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위생 제품이 다양화됨과 동시에 각 활용 방법에 따 라 그 효능을 평가하는 여러 시험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 다. 하지만 평가 방법에 따라 각 제품의 항균 효능은 다 르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실제적인 효능을 확인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손 위생 제품의 효능 평가방법 비교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 히 돼지피부를 이용한 ex vivo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 다. 이에 본 연구는 손 위생 제품 중 리브온 소독제와 워 시오프 세정제에 대해 각각의 항균 평가 방법을 종합적으 로 비교했고, ex vivo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연구 단계에서 효율적인 ex vivo 시험의 신뢰성 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in vitro 시험으로써 액체 현탁을 기반으로 하는 time-kill 시험을 진행했고, in vivo 시험은 최소 2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ex vivo 시험 은 규격화된 돼지 피부를 이용하여 in vivo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면서 소독제의 최적 처리량과 세정제 사 용 시 첨가되는 물의 양을 제안했다. 시험에 사용된 손 소 독제는 in vitro 시험에서 모두 5 log 이상의 세균 감소율 을 보인 반면, ex vivo와 in vivo에서는 훨씬 낮은 살균 활 성을 보였으며, 특히 알코올 함량이 낮은 손 소독제에서 는 1 log 미만의 살균 활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손 세정 제의 in vitro 시험 결과, 대장균에 대해서는 1 log 이하의 낮은 항균력을 보였으나, ex vivo 와 in vivo 시험 결과에 서는 이보다 높은 항균력을 유사하게 나타냈다. 본 연구 에서는 ex vivo 와 in vivo 시험 방법이 리브온과 워시오 프 타입 제품의 두가지 다른 항균 메커니즘을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된 ex vivo 시험은 빠르고 정확한 항균 평가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 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 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 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 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 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 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 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 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 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 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 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 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 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 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 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 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 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 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 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 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 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Spinach (Spinacia oleracea L.), a green leafy vegetable, is well known as a functional food due to its biological activities. Vascular calcification is associated with several disease conditions including atherosclerosis,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CKD), and is known to rai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there are no previous studies that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rmented spinach exract (FSE) against aortic and its underlying mechanism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action of possible mechanisms of FSE on inorganic phosphate (PI)-induced vascular calcification in ex vivo mouse aortic rings. PI increased vascular calcification through calcium deposition in ex vivo aortic rings. FSE inhibited calcium accumulation and osteogenic key marker,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protein expression in ex vivo aortic rings. And, FSE inhibited PI-induc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nd p38 phosphorylation in ex vivo aortic rings. These results show that FSE can prevent vascular calcification which may be a crucial wa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 association with vascular calcification.
Skin protects the body by mediating various immune responses against exogenous substances including bacteria, fungi, and viruses, in addition to its predominant role as a physical barrier. Despite the significant protection offered via various mechanisms, bacterial infection of the skin is one of the most common skin diseases in veterinary medicin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tructural and immunological changes in the skin during infections with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using skin explants from four healthy beagles. Skin structure was generally well preserved in uninfected controls, but defects in skin structure, including injury of keratinocytes and dermal–epidermal junctional disruption, were identified when skin explants were exposed to P. aeruginosa and S. pseudintermedius. On exposure to P. aeruginosa, marked linear cleft formation was noted along with acantholysis along the basal layer after 24 hours of culture. In addition to the defects in the skin structure,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AMPs cBD103 and S100A8 were decreased, which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ex vivo canine skin model is a research tool for investigating bacterial skin infections in dogs.
본 연구는 고삼 물추출물과 주 성분인 마트린의 유전 독성 유발능을 마우스 간세포 및 혈구세포에서 체내 단세포전기영동 시험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OECD TG 489 에서 정하고 있는 체내 알카리코멧 시험법(in vivo alkanine Comet assay)을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고삼 물추출물의 투여 용량은 한계 용량을 포함하도록 체중 대비 1,000와 2,000 mg/kg으로 하였다. 마트린의 세 투여용량은 50, 100, 200 mg/kg으로 정하였고, 최고 투여용량은 용량 설정시험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음성대조물질과 시험물질은 경구로 3회 투여하였고, 양성대조물질(ethyl methanesulfonate, EMS)은 2회 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3-4시간 내에 간 조직과 혈액을 채취하였고 단세포전기영동을 알카리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코멧 시험 결과, 고삼 물추출물과 마트 린에 의한 체중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간세포와 혈구세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유전자 손상을 유발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조건에서 고삼 물추출물과 마트린은 유전독성 유발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Melia azedarach is commonly used in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in Korea and China to treat a variety of diseases including diarrheal, diabetic, rheumatic, and hypertensive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tential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effects of Melia azedarach against a broad spectrum of viruses in in vitro cell culture model and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different influenza A subtypes in BALB/c mice model. An effective dose of pre-treatment, co-treatment, and post-treatment of Melia azedarach significantly reduced the replication of coxsackievirus, herpes simplex virus, influenza A virus, enterovirus, and bovine rhinovirus in both epithelial and macrophage cell lines. Melia azedarach treatment remarkably promoted the phosphorylation of the key molecules associated with the type-1 interferon and NF-κB signaling pathways. Furthermore, it induced the secretion of type-1 interfer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he subsequent stimulation of the antiviral state in both epithelial and macrophage cells. Interestingly, oral inoculation of an effective dose of herb extract significantly improved viral clearance in the lungs of BALB/c mice, thus exhibiting protection against several subtypes of influenza A virus. Together with our results indicate that an extracts of Melia azedarach and its components could exhibit a potential natural source of an antiviral drug candidate for a broad spectrum of viruses in animal and humans.
This study evaluated effects of the addition of garlic powder allicin (GPA) mixture on rumen fermentation with methane in Hanwoo steer. On in vitro trial,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used: control (without GPA) and treatment group (addition of 0.1% GPA mixed with the basal concentrate). Similar to in vitro trial,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used in vivo trial. Five Hanwoo steers (3 steers in one group and 2 in another group; average body weight = 500 ± 43 kg) were assigned by crossover design for 20 d consists of 15 d diet adaptation and 5 d data collection in each experimental period. Daily feed intake and enteric methane production were recorded by an automated head chamber system. The results of in vitro study showed that the GPA treatment group had higher acetic acid (24.30 vs 23.45 mmol/L) and butyric acid (16.55 vs 15.47 mmol/L) concentrations, but lower CH4 production (1.40 vs 2.71 mmol/ml) after 24 h of incub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otal gas, propionic aci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and acetic acid: propionic acid ratio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after 24 h incubation. In the in vivo experiment, rumen pH and VF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p>0.05), except acetic acid,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PA mixture group (60.97 vs 53.94 mM)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Furthermo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corded in CH4 production (g/d) and CH4 yield (g/kg DMI) between the two groups (p>0.05).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0.1% GPA mixture reduced CH4 proudcition on in vitro trial, but no effect on in vivo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