생과 토양을 조사하였다. 11개의 대조습지내에서 관찰된 습지식물을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가장자리 습지에서 50종, 경사 습지에서 18종, 웅덩이 습지에서 16종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생식물과 수심 등 환경조건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결과 기존의 연구와는 큰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으나, 수심에 따른 명확한 분포 패턴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즉,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리연꽃이나 마름은 수심 50cm-130cm까지로 나타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심 20cm 지역에서도 우점수종으로 분포하였다. 또한, 토양 분석 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결과적으로 토양산도 pH 5.6-6.8의 범위에 있는 약산성~중성에 가까운 토양을 사용하고, 전기전도도는 0.2ms/100g 이하, 양이온치환용량은 20me/100g의 범위에 있는 토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현재 국립수목원내 수생식물원에는 총 37과 88종이 식재되어 있으며, 수생식물의 확산 및 경쟁에 의해 군락간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식재된 식물의 분류 기준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수생식물원에 도입할 습지식물의 선정은 각종 문헌 및 대조습지 조사, 기존 수생식물원내 분포하고 있는 종들을 모두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수생식물원에 도입할 습지식물을 유형별로 구분해보면, 가장자리 습지에 21종, 경사 습지는 20종, 그리고 웅덩이 습지에는 63종을 선정하였다. 한편, 선정된 식물들은 각각의 습지 유형별로 입지시켰으며, 습지식물의 배치시에는 수생식물원 내부의 입지적 특성과 분류군별 특성을 고려하였다. 특히, 수생식물의 성장 및 분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심과의 관련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배치하였는데, 정수식물의 수심은 50cm 이내, 부엽식물은 30-60cm 범위 내에서 서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엽식물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수심이 변동하는 구간은 가급적 피하도록 하여 갈수기에 잎이 습지 저면에 닿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침수식물은 수심에 큰 지장을 받지 않으나, 가급적 50-150cm 이내의 수심을 가진 지역에서는 모두 도입하고, 침수식물은 가급적 수질정화력이 높은 식물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부유식물은 특별한 수심을 요구하지 않으나, 수위변동 구간에 식재하여 갈수기에 식물체가 습지 저면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습지지역에서 나타나는 식생 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습지를 조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생태적 식재 설계 모델을 위한 기초 연구로 볼 수 있으며, 향후 보다 많은 자연습지에 대한 조사 및 분석, 환경인자간의 상호관련성 분석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인 모델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
        16.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erimental design for ecological restoration approach was investigated from the P' company's slag dumping area with higher pH value. The degree of pH recovery was measured by the injection of carbon dioxide from the LNG exhaust gas, and the residual carbon, for example, calcium and carbonate which can be controlled by artificial seaweed beds. The degree of adaptability from 3 algaes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horneri and Ecklonia stolonifera) and uptake nutrient function of Ecklonia stolonifera chosen in the first treatment were measured in the laboratory to determine the transplanting algae in artificial seaweed beds. The higher value of pH was decreased to 7.0∼8.5 by injection of LNG exhaust gas with flow rate 20 m3/min. In the experiment design at laboratory, the upper part of frond of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horneri began to decay, and the color changed after 10 days. However, those of Ecklonia stolonifera were after 14∼20 days. The uptake rate of nutrient from Ecklonia stolonifera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algaes, and those was similar pattern in the control (e.g. seawater); The DIN concentration uptake of Ecklonia stolonifera was 1.88 ㎍/L/hr avg. in leachate, but 2.19 ㎍/L/hr avg. in seawater. However, the PO4 3-P concentration uptake was 0.18 ㎍/L/hr avg. in leachate, but 0.31 ㎍/L/hr avg. in seawater. These result indicated Ecklonia stolonifera uptaked these nutrients in the leachate as well as in seawater, and it may suggested for this species to transplant for constructing artificial seaweed beds.
        1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ecological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educational space considering of the effects of ecological education. We found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organize ecological education of elementary program in the interior landscape. We considered the criteria of interior landscape at elementary school as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physiological environment. Observation type, exhibition type and experience type were considered as a type of interior landscape in ecological curriculum. Because we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to trace the educational facilities design criteria, this research supplies interior landscape design information for user by web environment. Specially, curriculum analysis is very useful data for interior landscape design criteria. There are three category in this database: obervation, exhibition, experience style. The other category is consist of floor type and elevation type. The last category is garden style, container style, hanging style, and movible or fixed application. User favorite style can be chosen in web environment. This study will be a basic data in the field of interior landscape design.
        18.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덕산에 자생하고 있는 쥐다래는 잎이 개화기에 분홍색으로 변하는 등 높은 관상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를 조경원예수종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광덕산 서식지의 해발표고는 최저 679m에서 최고1014m까지 분포하였고, 기상온도는 일년 중 최저기온이 -23.3℃, 최고 기온이 28.7℃로서 서울의 기온보다 각각 9.2℃와 6.0℃가 낮았다.2. 유기물 함량은 1.5~5.4%, 유효인산 함량은 16~ 49mg/kg, 토양산도는 5.2~6.0 범위였다. 3. 광덕산 쥐다래 서식지의 식생은 총 50과 99속 113종 17변종 이었다.4. 쥐다래 서식지는 임도주변 수광률이 높은 곳에 서식하고 있는데 목본은 산뽕나무,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초본류는 내음성이 높은 넓은잎외잎쑥과 대사초, 큰개별꽃의 피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trapolate the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the flower fixation design materials and to find a solution by enabling ecological flower designing through discovering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that fix the flowers and analyzing their utilizations. Such use of pro-environmental materials shall lead changes in awareness among the professional florists as well as the consumers. The result of analyzing 67 flower works produced by the environment friendly flower fixation materials is as follows: 1) The design makes the most use of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plants used. 2) The pro-environmental materials were minimized to it functional usage, yet visual beautification was emphasized to make the design harmonized. 3) The design showed excellent coordination with vases. The vase was selected to match the color and shape of the flowers contained in it. This allows the vase to be included as part of the overall design of the work. The 67 flower design works reviewed in this research reveal a common design tendency: the environment friendly fixation materials not only were functionally solid, environmentally safe and recyclable but also played outstanding role as visually beautiful design element. This indeed is a revolutionary finding that could impact on the future of the flower design as a whole.
        20.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관특성평가(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는 지속가능한 경관생태학적 설계 및 계획을 찾는데 있어 점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촌경관(Rural landscape)평가방법의 잠재성에 초점을 두고 전문가에 의한 쉐필드 그린벨트의 경관가치 평가가 그린벨트 안이나 주변에 사는 거주자들의 의견을 반영했는지를 연구하였다. 쉐필드 그린벨트지역을 대상으로 경관특성평가를 하였고 설문지 조사 결과는 경관에 전문지식을 갖고 있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