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근래에 건강 기능성효과가 널리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종실용 들깨의 기계화재배를 촉진하기 위하여 수확 때 종자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고 수량성을 높일 수 있는 최적 파종시기를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파종후 개화기까지 생육일수는 짧아져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14일, 26일 및 31~32일 짧아졌으며, 또한 경장과 경태는 짧아지거나 가늘어졌으며 마디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유효분지수는 6월 15일 파종대비 6월 30일, 7월 15일 및 8월 1일 파종에서 각각 82%, 61% 및 56%로 7월 15일 파종부터 급격히 낮아져 수량성 확보에 불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최저화방군의 높이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짧아지는데, 소담의 7월 15일과 8월 1일 점파구의 경우 15 cm 이하로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기와 수량성 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총수량은 6월 15일, 6월 30일 및 7월 15일 파종에서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종실탈립률의 경우 7월 15일, 8월 1일 (30.3%) > 6월 15일(15.3%) > 6월 30일(13.5%) 파종의 순이었는데, 탈립된 종실을 제외한 순수량은 6월 30일 6월 15일 >7월 15일 >8월 1일 파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품종 및 파종방법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4.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유율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대체로 증가하여 8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 함유율의 경우 소담은 6월 15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들샘은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리놀렌산의 함량율은 8월 1일 파종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5. 위의 결과, 종실용 들깨의 예취기를 이용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시기는 6월 30일 경으로 이때 파종하면 수확때 종실탈립에 의한 손실률은 최소화하면서 수량증대에 유리하여 기계수확에 가장 적합한 파종시기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and wheat for the making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substitute for formula feed.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 of barley and wheat decreased with a late harvest, and barley progressed faster than wheat. The plant height was similar with harvesting time, and the number of spikes decreased with prolonged period after heading. The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of barley harvested at 35 and 40 days after head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30 days after heading and wheat was significantly higher at 40 and 45 days than at 35 day after heading(P<0.05). Crude protein content of barley and wheat were increased with later harvesting time, and crude fiber,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slightly decreased,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DF and ADF content of barley decreased with later harvesting time, and those showed similar level in wheat. TDN content of barely was sligh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wheat. Comparing the effects of fermentation on feed value of chopped whole crop silage, the approximate compositions were slightly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ermentations resulted in increasing the pH value of barley silage with late harvesting time, but decreasing the lactic acid content(p<0.05). A pH value of wheat silage showed similar level in different harvest time, and lact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Conside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ermentation, barley and wheat can be used for making chopped silage of whole crop silage when they were harvested at 35 days and 40~45 days after heading, respectively.
        4,000원
        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레몬과즙의 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많은 수확시기 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수관내부 및 외부에 착과된 과실에 대해 시기별 헤스페리딘 함량을 착색시기 및 과중과 연관시켜 평가했다. 그 함량은 과실생장에 따라 달랐으며 수관내부 및 외부에 있어 착색이 막 시작되는 개화 후 162일과 176일째에 가장 많았다. 그리고 수관외부가 내부보다 많았다. 이상의 결과는 레몬과실의 헤스페리딘 함량이 가장 많은 적정 수확 시기는 착색이 막 시작이 되고 과실의 생장이 멈추기 직전이라는 것을 나타냈다.
        4,000원
        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얼룩찰1호의 재식밀도별 이삭 특성은 4,700주/10a의 재식밀도에서 이삭길이와 개당이삭중이 양호하였으며 착립장률, 10a당 상품이삭수와 이삭중이 높아 수량성과 상품화율이 높았다. 2. 흑진주찰은 4,700주/10a의 재식밀도에서 이삭길이, 착립장률이 양호하였고, 가장 높은 상품지수를 나타내었다. 3. 얼룩찰1호는 출사 후 26일에 이삭특성과 상품형질이 좋게 나타났으며 식미검정에서도 외관, 질감, 맛 등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4. 흑진주찰은 수확시기에 따라 이삭특성과 상품성이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식미검정에서 출사 후 23일에 수확한 옥수수에서 맛과 질감이 우수하였고, 외관과 색에 대한 선호도는 출사 후 27일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출사후 27일에 수확한 옥수수가 가장 높았다.
        4,000원
        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aliva miltiorrhiza is a perennial medicinal crop of Lamiaceae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functionalities such as improvement of cardiovascular function and antihypertensive. However, domestic cultivation technique in Korea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Seed production system is required to increase propagation efficiency and to establish breeding basis for stable production.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date of the S. miltiorrhiza. Methods and Results : S. miltiorrhiza was seeded in April of 2017 and 2018. The seeds were harvested at 5-day intervals based on the flowering period of 2018. Number of peduncles, flowers, and seeds were investigated at each period. And germination rate was also investigated. The optimum seed harvest time was estimated by relationship between the seed production and days after flowering period (DAF) or cumulative temperature. The flowering rate and amount of seed of 2-years plant was higher than 1-year plant. As DAF increased, number of flowers, fertility rate, and the amount of seeds increased. At 20 DAF, 1-year, and 2-years plant respectively produced 2.2 g and 25.2 g of seed. Seed production (SP) and DAF or accumulated temperature (AT) had a quadratic relation, SP (g) = -0.1052DAF2 + 3.7396DAF - 12.347 (R2 = 0.828) and SP (g) = -0.0002AC2 + 0.1727AC - 9.146 (R2 = 0.853). The maximum amount of seed was estimated to be 20.9 g at 17.8 DAF or 21.3 g at 353℃.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increased until 20 DAF with 62.0%. The amount of seed and germination rate were decreased at 25 DAF. Conclusion : The seeds of S. miltiorrhiza can be produced the highest amount with high viability on the 18th day after flowering period in 2-years after planting.
        8.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를 결정하고자 개화 후 25일부터 5일 간격으로 40일까지 수확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확 시기별 자운영 종자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개화 후 35일이 가장 많았다. 2. 자운영 종자활력은 개화 후 35일 이후 수확한 것이 90%이상 높았으며 포장에서 자운영 지속재배를 위한 적정환원 시기는 개화 후 35일 이후였다. 3. 자운영 수확 후 발아율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늦게 수확한 것이 발아율이 높았다. 4. 발아율은 10~40 일 침종에서 증가하였으며, 40일 이상 침종시 발아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경실율도 개화 후 수학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자운영 종자 수확을 위한 적정 수확시기는 개화 후 35일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9.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duction of sweet (su) and super sweet corns (sh2) has been economically feasible in Korea in recent years. Major factors limiting super sweet corn production are low germination and low seedling vigor. Since seed quality is closely related to seed maturity,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was studied and the quality of seeds with varying maturities was investigated in 2001 and 2002 cropping seasons. The parents of the sweet corn seeds were Hybrid Early Sunglow and 'Golden Cross Bantam 70' and those of super sweet corn were Xtrasweet 82 and 'For­tune'. Seeds were harvested at 21, 28, 35, 42, 49, and 56 days after silking (DAS). As the seeds developed, seed weight of sweet corn increased and the seed moisture content decreased faster than that of super sweet corn. Germination rates of sweet corn seeds harvested 21 and 28 DAS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s in the cold soil 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eeds harvested after 42 DAS in both years. Although the germination rates of super sweet corn seeds with varying maturities showed similar patterns as sweet corn seeds at 25~circC , the emergence rate of super sweet corn seeds in cold soil test continuously increased with seed maturity. This suggests that seed quality of super sweet corn should be tested in a cold soil test to estimate field emergence. As the seeds develope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from the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decreased up to 42 or 49 DAS. The α-amylase activities of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increased with seed maturity from 21 to 35 or 49 DAS depending on genotype and year.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sweet corn was 42 DAS and 49 DAS for super sweet corn considering emergence rate and plumule dry weight in the cold soil test, leakage of sugars and electrolytes from the seeds, and α-amylase activity.
        10.
        198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ing time in winter rape (Brassica napus L.) by investigating the percent oil, 1, 000 seed weight, seed yield, dehiscent pod ratio and oil yield at 46, 50, 54, 58, 62, 66 and 70 days after flowering. Variation of all characters with days after flowering could be explained significantly by second degree polynomial equations. Percent oil and 1, 000 seed weight increased until 62 days after flowering and thereafter these traits decreased, while seed yield increased to 58 days after flowering and thereafter this trait decreased. This controversy was due to the drastic increase in dehiscent pods beyond 58 days after flowering which brought loss in seed yie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timum harvesting time is 58 days after flowering and it should not be later than 60 days after flow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