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cultivation area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is 156 ㏊ ('16), which is one of my representative medicinal crops. However, since it grows by roots, the damage of the repeated cultivation and the degeneration of the seedstock are increasing. To solve these problems, we are developing new varieties every year by testing the regional adaptability of high quality system. In recent years, as the quality and quantity of new varieties have been proven to increase, the need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excellent varieties is increasing. Methods and Results : The test material used a jihwang-1 as standard variety, the system was planted in 3-year (RGES 20), 2-year (RGES 21, 22, 23) and 3-year (RGES 24, 25). The root lengths were cut at intervals of about 2 to 3 ㎝ and immersed for 20 minutes in a fludioxonil suspension concentrate (1,000-fold dilution) and shaded for 1 day. Sowing was planted on April 30th, and planting interval was 30 ㎝ × 15 ㎝. Growth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the overground growing (plant length, leaf length, leaf number, plant type, etc) and degree of generation of pests. As a result of the growth investigation, the third year RGES 20, the second year RGES 22, and the first year RGES 25 were excellent. RGES 20 was upright type and superior in overground growing, RGES 22 had strong pest resistance. RGES 25 was characterized by strong at high temperature, but growth is not as good as other high quality system. Conclusion : Recently, the difficulty of cultivation of zucchini has been increasing due to abnormal weather. Especially in this year, high temperature of 35℃ or more continued for about 30 days, and the need to cultivate varietie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s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GES 25 can be registered as a promising strain that i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if the yield is corrected.
        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a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family Scrophulariacea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through seedling cultivation of R. glutinosa. Methods and Results : The root of R. glutinosa cultivar (Jihwang 1) was harvested in the middle of March. Seed rhizomes were seedling after air curing for three days. And seed rhizomes were plug seedlings for 30 days (30D), 45 days (45D) and 60 days (60D) then planted in the test field. Mat formation rate in 30D, 45D and 60D was 81.3, 100 and 100% respectively. Flowering occurred only in 45D and 60D except 30D. Flowering rate of 45D and 60D were 7.3 ± 3.06 and 13.3 ± 1.15%. Agronomic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ND (directly seeded group). As a results, aerial parts of 30D in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better than other treatment group but the number of leaf per plant was statistically the same. Also, root shape was similar when comparing ND and seedling groups. Conclusion : Taken together, it is thought that the cultivation of R. glutinosa. seedlings is possible. However, further evaluation of the economic aspect is needed.
        3.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se of Rehmannia glutinosa of the family Scrophulariaceae, in traditional medicine is well know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air curing of the seed rhizome of R. glutinosa on its storability and yield. Methods and Results: The root of the R. glutinosa cultivar (Dagang) was harvested in at the end of November. The seed rhizomes were air cured for one to seven days. They were subsequently wrapped with newspaper and further stored in a plastic container at 1℃. It was observed that the weight loss and decay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ir cured seeds than in the untreated ones. Moreover, the decay rate of the control was approximately 50%, 120 days after storage. However. the decay rate of all the air cured treatment groups was less than 1%. Additionally, air curing led to an increase in the germination rate of the seeds and the root yield when compared with the untreated groups. Taken together, the ideal treatment period for air curing was found to be 3 days. Under these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and yield were 88.7% and 2,185 ㎏/10a,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 air curing of seed rhizomes can lead to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storability and yield of R. glutinosa.
        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hmannia glutinose Liboschitz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family of Scrophulariaceae. Its roots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cultivation of varieties of Rehmannia glutinose Liboschitz, the pure line selection method, which is to select the best line among those cultivated in farms for pedigree breeding, replicated yield test and regional adaptation test before registering as a new variety, is widely used. Until now, there are 8 registered varieties of Rehmannia glutinose Liboschitz in Korea.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disaster-resistant varieties with better chances of surviving when high temperature, salts and disease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cultivation of disaster-resistant varieties among those selected for their disaster tolerance and salt tolerance through regional adaptation test. Methods and Results :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cidence of pest insects of the selected 1 - 2 years old varieties used in the study, among the 2-years-old crops, RGES 20 showed the lowest rate in ground parts. Among the 1-year-old crops, the lowest rate incidence of pest insects in ground parts was observed in RGES 23. In addition, RGES 20 and RGES 23 showed superior growth in under ground part with the highest dry root amount.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RGES 20 among the 2-years-old crops, RGES 23 among the 1-year-old crops showed superior growth in under ground part with the highest dry root amount.
        6.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are the most important angiogenic molecules associated with tumor-induced neovasculariz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from root of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Rehmannia Radix and Rehmannia Radix Preparata) on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medicinal herb were fractionated into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and aqueous fractions. Among the four fractions, the n-butanol fraction from R. Radix on exhibited highly effective inhibition (≈79% inhibition) on the binding of KDR/Flk-1-Fc to immobilized VEGF165 and the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R. Radix (≈45% inhibition) at the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e n-butanol fraction efficiently blocked the VEGF- and bFGF-induced HUVEC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cells. The n-butanol fraction more efficiently blocked the binding of KDR/Flk-1-Fc to immobilized VEGF165 and VEGF- and bFGF-induc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than the fraction from R. Radix Preparata. Our results suggest that Rehmannia Radix may be used as a candidate for developing anti-angiogenic agent.
        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grobacterium rhizogenes ATCC15834에 의해 형질전환된 지황 (Rehmannia glutinosa)의 모상근으로부터 유식물체를 재분화 시키기 위한 최적 조건을 탐색하였다. 모상근 절편으로부터 유식물체의 재분화는 0.5 mg/l BA가 첨가된 SH배지 (3% sucrose, pH 5.8)에서 배양 5주 후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유식물체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기본배지로 옮겼을 때 발근이 이루어졌다. 형질전환된 모상근 유래 식물체는 잎으로부터 직접 재분화된 식물체와 비교했을 때 잎이 오므라드는 경향을 보였고 줄기는 절간이 짧았으며, 뿌리는 가늘고 수량이 많은 특징을 보였다. 생체량 비교에서 형질전환식물체는 식물 하나의 무게가 1.28 g (생중량)으로 대조구인 잎 유래 재분화식물체 (0.53 g)에 비해 높았으며, 지표물질인 catalpol의 함량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여주었다.
        8.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알콜 발효 증진을 위해 5L 배양조에서 혐기적으로 회분 배양 시 건지황 착즙액을 농도별로 첨가하며 알콜 발효 및 균체 생육을 측정한 결과 균체 생육 및 알콜 생산 수율 모두 착즙액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발효에 비해 증가했으며, 30% (v/v) 첨가 시 11.8 (g/L)의 최대 균체양, 0.092 (%/hr)의 최대 알콜 생산성과 같은 최대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40% 이상 첨가 시는 균체 생육 및 알콜 생산 두 경우 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 에서는 심각한 생육 저해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알콜 생산성 증진을 위해 30% 착즙액을 첨가해 유가식 배양을 실시 한 결과 회분 배양보다 월등히 높은 균체 생육 및 알콜 생산성을 보였다. 이 같은 생산성은 일반 알콜 발효에서 얻을 수 있는 수율보다 약 30-40% 이상 높은 것으로 건지황 착즙액이 알콜 발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알콜 발효 시 건지황의 유용 성분의 활용과 함께 알콜 생산 수율 증진에도 이용이 가능한 지황의 이중적 활용도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9.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8년 6~9월의 강수량이 1,042mm, 강수일수가 60일이나 되어 배수조건이 나쁜 포장의 밭작물에 습해가 심하게 발생되었던 안동지역에서 습해정도에 따른 식방풍과 지황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농가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식방풍은 습해가 심할수륵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육장해가 더 심하였으며, 주근의 신장생장이 비대생장보다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습해 정도별로 ha당 생근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21~80% 감소되었다. 지황은 습해 정도별로 고사주율이 52%였으며, 습해에 의하여 근경의 형성 및 발육이 장해를 받아 습해가 심할수록 주당 근경수와 근경의 직경이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습해가 심할수록 상품성이 높은 근경의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습해 정도별로 ha당 근경의 생체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19~83%감소되었다.
        10.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과 현삼을 대상으로 저장 온도와 기간이 직접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황은 4℃에서 저장한 후 배양한 경우보다 8℃에서 저장하여 배양한 경우 직접 체세포배 생성율이 높았으며, 저장 조직 간에 차이가 있어, 잎이 12주간 저장 후에도 거의 일정한 체세포배 발생율을 보여 줄기나 엽병보다 장기 저장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삼의 각 조직을 전배양 없이 바로 4℃와 8℃에서 저장하였을 때, 줄기와 엽병 조직이 저장기간의 경과와 무관하게 신초의 발생율이 유지되었는데 경제적인 면으로 볼 때 4℃ 조건보다는 8℃ 조건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현삼의 각 조직을 25℃에서 10일 동안 전배양한 후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줄기와 잎 조직은 8℃에서, 엽병 조직은 4℃ 조건에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11.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생산한 단양지방종 지황 (Rehmania glutinosa) 묘와 재래식 영양번식묘 간의 생장 및 수량 차이를 구명하고 바이러스 이병 정도를 조사하였다. 청주와 서천지역을 중심으로 생장특성을 비교해본 결과 엽장, 엽폭 및 엽수에 있어서는 조직배양묘와 재래 영양번식 묘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엽록소 함량은 조직배양묘에서 증가하였다. 입묘율과 식물체당 근중은 조직배양묘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10a 당 수량은 200% 이상 증가하였다. 조직배양묘의 입묘율 및 생산량은 3~6mm 크기의 뿌리를 종구로 이용했을 때 증가하였다. 담배와 명아주를 지표식물로 이용하여 바이러스 이병 정도를 조사해본 결과 기내 조직배양묘에서는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직배양 1년생 묘에서는 40~45% 경미한 바이러스 이병 증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재래영양번식묘와 중국도입종에서는 100%의 심한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보였다. 감염된 바이러스의 대부분은 Tobamovirus였으며 그외 미동정 바이러스도 관찰되었다.
        12.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 재배시 적합한 재식방법을 구명하고자 충북지방재래조을 공시하여 휴폭 200cm, 조간 30cm(6렬), 주간 8.5cm(m2당 30주)로 4월 23일에 파종하여 란괴법 3반복으로 시허믈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은 관행인 평식의 5월 23일 보다 사식, 직식에서 2~4일 늦었으며, 과자, 과장×과폭 비 등은 큰차는 없었으나 평식〉사식〉직식 순이었다. 2. 지하부 생육중 근장과 근태는 평식 29.2cm, 10.0mm 보다 사식 3.4cm, 0mm, 직식은 2.8cm, 1.0mm가 각각 감소하였으며 당함량은 평식〉사식〉직식 순으로 많았다. 3. 10a당 총수량은 평식 1,203kg에 비하여 사식은 9%, 직식은 15%가 각각 감소되었고, 상품수량은 총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중부 내륙지방에서 지황 재배법 재식방법은 관행인 평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13.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地黃)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복토(覆土)깊이를 구명(究明)코자 지방재래종(地方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100cm 두둑에 휴폭(畦幅) 30cm×주간(株間) 10cm 3열(列)(30주(株)/m2)로 하여 복토(覆土) 깊이를 3cm, 6cm, 9cm, 12cm로 4월(月) 18일(日)에 정식(定植)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出芽率)은 3cm 복토(覆土) 86%에 비(比)하여 6cm 복토(覆土)는 67%, 9cm 복토(覆土)는 37%, 12cm 복토(覆土)는 21%로 복토(覆土)깊이가 깊을수록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2. 엽장(葉長)은 3cm 복토(覆土) 15.6cm 보다 6~12cm 복토(覆土)에서는 0.3~0.8cm가 길었으나, 이는 출아율(出芽率) 저하(低下)로 인한 환경요인(環境要因)으로 생각되었다. 3. 10a당(當) 수량(收量)은 3cm 복토(覆土) 1,154kg에 비(比)하여 6cm 복토(覆土)는 5%, 9cm 복토(覆土)는 62%, 12cm 복토(覆土)는 68%가 각각(各各) 감수(減收)되었으므로, 지황(地黃) 재배시(栽培時) 적정복토(適正覆土) 깊이는 6cm로 얕게 심는 것이 유리(有利)하다고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