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ise is defined as ‘unwanted sound’ or ‘undesired sound’. Recently, the avia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through convergence with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UAM.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new aviation industry models will continue to be created in Korea.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ircraft noise will be raised as a new social problem. The characteristic of aircraft noise is that it has a wide transmission range. Therefore, the area affected by aircraft noise is extensive, and the damage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flight path and flight environment. Additionally, it tends to occur continuously in certain areas.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studies Study on nois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C172 aircraft at Muan Airport and Study on nois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R20, and investigated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iston engine trainer aircraft operated in Korea. We want to measure and analyze noise.
이 연구는 <사자춤 소년>을 통해 중국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 특성과 동시대성 을 고찰했다. 이를 통해 문화적 전통과 현대의 결합으로 형성된 중국 애니메이션의 특성을 밝혔다. 분석방법은 트랜스아이덴티티를 활용했다. 이후 동시대성을 시사하는 중국 애국주의와 청년들의 특징을 제시했다. 분석결과, <사자춤 소년>은 동시대 부 유하는 중국 청년들의 ‘자기’ 중심적 정체성 횡단의 스토리텔링적 특성이 있었다. 또 한 사자춤은 현대 중국의 놀이문화이자, 청년 억압을 해소의 동시대 문화 공감대임 을 밝혔다.
본고는 표준 중국어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绕口令’ 자료를 활용하여 제3성과 제 2성에 중점을 둔 성조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직접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수업 설계 방 안을 제시하였고, 3장에서는 수업의 구체적인 운영 및 결과,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마지막 4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였다.
본고는 17권의 한·중 현대소설 텍스트의 차등 비교문에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정도부사 표현에 있어서의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인지 언어학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원형이론에서 Langacker의 연결망 모형을 바탕으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도부사의 의미 연결망 모형 그리고 수평 차원에서의 원형이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차등 비교문 안의 한국어 정도부사 사용에는 정도상의 표현 되는 크기에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부사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차등 비교문 안의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을 살펴보면서 정도부사 간의 양(量)의 격차 즉, 거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거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비문이 되어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뿐 아니라 두 대상 간의 비교 정도치를 극대화 하거나 반대로 극소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이 차등 비교문 안에서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선 반드시 양(量)의 격차를 고려해야 하며, 그중 본고의 연구를 통해 ‘중량(中量) 부사’ > ‘소량(小量) 부사’ 그리고 양(量)의 격차가 ‘0’ 일 때의 동일 선상에서 연이은 정도부사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에드워드 사이드는 예이츠를 아일랜드에서의 제국적 지배의 몰락에 즈음하여 탈식민화의 작가로 보는데, 예이츠는 애국심과 민족주의로 아일랜드의 유산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비슷한 탈식민적 접근을 하는 케냐의 작가 응과에와 도잉고는 식민이전의 현실에서 후기식민기에서 현대성으로의 전환에 대한 글을 쓰는 작가이다. 본 논문은 그들의 극작품화에 나타난 탈식민화 시학을 점검한다. 예이츠의 극『캐스린 니 홀리한』(1902년) 은 아일랜드 정신의 민족화와 탈식민화에 직접 반응하는 아일랜드의 농민의 억압된 상황을 묘사한다. 『정신의 탈식민화 하기』(1986년)와 다른 긱큐유언어로 된 극에서, 도잉고는 문화적 제국주의가 어떻게 아프리카와 범아프리카에서 심리적 정복의 일환으로서 식민주의를 활용하는 지 검토한다. 극을 저항의 장소로 개념화하여, 그는 식민이전의 케냐의 극의 근원과 토착적 빈 공간을 파괴하는 영국의 극적 제국을 대비한다. 두 작가는 정치를 극화하고 영제국주의에 대한 극을 정치화하여 자신들의 유산과 언어를 되살린다. 두 작사는 청중의 정신에게 귀한 유산을 강조하면서도 극공연에서 토착어를 조명하려 한다.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Cultural content is needed to study Vietnamese language? Do Vietnamese language learners feel the need for classes using cultural content? Do Vietnamese teachers use cultural contents in class?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Vietnamese students in Chungna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interviewed teachers and analyzed the case example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of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in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is a requirement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ed a case study on 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r Vietnamese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 model of teaching Vietnamese language utilizing cultural contents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more diverse academic analysis. Its effectiveness should also be investigated in depth. We will propose this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本稿는 子平命理學을 창시한 徐子平의 3개 原典을 중심으로 子平命理學의 原形을 天人關係의 관점에서 미시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北宋初徐子平 은 『玉照神應眞經』 註釋과 『珞琭子三命消息賦』의 과도적 단계를 거쳐 『明通 賦』에서 子平命理學을 창시했다. 徐子平의 첫 번째 저술로 추정되는 『玉照神 應眞經』 註釋을 天人관계로 보면 日干뿐만 아니라 출생한 연도를 기준으로 年干, 年柱의 納音五行, 年支를 命의 主體로 삼고, 하늘의 영역에 해당하는 胎月을 여전히 활용했으며, 세 가지 運중 두 가지가 태어날 때 주어지는 運이고, 命과 運의 관계에서 命을 중시한다는 원칙이 제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하 늘 중심, 집단 중심의 知命體系라고 할 수 있다. 다만 日干을 命의 主體로 삼기도 했다는 점에서 고법명리학에 비해서는 집단보다는 개인, 하늘보다는 인간 중심으로 다소 이동했다고 볼 수 있다. 徐子平의 두 번째 저술로 추정되는 『珞琭子三命消息賦註』를 天人관계로 보면 인간의 영역에 해당하는 출생일을 기준으로 命의 主體로 삼고 四柱에서 하늘의 영역에 해당하는 胎月을 제외했으며, 運의 종류에서 인간 중심의 運에 해당하는 月運과 日運을 추가시켰고,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命을 바꿀 수 있다고 본다는 점에서 집단보다는 개인, 하늘보다는 인간 중심의 知命體系라고 할 수 있다. 다만 運의 종류에 小 運이 여전히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하늘 중심의 시각이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徐子平의 세 번째 저술로 추정되는 『明通賦』를 天人관계로 보면 日干을 단일주체로 삼고 運의 종류에서 小運이 제외된다는 점에서 집단 보다는 개인, 하늘보다는 인간 중심의 知命體系로 볼 수 있다.
徐子平의 命理思想은 後漢왕충의 自然命定論에 기초하여 공자와 맹자의 天命論, 순자의 天命制御論, 묵가의 節儉思想, 『周易』의 福善禍淫과 동중서의 天人感應論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평가된다. 따라서 徐子平의 運命論은 고정불변한 運命決定論이라기 보다는 인간의 후천적인 의지와 노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運命可能論이라고 할 수 있다. 子平命理學이 부정적인 일반 인식을 극복하고 4차 산업혁명시기에서 새롭게 사회·문화적 가치를 인정 받기 위해서는 子平命理學의 창시자인 徐子平의 運命可能論에 기반하여 먼저 學問化를 진전시키고 사람들의 노력과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명리상담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본 글은 춘추시대 역사서인 춘추의 철학적⋅역사학적⋅책력학적 분 석을 진행한 춘추왕력① (2017), ② (2017), ③ (2017) 선행연구들에 대한 후속 논의이다. 동짓달부터 3개월 동안을 春으로 명명한 춘추왕 력에서의 계절 개념을 실증해 보기 위해, 당시의 절후를 확인할 수 있는 증 의례와 상 의례, 그리고 우 의례 기사들을 고찰해 보았다. 烝 의례는 이상저온 현상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기후의 온난함을 기원하고자 한 의 례로서, 그리고 嘗 의례는 음식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로서 이행된 것임 이 확인되었다. 한편, 전국시대 이후의 기록들에서 증이나 상 의례는 각 각 겨울제사와 가을제사와 같은 사시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춘추 경 문에서는 그것들의 이행시기가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단비에 대한 간절한 기원으로서 이행된 雩 의례 기사들은 대부분 한여름이 포함된 ‘秋’ 계절에 집중되어 있다. 문자적인 논증으로서, 갑골문과 금문 등의 고체를 통해 그것들의 초기 형태 및 본원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春’자는 이른바 ‘하나의 양이 막 생 겨나는’[一陽始生] 동지 절후를 묘사한 것이다. ‘夏’자는 춘분 이후 완연 한 봄에 벌어지는 원시적인 전통 축제에서 이성을 유혹하는 춤을 추기 위 해 차려입은 현란한 의복과 거대한 가면에서 유래된 글자이다. ‘秋’에는 벼 수확에 영향을 미치는 여름 곤충이 묘사되어 있으며, ‘冬’의 경우는 1 년의 사계절을 끝마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최근에 이루어진 주대(周代)의 종묘(宗廟) 연구에서의 핵심 논의는 다음과 같다. 적어도 주나라 때에는, 현재 일반적으로 정의된 ‘종묘는 왕실 사당이다.’ 라는 개념이 형성되기 이전이었으며, 당시 그것은 통치자의 거소 기능을 하던 곳이었다. 따라서 『논어』와 같은 선진시대(先秦時代)에 성서(成書)된 고전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종묘가 언급되는 부분에서는 기존의 제사와 관련된 일방적인 해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역설(力說)하였다.
주대의 묘(廟)는 천자(天子)로부터 사(士) 계층까지, 통치자와 상·하급 관료 누구나 지닐 수 있었던, 정전과 편전 내지 사랑채 등의 기능을 하던 건축물이 었다. 당시 예(禮) 의식의 주체에서 배제된 서인(庶人) 이하의 계층에서는 고비용이 드는 묘를 굳이 소유할 필요가 없었다. 한편, 선진시대의 사 계층은 자신들의 묘에 ‘종(宗)’자를 부가하여 종묘라고 칭할 수 없었다. 그것은 작위와 영토를 상속받은 자의 묘일 경우에만 종묘라고 칭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여기서의 ‘종’이란, 봉지와 신분의 시작을 열었던 ‘조(祖)’의 상대어로서, 종은 바로 그 조의 대대손손 사자(嗣子)나 사손(嗣孫)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사대부 가문의 사당으로 인식되어 온 ‘가묘(家廟)’는, 실상 당대(唐 代) 이후의 기록들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것은 주나라 때의 가(家)라고 하는 영지 내에 있는 ‘대부(大夫)의 묘(廟)’의 의미로 쓰인 것은 물론 아니다.
주대의 묘와 종묘 안에는 주요 건축물인 당(堂)이 있다. 고대(高臺)의 건축물이라는 유사한 형태의 전(殿)과 당은, 그 주인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 왔지만, 전국시대 말 이전까지는 전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아울러 당시에는 천자 제후 대부 등 각각의 신분에 따른 건물명을 따로 구분 하여 쓰지 않았다.
The Infrared Camera onboard the AKARI satellite carried out spectroscopic observations with a grism mode named NG, whose wavelength coverage was 2.5{5.0 m. We reinvestigate the current ux calibration for the NG grism mode, with which calculated ux density implausibly decreases at 4.9 m especially for red objects due to the second-order light contamination. We perform a new spectral response calibration using blue and red standard objects simultaneously. New response curves which contain both the rst- and second-order light are able to separate each contribution consistently and useful for studies of red objects such as CO ro-vibrational absorption in active galactic nuclei.
These seven chapters of Chu slips─‘Chéng wáng wéi chéng pú zhī xíng(A、B versions)’、‘Líng wáng suí shēn’、‘Chén gōng zhì bīng’、‘jǔ zhì wàng tiān xià (5 sections and chapters)’、‘bāng rén bú chèng’、‘shǐ zhòu wèn yú fū zǐ’、‘bǔ shū’─from the “Shanghai Museum Collection IX” were edited by Professor Ma, Chen-Yan. One of these chapters ‘Chéngōngzhìbīng (Chen gong zhibing)’ is a talking between King Chu and Duke Chen (Chéngōng), especially discussed a topic of battle array in military affairs.
This study discuss four language-units: “shēnluán 罙”、“shībùjué 帀 (師)不”、“bùzhīqí qǐ zúlíngxíng 不智亓啓行”、“yǒu suǒ wèi è 又 (有)所胃(謂)綌” which were discussed frequently in the academic community, Currently. I have generalized most of these view points and try to annotate these language units with ancient Chinese character structure、 phonology、word formation、grammer and semantics. I hope that could really make an appropriately exegesis.
본 논문은 중국 북송시대 화가이자 화론가인 곽희(郭熙, 1020?~1100?)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 나타난 회화이론을 그의 대표작인 <조춘도(早春圖)>에 어떠한 방식으로 실천하였 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곽희는『임천고치』에서 송대까지 내려온 모든 산수화론과 기 법을 정리하여 산수화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중국 산수화의 역 사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다. 또한『임천고 치』는「산수훈(山水訓)」·「화의(畵意)」·「화결(畵訣)」·「화격 습유(畵格拾遺)」·「화제(畵題)」·「화기(畵記)」의 6편으로 나 누어 경영위치(經營位置)와 필묵(筆墨)의 용법기교(用法技巧) 등 산수화의 실제적 기법 뿐 만 아니라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표 현하는 산수 의경(意境)의 창조, 산수를 그릴 때 작가의 정신과 태도, 산수화의 가치와 의의까지 설명하여 높은 미학적 가치를 가진다. 또한 곽희의 이른 봄 산 계곡에 새벽안개 낀 경치를 담담하게 표현한 <조춘도>는 이상적인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현실화하고 산수의 이상경을 효과적으로 창출함으로써 자신의 예술사상을 충실하게 구현해낸 작품이다. <조춘도>는 산수의 구성요소와 각각의 소재들이 주객관계를 이루면서 유기적으로 능숙하게 다 루어져 이른 봄의 생동감과 산수 의경을 환상적으로 창조함으 로써 사의성(寫意性)을 실천한 좋은 예를 보여준다. 또한 산수 자연에 대한 원(遠)의 자각으로 생성된 삼원(三遠)의 이론을 전 개하여, 요산요수(樂山樂水)에 대한 욕구충족을 하고자 하는 사 람들에게 실제 산수에 방불한 이상적인 아름다운 경치를 보여 주어 감상자로 하여금 정신적 추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 이상적 (理想的) 산수화를 창조하기 위한 기본적 요건이 무엇인지를 설명해 주고 있다. 산수자연에 대한 원(遠)의 자각으로 생성된 삼원(三遠)의 이론을 전개하여 아름다운 산수와 그 속에 동화된 인간의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이상적인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현 실화하고 아울러 산수의 이상경을 효과적으로 창출하여 그의 예 술사상을 충실하게 작품으로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임천고치』에서 밝히고 있는 대상의 표현에 있어 필묵 (筆墨)의 운용이 충실히 실천되어 사실성(寫實性)을 수준 높게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Xǔ Shèn’s 許慎 contribution to the analysis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terminology he uses in his Shuōwén jiězì 說文解字 (100 AD). In this paper I shall focus on the term shěng 省.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problem of shěng 省 in Shuōwén usually tried to reveal the mistakes either made by Xǔ Shèn or added later to the tex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graphs in traditional liùshū approach, paleography, as well as phonological reconstructions. i Most of these authors may be right in their critical investigation of shěng 省, there are indeed many mistakes in Xǔ Shèn’s graphic analysis, but none of them considered the problem as a whole or tried to understand what was the real reason for Xǔ Shèn to use this term. Shěng 省is a rather complex term with different significations, such as ommission, abbreviation, fusion, etc. I shall first clarify the meanings and uses of shěng in Shuōwén, before trying to understand why Xǔ Shèn needed this special term. We will see that despite many mistaken graphic analysis, already described by Chēn Shìhuī 陳世輝 (1979), Qiú Xīguī 裘錫圭 (1988), and others, shěng 省was an important tool for Xǔ Shèn’s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Chinese writing system that also shows his deep knowledge of the evolution of the script.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남 천안, 경북 영주, 전북 김제에서 여름 사료작물인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파종하여국내 육성품종인 광평옥과 도입품종간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연구결과 도입품종 사일리지용 옥수수 중에서 Cap444NG 품종이 녹색도가 우수하고 생초수량이 61,111 kg/ha이고 건물수량이 20,635kg/ha로 최고의 수량을 보였다. 또한 사료가치에 있어서도 조단백질 함량이 7.9%로 양호한생육특성을 보였다.
I found evidence that Kim Y ˘ong (金泳, 1749-1817) is the author of the Korean Poch' ˘on'ga with New Charts published in 1792 by the Astronomical Bureau of the Chos ˘on dynasty. I reconstructed a history of Kim Y ˘ong from various literature remained in other persons' anthologies and governmental records. My findings on the author and publication year can help to solve the problem on the origin of star charts in the Poch' ˘on'ga with New Charts. I also considered the changes of Chinese Bu-Tian-Ge and their star charts after Chongzhenglishu (崇禎曆書). I found that the new charts in the book of Huantiantushuo published by Li Mingche (李明徹, 1751-1832) in 1819 are approximately the same to those in the Poch' ˘on'ga with New Charts by Kim Y ˘ong in 1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