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1.
        2024.05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을 통해 재창작 된 현대팝송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 보고, 이를 통해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이 대중음악에 기여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창작 및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원작 뮤지컬의 개요 및 넘버 분석을 통해 원곡의 분위기와 쓰임새를 파악한 후, 가사 변형 양상을 통해 샘플링 곡의 메시지를 분석하고, 전체적인 음악 구성의 비교와 편곡 부분을 대조하여 살펴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곡의 샘플링 양상을 분석한 결과,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샘플링은 다섯 가지 유형의 효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친숙한 멜로디의 사용으로 대중들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다. 둘째, 뮤지컬 곡이 가진 서사적 특성을 통해 주제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자유로운 가사 변형으로 원곡과 다른 메시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넷째, 편곡이나 새로운 가창방식을 통해 새로운 곡으로 재창조하여 신선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다. 다섯째, 앞서 나열한 네 가지의 효과를 이용하여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사용이 전 세계 다양한 청자들의 뮤지컬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고, 두 장르간의 융합이 양측의 인지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 후, 본 연구가 앞으로의 대중음악 재창작에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국내 음악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5,500원
        2.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experiences and word-of-mouth (WOM) intentions in luxury brand pop-up stores, including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setups. Grounded in experience economy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elements based on the types of pop-up stor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experience, pop-up store image, and WOM intentions for each typ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visitors to luxury brand pop-up stores between January and July 2023 and analyzed using Smart PLS 4.0. The findings reveal several key insights. First, standalone pop-up stores offer educational and escapist experiences, while pop-ups within department stores have a single identified factor of consumer experience. Second, regardless of the store type, luxury pop-up store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pop-up image perceptions. Third, luxury pop-up store image drives WOM intentions for both standalone and department store pop-ups. Notably, the unique image significantly impacts solely department store pop-ups and does not influence standalone pop-ups. Moreover, image perceptions in both pop-up store types do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WOM intentions. Finally, WOM intentions for pop-up stores significantly influence WOM intentions for bran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s in luxury pop-up stores, providing practical insights for stakeholders in the luxury brand industry to enhance pop-up store image perceptions and WOM intentions.
        6,600원
        3.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K-POP 가사의 인도네시아어 팬번역 실태와 품질을 분석 하였다. K-POP 아이돌 그룹인 방탄소년단의 노래 가사가 팬들을 통해 인도네시 아어로 어떻게 번역이 되고 있는지 그 번역물의 품질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 다.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팬번역물의 품질이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전문 번역과는 차별화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팬번역의 번역 품질이 높지 않은 요인으로 팬들이 팬번역에 대해 요구하는 수준이 높지 않다는 것과 일반적인 번역물과는 생산 및 소비되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꼽 을 수 있다. 세 번째로는 팬번역의 완성도를 높이고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5,800원
        4.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eongbok. (2023). “Analysis of Netizens' Attitudes Toward the Language of K-pop Lyrics: Focusing on B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31(4), 235-277. This study analyzes the language of K-pop lyrics and netizens’ attitudes toward i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pop lyrics and the Korean language. The number of K-pop songs written in English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English in the lyrics is high as well. There has also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ongs having only English lyrics. In addition, there are many songs whose lyrics have been changed to Japanese to promote them in Japan. Some netizen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foreign language lyrics and stated that they were aware that K-pop was expanding overseas and catering to fans worldwide; therefore, the use of foreign language lyrics was understandable. Furthermore, they stated that such lyrics were good because they provided a different feeling. However, negative attitudes were stronger because many felt that the lyrics of K-pop songs that used large amounts of English were not easily comprehensible, blurred the identity of K-pop, and lowered the quality of the songs. The researchers believe that having Korean lyrics is the minimum requirement for K-pop, and when K-pop maintains its identity and receives love worldwide, the Korean and Hangul that support it will also receive global attention.
        9,500원
        5.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K-POP 팬덤 활동에서 배움여가로서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K-POP이 전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K-POP 팬덤 활동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K-POP 팬덤은 일상 속에서 자발적으로 문화를 소비하는 동시에 생산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은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K-POP 팬 덤 활동은 이미 긍정적인 삶의 과정으로 기능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서 팬 덤 활동이 일상 속에서 삶의 의미와 쓰임새를 새롭게 할 수 있는 배움여가라는 사회적 인식의 전환 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K-POP 팬덤 활동 과정에서 지식/정보 습득, 의식소통, 성찰과 개조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살피기 위해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팬덤 활동은 지식습득·창작활동, 의식소통, 성찰, 개조 등 배움이 가능한 여가 활동이 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팬덤 활동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덕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수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팬덤 활동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고민하는 것이 미래교육 차원에서 배움여 가로서의 팬덤 활동의 긍정적 역할에 도움이 되는 것을 기대한다.
        7,700원
        7.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importance of online virtual spaces increases due to COVID-19, interest in online virtual spaces using 4th industrial technology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 metaverse that combines virtual and real is becoming an issue. In the fashion industry, marketing using online is gradually increasing, and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by converging with the metaverse to provide new and enjoyable experiences to customers. This study looked at the impact of customer experience of a luxury fashion brand pop-up store on customer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in a metaverse environment where utilization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sers who experienced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s ' BVLGARI Worl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ustomer experience of a luxury fashion brand pop-up store on customer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in a metaverse environment, some of the customer experience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proposed hypothesis was partially accep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affective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and affective commitment affects brand loyalty.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the customer experience of a luxury fashion brand pop-up store on customer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and identify what is needed for more active convergence and activation of the metaverse and fashion brands. Also, w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people who involved in the metaverse and the fashion industry.
        4,000원
        9.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케이팝(K-Pop) 현황 분석과 성찰을 통해 지속가능 한 케이팝 발전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1990년대 말 일본에서 드라마의 인기로 시작된 한류는 케이팝의 인기가 확산되면서 전 세계에서 수용하 고 있고 콘텐츠도 다양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를 주도하는 것은 케이팝이며, 유튜브 등을 통해 무료로 케이팝을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케 이팝 콘텐츠에 대한 소비는 적지만, 케이팝을 통해 가수들의 패션, 뷰티, 한국어, 음식, 한국 유학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었 다. 특히 BTS의 유엔 연설이나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의미있는 메시 지 전달은 우리의 국격을 한층 높이는 역할을 하며 소프트파워로써 그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한류의 지속적 확산과 공고화를 위해서는 한류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유럽 지역 및 한류 비호감 요인 등에 대 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6,300원
        11.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21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전세계에서 동시 공개되었던 <오징어 게임>은 2021년에 전세계적으 로 가장 유명한 영상콘텐츠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 작품의 성공이 흥미로운 점은 단순히 일회성이라고 하기엔 지금까지의 한국 대중문화의 역량이 폭발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작품분석 및 흥행과 파급력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다. 특히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통해 노동환경, 탈북자, 이주노동자, 빈곤 등의 사회 문제를 보여주면서 한국의 양극화된 사회 현실을 스토리텔링에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서구권에서 자본이 많이 투입된 영상콘텐츠에서 흔히 보이는 천편일률적인 해피엔딩이나 현실과 유리된 영웅 서사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제작되 고 있는 영상콘텐츠들의 사례를 통해 한국 대중문화의 위상과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4,900원
        12.
        2022.0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B igH it와 BTS 그리고 팬덤을 중심으로 K-pop의 미국 진출 전략과 빌보드 점령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K-pop의 미국 진출 전략과 빌보드 점령 과정은 선행 연구가 거의 없으며, 대략적으로 BTS가 빌보 드 차트에서 1, 2위에 오르는 것에 관한 언급뿐이었다. 더욱이 BigH it 나 BTS가 미국 진출과 빌보드 차트 점령과의 상관관계를 언급해 오지 도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B igH it와 BTS의 미국 진출 전략과 빌보드 점령 과정 연구는 시의적으로 적절하다고 본다. 이 글의 범위는 BTS가 첫 싱글 앨범을 내고 2013년 6월 국내 가요계에 정식 데뷔한 시점부터 최근 2021년 12월까지로 하며, 연구 방법으로는 BigH it와 BTS와 팬덤 간 3자 협력 관계에 두고자 한다. 특히 전지구적으로 형성된 팬덤 ARMY의 경우 BTS의 빌보드 점령과정의 일등공신이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이들 3자 협력이 있었기 때문에 BTS가 한국의 뮤지션으로서 미국 빌보드 상위권에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궁극적으로는 빌보드를 통해 한국 음악이 미국을 침공한 ‘Korean Invasion’ 명성에 걸맞은 성 과라 할 수 있다.
        8,400원
        13.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K-Pop 아이돌 음악의 저항의식 분석을 통하여 단순히 소비되어지는 상품이 아닌 사회적인 메시지를 지닌 하나의 대중문화예술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먼저 주요 아이돌 가수 48팀의 모든 곡들 가운데 저항의 식이 나타난 125곡을 선정하여 소재와 정서 표현의 변화를 과거 90년대와 현재를 2010년대로 구분한 뒤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90년대에는 주로 국가적인 범주의 저항의식을 소재로 사 용하였으나 2010년대에는 대부분 개인적인 범주 내의 소재로 변화된 것이 특징이었다. 또한 90년대에는 부정적인 성향의 정서 표현이 주로 사용된 반면 2010년대에는 긍정적인 형태로 변 화한 것으로 나타나 90년대와 명확한 대비를 이루었다. 한편 과거에나 현재에도 공통된 주요 저항의 대상은 기성세대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이돌 가수들이 자신의 음악에 대한 영향력을 인지하고 꾸준히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올바른 사회 적 의식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등교육에서 학생들의 정서를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가치 있게 활용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학술적 인 연구가 더욱 다양해지고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5,200원
        14.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1년 3월 개최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 자를 중심으로 공연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해 다루어졌다. 이를 통해 그간 선행되지 않았던 온라 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대해 사회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향후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로 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침체되어 있던 국내 인디 라이브 공연장을 활성화시키고자 국내 에서 최초로 개최된 유료 캠페인형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이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자 5명을 선정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로 도출된 결론은 첫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지속 가능성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향후 공연 문화가 온-오프라인 동반 개최로 바뀔 것으로 예상해 다양한 관점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문제점으로 예산의 부족, 기술적 문제가 존재했으나 페스티벌의 질을 높인 후 티켓 가격을 상승시켜 예산을 확보하며 온라인 공연 플랫폼 강화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관련 업계 관계자와 정부 부처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장르 간 차별 없는 규제와 실질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단일 사례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 티벌의 개선방안 및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향후 대중음악계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5,100원
        15.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allyu (Korean Wave) boom that started with TV dramas in the 2000s expanded to various cultural areas, including food and music. As Korean culture gained popularity, Hallyu fans in Japan began to adopt Korean vocabulary like loan words. To study this phenomenon, the author collected vocabulary used by K-pop fan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classified them by type.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se words were currently being borrowed and used in their original Korean form; however, there were also words created by combining Korean words with Japanese words or newly coined by combining Korean words. Once Korean K-pop vocabulary becomes more established in Japan, it is expected that more words will emerge that originate from Korean but are independently created and used exclusively by Japanese speakers.
        7,700원
        1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에 관한 인식과 선 호도 현황을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 남녀 431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에 대하여 대부분 (74%)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웨딩에서의 화훼장식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응답자들 은 팝업 스타일 웨딩의 장점으로 하객과의 소통이 자유롭고 공간과 인원에 따라 맞춤 웨딩이 가능하며 예비부부가 주도하 는 개성 있는 웨딩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날씨에 따 른 변수(악천후, 땡볕, 습도 등)라고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공간으로는 실내공간보다 실외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외 공간에서 모두 현대적 스타일 건 물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 훼장식에 대하여 응답자들은 기존 웨딩의 화훼장식보다 공간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예비부부가 선호하는 화훼장식의 선 택이 가능하며, 화훼장식과 어우러지는 다양한 오브제(장식 품) 선택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팝업 스타일 웨딩의 화훼장식 요소로는 웨딩카를 제외한 모든 화훼장식 요소를 중 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특히 웨딩 꽃길, 신부 부케, 웨딩 꽃길 입구장식이 가장 돋보여야 할 부분이라고 인식하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화훼장식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를 통해,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에게 폭넓은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디자인을 제 공하는 팝업 스타일 웨딩 화훼장식으로 소비자들의 웨딩 화훼 장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K-POP의 주요 성공 요인을 K-POP 아이돌의 총괄적 배경과 특징을 통해 도출하고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코로나19 시대에 비추어 제언하였다. 아이돌 중심의 K-POP은 한류 문화의 글로벌 확산에 기여한 대표적인 문화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K-POP의 문화적 지형은 과거 할리우드의 스타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립되었으며, 다양하고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발전해 왔다. 이에 선행연구를 통해 K-POP의 정의에 대한 전반적인 주장들을 취합하여 정리했으며, K-POP 아이돌의 기본적인 배경을 정리하고 K-POP의 성공 요인으로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을 예로 들었다. 하지만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을 K-POP의 단일적 성공 요인으로 볼 수는 없으며,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의 시대적 변화, 실물음반의 역할변화 그리고 글로벌화와 더불어 신장된 소비자 즉, 팬덤의 역할변화 등의 영향이 있었다. 반면, K-POP 의 성공은 사행성, 스타시스템의 비인간적 상품화 등으로 인해 몇 가지 부작용을 불러왔고 사회문제로 대두되기까지 했다. 이에 K-POP의 성공 뒤에 가려진 문제점들을 정립하고 해결방안 을 모색하였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19의 창궐과 함께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는 대중음악계에 큰 변화를 야기했고, 이는 K-POP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K-POP 시장의 양상은 세계 대중음악 시장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언택트 문화와 더불어 비대면 방식의 삶이 정착되는 와중,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K-POP의 특수성이 있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착안해 K-POP 시장의 현 양상을 분석하여 발전 방안을 모색 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K-POP 시장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5,800원
        18.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8년에서부터 2020년 사이의 K-POP 음악 속에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제작된 음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사용된 사운드 샘플과 원곡의 파형을 비교·분석하여 사운드 샘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애널라이저(Analyzer)를 통한 스펙 트럼(Spectrum)의 주파수 분포도를 통해 다시 비교·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사운드 샘플의 사용 여부를 판가름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의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공정 사용의 여지가 부족할 수 있는 상당 범위의 샘플링 일지라도 로열티 프리(Royalty Free)의 디지털 사운드 샘플은 사용범 위에 관계없이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K-POP 가온차트 Top100 안의 음악 속에도 상당 범위에 해당되는 샘플링이 활용되고 있다. 셋째, 오디오 편집 기법을 통해 디지털 사운드 샘플을 제작자의 음악에 맞게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이미 상업적인 용도를 마친 디지털 사운드 샘플도 다른 사용자가 같은 사운드 샘플을 활용하여 상업적인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음악 제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시 점에, 본 연구가 추후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 활용한 K-POP 음악 제작 방식에 많은 보탬이 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5,5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