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1.
        202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identity, teacher transparency,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s’ adaptation to digital change. Eighty-four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comparison between English and other subject teachers, 38 survey results of different subject teache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nglish teachers’ scores were lower across all the constructs in terms of both transparency and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scores of teachers in other subjects. For furthe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run,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 transparency influences teacher self-efficacy, facilitating digital adaptation. Instructional Transparency and Peer Transparen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ing digital adaptation. This result illustrates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evolving teacher identity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digital adapt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ransparency and teacher selfefficacy. Th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targeted programs to enhance English teachers’ transparency and self-efficacy as a pathway to their digital adaptation.
        6,3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량의 관 계에서 변화개방성과 전문성 지원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시와 S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병렬다중매개모형을 분석하기 위 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4가 적용되었다. 분석 결 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교수효능감, 변화개방성, 전문성 지원환경, 디지 털 놀이지원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디지털 놀이지원역 량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 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향상을 위하여 디지털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지원환경을 중요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 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역량 증진을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5,800원
        3.
        202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일하는 여성의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 영유아가 기관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고 보육교사의 중요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보육교사는 부모를 대신하여 영유아의 전인적인 발달 을 돕고 발달 수준에 맞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유아는 무엇보다 안정적인 보육환경이 중요하며, 보육교사의 근무환 경은 영유아의 발달을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보육효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 감을 향상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하여 인력지원체계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보육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 는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감성지능을 향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감 과에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감정 노동과 긍정심리자본이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6,400원
        4.
        202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적 변화에 따라 양육에 대한 패러다임도 가족에서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면서 가정양육보다는 시설에서 의 대리 양육의 의존률이 높아졌다. 보육교사에 대한 기대감으로 학대 없는 안전보육과 함께 전인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건강하고 질 높은 다 양한 보육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보육교사가 근무중 여러 가지 요인으 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에 대한 자긍심과 책임감은 물 론 윤리의식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여 줌으로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영유아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탐구하고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 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은 물론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 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 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 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학대에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학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영유아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 레스와 교수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 육교사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학대에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관계에서 인성과 직무스트레스, 교수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 하였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하는 인성을 함양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방안과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학대를 예방 근절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에 의의가 있다.
        14,900원
        5.
        202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적 영향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가 늘어나면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높아지는 만큼 양질의 보육서비스 제공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단순히 정책 예 산 늘리기, 보육시간 보장 등 양적 정책이 아닌 양육공백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 질제고 방안이 필요하다. 공급자 중심의 단편적인 보육 정책이 아닌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 요구와 교수효능감을 통한 질 높 은 보육활동을 요구하는 등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이 영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 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보육교 사의 심리적안녕감 회복을 위한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확보 와 보조인력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적 상 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하여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상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그러므 로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 미치는 심리적안녕감과 교수효능 감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보육교사와 영유 아와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9,300원
        6.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 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 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만 3세∼5세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 223명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 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30대 연령, 대학원 이상의 학력, 2회 이상 누리과정 연수를 받 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개정 누리과정 실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유아교사 놀이신념의 ‘놀이중심’ 신념은 개정 누리과정 실행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학습중심’ 신념은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전체 및 모든 하위변인이 개정 누리과정 실행수준과 유의한 상 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개정 누리과정의 편성·운 영, 교수·학습, 평가 실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 놀이신념의 ‘놀이중심’ 신념은 개정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36%)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교수효능감의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역시 유 의한 영향(47%)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신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 과정 실행수준을 높일 수 있는 예측 변인임을 밝힘으로써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수준을 높이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6,100원
        7.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과 행복플로리시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의미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및 경기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 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플로리시, 교사효 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그릿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그릿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플로리시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이면서 보육활동에 영향 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의 방향성을 파 악할 수 있는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5,500원
        8.
        2022.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 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와 유아의 보육효능감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한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사회적지 지, 회복탄력성, 보육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 변인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보육효능감 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은 보육효능감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보육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검증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 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보 육교사의 역할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 비스를 제공하고 보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 의가 있다.
        9,500원
        9.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이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보육효능감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에서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구모형으로 설정 하고, 증적으로 살펴봄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효능감의 관계 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보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 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6,300원
        10.
        202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런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지 어린이 보육 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급 이상 350명이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AMOS 21.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이직 의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친 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이직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한 실천적 제언과 이 론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5,500원
        11.
        202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규명을 위하여 수도권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 으로 2020년 3월2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 조사한 449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 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역할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함의를 기술하였다.
        5,800원
        12.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설문 조사는 울산에 소재한 12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최종 270부를 분석에 활용했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직무만족도에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으나, 간접효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었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직무몰입에 직·간접적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칭리더십이 직무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 을 매개변수로 투입될 때 직무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의 직무자율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장의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자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자율성을 통해 교사들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학교 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에 따른 이론적, 실증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6,300원
        13.
        2020.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교사와 영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영아의 건전한 성장발달과 보육의 질을 향상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독립변수는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 종속변수는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다.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보육 효능감과 직무 만족은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육교사의 보육 효능감은 직무 만족을 통해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 수준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100원
        1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봉사의 적정 시간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봉사 시간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 시간에 따른 첫째,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둘째, 교육봉사 시간, 교사효능감, 교사- 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육봉사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있어서 교사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72명이었다. 연구방법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육봉사,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봉사 시간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봉사 시간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육봉사 시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에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5,500원
        1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은 보육교사 대상 220명이었고 전체 표본의 크기를 설정하였다. 설문 지역은 대전과 충청 지역에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 6월~8월 기간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6부를 제외한 204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전공별로는 유아교육전공 59명(28.9%), 아동보육전공 65명(31.9%), 기타전공자 80명(39.2%)이였으며, 교직경력 중 다문화가정 영ㆍ유아를 지도한 경험은 있다 8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43.1%였다. 분석과정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다문화 교육인식과 다문화 교사효능감은 다문화 수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교육인식과 다문화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 교육인식은 다문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문화 교육인식은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5,100원
        1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교직헌신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5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은 교직헌신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교직헌신에 대해 55.5%의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윤리의식의 하위변인 중 동료들에 관한 윤리의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유아, 지역사회와 사회에 관한 윤리의식 순이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은 교사효능감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유아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교사효능감에 대해 57.1%의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윤리의식의 하위변인 중 지역사회와 사회에 관한 윤리의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동료, 유아에 관한 윤리의식 순이었다.
        5,200원
        17.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자녀양육을 대부분 가정에서 부모들이 하였으나,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맞벌이 부 부들의 증가로 가정에서 유아들을 양육할 양육자가 없어지게 되므로 유아들을 대신 보육할 어린이집을 필 요로 하게 되고, 보육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보육정책에 있어서도 저출산 과 고령사회 진출로 인하여 영유아의 양육과 교육, 복지서비스 등이 국가의 책무영역으로 강화되고 있다. 과거의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 변화하면서 보육의 질과 서비스에 관해서도 차별화를 요구하며 맞 춤서비스로 전환되어 가기도 한다. 영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부모와 떨어져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다보니 보 육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보육교사의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셀프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중요시되며,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는 조 직몰입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로,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셀프리더십을 높일수 있는 정책적 대안과 프로그램 개발과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7,700원
        1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efficacy and selected teacher variables, such as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self-efficacy, English proficiency, and teacher training experiences, of Korean English teachers. The study employed four questionnaires including Sherer et al.’s (1982) General Self-Efficacy Scale, Tschannen-Moran and Woolfolk-Hoy’s (2001) Teachers’ Sense of Efficacy Scale, Chacon’s (2002) Self-Reported English Proficiency Scale, and background inform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0 Korean English teacher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standardized English proficiency scores exert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teacher-efficacy. Yet, the teachers’ self-assessed English proficiency levels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additional variance of their teacher-efficacy after controlling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ir self-efficacy, suggest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teachers’ positive assessment of their own English proficiency on their teacher-efficacy, regardless of their actual English proficiency.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 that teachers’ professional training experiences generally contribute to their teacher-efficac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6,100원
        19.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ve proces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y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entered in their teaching journals during a four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Thirty-three student teachers were asked to report critical incidents in their journals once a week, especially focusing on „lesson breakdowns‟ or „events that deserve critical significance‟ during a lesson. 133 journal entri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04 critical incidents were analyzed to see some aspect of secondary classroom teaching and the reflective processes that student teachers went through right after the incidents. From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y critical incidents happen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lesson and were mostly caused by student teachers‟ lack of experiences in either time management or material preparation tailored to students‟ level. By describing and analyzing critical incidents, student teachers became more aware of their assumptions about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transfer knowledge into real practices. A survey administered after the practicum also revealed that self-observation of critical incidents in their own classroom helped them to generate powerful insights about teaching and to develop reflective teachers.
        7,000원
        2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53개 공립 초등학교에서 12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 도구와 과학 교수 효능감측정 도구를 투입하였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경력이 많을수록 점차 증가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발달한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의 상관분석 결과 둘 사이에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특징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으며 수업 전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수업의 초기에 수업 목표와 학습 문제를 학생들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려고 노력하며 수업의 각 과정에도 재인식시키는 특징이 있다. 자기의 과학 수업에 대한 상당한 자신감이 있고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수업에 관련된 그 외의 분야에도 지식이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
        4,8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