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1.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ntihyperglycem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Taraxacum mongolicum (T.m.) o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groups: normal (NC), STZ-control (DC),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Diabetes was induced in Sprague-Dawley rats with a single intravenous injection [45 mg/kg body weight (b.w.)] of STZ. An ethanol extract of T.m. was orally given to diabetic rats for 14 days.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additionally treated with T.m. extract at doses of 1 g/kg b.w./day for T.m.-1, 2 g/kg b.w./day for T.m.-2, and 3 g/kg b.w./day for T.m.-3. Oral administration of T.m.-2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body weights. T.m.-1 and T.m.-2 significantly decreas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s than DC. T.m.-1 and T.m.-2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lood glucose level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free fatty aci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T.m. extract than those in the DC group. These results support the fact that administration of T.m. extract can reduc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risk in diabetic rats.
        4,0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oxidant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araxacum officinale solvent fractions were measured. Extraction yields (relative to raw material) of 50% ethanol,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were found to be 10.29, 2.61, 5.54, 2.15, and 0.96%, respectivel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 in ethyl acetate extract of Taraxacum officinale at 56.88 mg gallic acid/g and 33.27 mg gallic acid/g, respectively. DPP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measurement (IC50%) of Taraxacum officinale 50% ethanol extract, hexan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were 22.64, 18.65, 10.29, 20.81, 20.46 mg/mL, 24.68, 10.69, respectively. It was found to be 9.66, 15.81, 13.77 mg/mL, 32.84, 17.09, 12.73, 33.63, and 33.91 mg/mL, and was high in the ethyl acetate layer. Results showed tha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araxacum officinale solvent fraction were 25.75, 15.93, 35.87, 15.96, and 2.88% for 50% ethanol extract, hexane, butanol,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respectively.
        4,000원
        3.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ssessed the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from Taraxacum coreamm powder (TCP) (0, 2, 4, 6, 8%) substituting wheat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CP. However the density of the cookie doug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est groups. The baking loss rate of the groups with TCP was slightly lower, whereas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spread factor of the cooki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CP. The hardness of the cookies increased as TCP increased. In Hunter’s color value, the L and a value of the cook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TCP, while the b value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C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CP can be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cookies.
        4,000원
        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TP)-loaded particles for tablet dosage form, various TP-loaded particles composed of TP, dextrin,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silicon dioxide, ethanol, and water are prepared using a spray-drying method and fluid-bed-drying method.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evaluated using angle of repose, Hausner ratio, Carr’s index, hardness, disintegrant tim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ptimal TP-loaded particles improve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Furthermore, 2% silicon dioxide gives increased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The formula of TP-loaded fluid-bed-drying particles at a TP/MCC/silicon-dioxide amount of 5/5/0.2 improves the angle of repose, Hausner ratio, Carr’s index, hardness, and disintegrant time as compared with the TP-loaded spray-drying particles. The TP-loaded fluid-bed-drying particles considerably improve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35.10° vs. 40.3°, 0.97 vs. 1.17, and 18.97% vs. 28.97% for the angle of repose, Hausner ratio, and Carr’s index, respectively), hardness (11.34 vs. 4.7 KP), and disintegrant time (7.4 vs. 10.4 min) as compared with the TP-loaded spray-drying particles.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fluid-bed-drying particles with MCC and silicon dioxide can be used as powerful particles to improve the flowability and compressibility of the TP.
        4,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 내에서 RBW LED(red:blue:white = 2:1:1)의 광주기와 광도가 흰민들레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완전 인공 광형 식물공장에서 각각 광주기 3수준과 광도 4수준으로 설정하였고, 분무수경으로 광주기 실험은 270일, 광도 실험은 120일 동안 재배하였다. 광주기별 전 재배기간 동안 8회 수확한 1주당 수확 총엽수는 16/8시간 처리구에서 주 당 224매로 12/12시간 처리구의 220매와 비슷하게 많았고 8/16시간 처리구에서 151매로 가장 적어 대체로 명기가 길수록 수확엽수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16/8h 처리구에서 125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12h 처리구 91g, 8/16h 처리구 56g 순이었다. 광도별 전 재배기간 동안 총 4회 수확한 엽수는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123매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7매인 200μmol·m-2·s-1 처리구와 95매인 100μmol·m-2·s-1 처리구 이었고, 50μmol·m-2·s-1 처리구에서 56매로 가장 적었다. 1주당 지상부 총 생체중은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43.6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0μmol·m-2·s-1과 200μmol·m-2·s-1 처리구로써 각각 34.6g과 32.2g이었으며 50μmol·m-2·s-1 처리구에서 18.2g으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흰민들레 최적 생장을 위한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의 RBW LED(red:blue:white = 2:1:1) 조명의 광 조건은 광주기 16/8h, 광도 150μmol·m-2·s-1이었다.
        4,000원
        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체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과 위암세포 AGS를 대상으로 국화과 식물 중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 TC),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YS), 씀바귀(Ixeris dentate, ID) 추출물에 의한 증식 억제효과를 비교 한 후, 가장 억제효율이 높은 추출물을 선택하여 apoptosis 유도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는 TC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약한 반면, YS와 ID 추출물에 의한 영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가지 추출물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난 ID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농도 설정을 진행한 다음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양성세포를 확인하기 위해 DAPI assay를 진행한 결과, ID 추출물을 처치한 군에서 apoptotic body와 세포질 응축을 확인하였다. MTT assay와 DAPI staining의 결과를 바탕으로 ID 추출물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apoptosis와 관련한 단백질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ID 추출물에 의해 SK-BR-3, MDA-MB-231, AGS 세포에서 pro-apoptosis인 Bax 단백질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ntiapoptosis인 Bcl-2 단백질 발현은 SK-BR-3 세포에서는 발현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MDA-MB-231과 AGS 세포에서는 감소하였다. 세포사멸의 주요임상지표인 Bax/Bcl-2 ratio는 MDA-MB-231세포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단백질인 PARP의 발현은 감소하면서, cleaved-PARP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YS와 ID 추출물은 TC 추출물에 비해 암세포의 생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특히 ID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암세포의 생존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D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세포 SK-BR-3, MDA-MB-231와 위암세포 AGS의 생존율 억제는 apoptosis 유도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사료되며,그 중 유방암세포 MDA-MB-231에서 apoptosis 유도 효과가 뛰어난 것을 미루어 보아, 유방암의 종류와 그 특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만 ID는 향후 유방암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in vivo에서의 ID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흰 민들레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흰 민들레 꽃, 잎, 뿌리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에 대 한 세포독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 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2.15±3.21%, 31.63±0.63%, 27.48±2.47%로서, 꽃 > 잎 > 뿌리의 순으로 나 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61.29±2.11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그 다음이 잎(43.52±2.34 mg/g), 뿌리(11.36±1.87 mg/g) 순으로 나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꽃 (46.11±1.88 mg/g), 잎(24.89±1.20 mg/g), 뿌리(6.31±1.22 mg/g) 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활성으로 분석 한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꽃, 잎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89.99±2.83%, 85.29±2.22%, 37.88± 2.34%로 꽃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컬 소거능 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MTT법에 의한 흰 민들레 부 위별 에탄올 추출물 400 mg/kg 첨가시 위암 세포주(AGS), 폐 암 세포주(A-549) 및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세포독 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암 세포주(AGS)에서 꽃(62.85± 4.63%), 잎(47.83±4.22%), 뿌리(4.73±0.89%)의 순으로, 대장암 세포주(HCT-116)에서 꽃(69.89±3.44%), 잎(54.14±2.82%), 뿌 리(9.42±1.11%)의 순으로, 폐암 세포주(A-549)에서 꽃(85.72± 4.17%), 잎(71.79±2.98%), 뿌리(19.10±2.04%)의 순으로 모든 암 세포주들에 대하여 꽃 부위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 며,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농도 의존적 으로 항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흰 민들레는 향후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aerial part and root) of Taraxacum coreanum and Taraxacum officinale. To identify the nutrient composition of different parts of Daedelion species, nutrient contents were analyzed. Crude ash, protein, and fat contents of T. coreanum and T. officinale were higher in the aerial part compared to the ro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ash, protein, or carbohydrate content of the aerial part depending on the Daedelion species. Aerial part contents of vitamin A, E, and 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 coreanum than T. officinale. The K content of the aerial part of T. coreanum and T. officinale was highes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aedelion species. Contents of oxalic acid, citric acid, and acetic acid in the aerial part of T. coreanum wer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erial par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 coreanum than T. officinale. In conclusion, the aerial part of T. coreanum and T. officinale could be used as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sources.
        4,000원
        1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Taraxacumofficinale on the qualitycharacteristics of Yugwa during storag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than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tive index of Taraxacum officinal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Vit.C, whereas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of BHA. The L, a, and b levels of Yugw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araxacum officinale powder;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the lowest L and b levels. Hardness was unaffected by Taraxacum officinale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Brittleness of Yugwa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control, 1.5%,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whereas 3%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storage. Peroxide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in 3%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nd 1.5% Taraxacum officinale powder after 4 weeks of storage. Taste, flavor, and crispness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ccording to Taraxacum officinal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addition of 3~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provides beneficial effects in terms of storage life of Yugwa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4,000원
        1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raxaci Herba has long been used in herbal medicine for their choleretic, anti-heumatic and diuretic proper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igin plants of Taraxaci Herba, Taraxacum coreanum Nakai,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in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microglial activation in BV2 cells. NNMBS273, the EtOH extracts of roots T. coreanum was examined for anti-neuronal inflammatory activity as new drug development. The roots of T. coreanum, showed the potent anti-neuroinflammatory effect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microglial BV2 cell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NMBS273, the EtOH extracts of roots T. coreanum was demonstrated by the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pro-inflammatory enzym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and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β).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oots T. coreanum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lated to neuroinflammation.
        4,000원
        13.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PD를 이용하여 국내에 생육하는 4종의 자생 민들레와 2종의 귀화 민들레 종간의 유전적인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Primer Screening을 통해 선발된 30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를 행한 결과, Polymorphic band 수는 141개로 나타나 민들레 종간의 유전적인 차이 분석이 가능하였다. Primer OPC12, OPD16, OPK16, OPK17, OPK20, OPSI에서는 각 종마다. 특정 밴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OPS8에서는 564bp에서 귀화종인 서양민들레 종에서만 특이 밴드가 나타났다. RAPD분석결과 자생종과 귀화종 민들레들은 명확히 2군으로 구분되었다. 1군에는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 등의 귀화종 그룹이었으며, II군은 민들레, 산민들레, 좀민들레, 횐민들레 등의 자생종 민들레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Bootstrap 방법으로 6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도 비유사계수를 통한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는 민들레속 6종의 주요형질을 조사한 결과 I군에 속하는 민들레류는 II군에 속한 종들에 비해 개화일수가 길고, 외총포편의 방향이 다르며 털의 유무 또한 다른 특징이 있었다. ll군에 속하는 횐민들레는 다른 민들레종과는 화색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생종들 속에서도 잎의 방향과 발아의 생리적 특성 등 유전적으로 여러 다른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서 II군내에서도 유전적 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4.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자연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생 민들레류의 감소와 서양민들레의 급속한 증가원을 종자 발아특성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각의 종자는 무처리를 비롯하여 10일, 20일, 30일, 60일간의 저온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발아조건은 광조건과 암조건으로 실험하였다. 자생민들레의 경우에 광조건하의 무처리 대조구에서 28%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60일간의 저온처리구에서 90%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발아세와 평균발아기간도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와 광조건하에서 양호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좀민들레의 경우에도 민들레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30일 이상의 저온저리와 광조건하의 발아상태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서양민들레는 저온무처리구의 광조건에서 발아율 88.8%로 자생 민들레류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서양민들레 종자는 저온처리에 의핸 현저한 발아율 향상을 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에 의해 휴면이 타파되고 발아율이 향상되는 자생 민들레류의 비휴면성인 성양민들에 비해 종 번식에 있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6.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가축의 면역 증진을 위한 천연 첨가제로서 좀민들레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4.95, 86.33 mg/g으로 나타났고 DPPH, ABTS radical 소거능은 각각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50%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1000 μg/mL에서 50%의 환원력을 나타냈다. LPS와 함께 처리한 Raw 264.7 cell에서는 좀민들레에 의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염증 매개 인자 NO와 염증성 사이도카인 IL-1β의 생성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염증성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통해 확인한 결과, 400 μg/mL으로 처리하였을 때 LPS 처리구에 비해 염증성 단백질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좀민들레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이 유의한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가축의 질병예방을 위한 면역 증진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안전한 대체 천연 첨가제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17.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한 국내 민들레속 유전자원 수집종의 엽록체 DNA 영역(trnL-trnF와 rps16-trnK)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내․ 간 변이 및 배수성을 구명하여 유전자원 육성의 기초 자료룰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민들레속 유전자원의 배수성은 털민들레, 서양민들레, 붉은씨서양민들레가 3배체이고, 흰 민들레와 흰노랑민들레는 4배체였다. 염기서열의 길이는 trnLtrnF 영역에서 자생종류인 털민들레, 흰민들레, 흰노랑민들레 가 931 bp에서 935 bp, 서양민들레는 910 bp, 붉은씨서양민들레 는 975 bp로 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종 특이적 염기서열 88개, 자생종 및 귀화종 특이적 염기서열 41개가 검출되었다. rps16- trnK 영역은 털민들레 882∼883 bp, 흰민들레 875∼881 bp, 흰 노랑민들레는 878∼883 bp 서양민들레 874∼876 bp, 붉은씨서 양민들레는 847∼848 bp로 37개 종특이적 염기서열이 검출되 었다. 염기서열의 유사도는 trnL-trnF 영역에서 0.860∼1.000 사이로 평균 0.949이며, rps16-trnK 영역의 유사도는 0.919∼ 1.000 사이로 평균 0.967이었다.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trnL-trnF 영역은 크게 자생종류와 귀화종 류로 구분되었으며, 서양민들레와 붉은씨서양민들레는 같은 종 간에 유집되었고, 자생종류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rps16-trnK 4개 그룹과 유집되지 않은 5개체로 나뉘었다. 흰노랑민들레는 두 영역 모두 흰민들레와 동일 계통군을 형성하였고, 염기서열 상 두 종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연관계에서 모두 독립적으로 존재한 흰민들레 No. 10 (조계산)과 털민들레 1번(광양)은 민들레 유전자원 육성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1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Many Taraxacum spp. plants are widely used in medicine, but some of them have propagation problems, such as strong dormancy and poor germination rat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gibberellic acid (GA3), and potassium nitrate (KNO3) on seed germination in Taraxacum ohwianum. Methods and Results: The seeds (NIBRGR0000135524) were exalbuminous, and their length and width were 4.54 ± 0.032㎜ and 0.97 ± 0.029㎜, respectively. Various germination temperatures were tested (15, 20, 25, and 3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found to be 20℃ (31.3%). High temperature (30℃) resulted in non-typical seedlings (thickened and crumpled cotyledons, with a restricted root system). To increase the germination capacity, GA3 (200, 500, and 1,000 ㎎/ℓ ) or KNO3 (20, 50, 100, 200, and 500 ㎎/ℓ ) solutions were used as pre-soaking solutions instead of water. The GA3 treatments increased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rate, but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with the KNO3 treatments. Under the 50 - 200 ㎎/ℓ KNO3 treatments, the germination percentage exceeded 80% after 12 days, and 50 ㎎/ℓ KNO3 was notably effective (91.2% after 15 days). Conclusions: T. ohwianum seeds showed improved germination at low temperatures. The best method for germination was presoaking in 50 ㎎/ℓ KNO3 for 24 h, in the dark at 4℃, and then incubating the germinated seed at 20℃ for 15 days.
        19.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lants of Taraxacum spp. are widely used in medicine, but some of them have some problems related to propagation, such as strong dormancy and inactive germin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gibberellic acid (GA3), and potassium nitrate (KNO3) on seed germination in Taraxacum ohwianum. Methods and Results : The seeds (NIBRGR0000135524) were exalbuminous, and their length and width were 4.25 ± 0.118 mm and 0.89 ± 0.062 mm, respectively. Among various temperatures (15, 20, 25, and 3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germination was found to be 20℃ (31.3%). High temperature (30℃) induced off-type in seedlings (thickened and crumpled cotyledons, and restricted root system). GA3 treatments increased germination percentage and speed, but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with KNO3 treatment. Under KNO3 treatments (50 to 200 mg·L-1), germination percentage exceeded 80% after 12 days, with 50 mg·L-1 KNO3 being notably effective (91.2%, after 15 days). Conclusion : Seeds of T. ohwianum showed germination ability at low temperature. The best method for germination was pre-soaking in 50 mg·L-1 KNO3 (4℃, dark, 24 h) and incubating at 20℃ for 15 day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