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6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고는 송대 문인들의 선진시기 금문과 각독에 대한 인식에 대한 논고이다. 특히 양송(兩宋)시대에 금석(金石) 연구가 활발 해지면서 송나라 사람들은 수많은 새로운 금석 자료들과 직면 하였다. 그러나 금문과 고문, 대전과 주문, 소전, 주조된 금문과 새긴 금문, 과두문 등 문자학과 서예에 관련된 내용들이 혼용 되거나 잘못 인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혼용되거나 잘 못 인식된 내용을 명확 하게 구분하고 이들의 차이점을 정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러므로 예를 들어 금문의 주조하거나 새기는 과정과 특징을 기 술하였고, 각독을 서사하는 방식과 특징을 명확하게 구분 정리 하였다. 또한 고문(古文)과 금문, 전서, 대전, 주문, 소전 등의 서체에 대한 용어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송대 문인들의 인식하 는 애용을 비판적으로 조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서사 재료의 관점에서 시작하여 송나 라 사람들의 금문 필법에 대한 평가 기준과 미적 취향을 살펴 보고 이를 복원하여 판각된 고서에서 금문의 미학 원리와 규칙 및 미학적 함의 등을 심도 있게 탐구하였다.
        5,800원
        2.
        202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versation strategies that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employ when interacting with AI-based writing tutor chatbots. A total of 79 eighth-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Seoul engaged in English process writing tasks with ChatGPT API-powered writing tutor chatbots, composing an argumentative and an expository essay. Their dialogues during the pre-writing and drafting stage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with a focus on linguistic modification strategies within situated writing contexts. The results reveal that learners actively interacted with the AI writing tutor chatbots, employing various strategies to refine chatbot responses, clarify misunderstandings, and negotiate meaning. These strategies demonstrated both backward- and forward-oriented approaches, allowing students to iteratively improve their writing through dynamic inter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pedagogical recommendations for optimizing AI chatbot-mediated conversations in L2 English writing instruction.
        6,4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dents’ peer feedback in collaborative English writing of general English classes. For this reason, online pre-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on 33 students enrolled in D University in Chuncheongnam-do.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affective aspects of peer feedback, the burden of providing feedback, anxiety about English proficiency and negative feedback, and discomfort with negative feedback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peer feedback increased. However,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trust in peer feedback, motivation, and the burden of inter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students mentioned that they benefited from peer feedback in the order of grammar, text structure, and vocabulary. As positive aspects, they highlighted objectivity, assistance in English learning, and increased confidence. On the other hand, they pointed out their discomfort in giving feedback due to their low English proficiency and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incorrect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5,400원
        4.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S대학교 ‘사고와 글쓰기’ 교과에서 AI 자동 피드백 프로그 램 키위(KEEwi)를 활용한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그것이 지닌 효과와 한 계에 관해 탐색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2장에서는 AI 자동 피드백 프로그램의 동향과 원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키위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 운영과 구체적 사례에 관해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설문조사 분석 을 통한 학습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교육 효과 및 한계에 관해 논의 하였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즉각적이고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 습자의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글쓰기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교수자에게는 글쓰기 교육의 보조 도구이자 협력자로 기능하며 학 습자 중심의 피드백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 러나 키위 엔진은 완전한 대체 도구가 아니며 자체적인 오류와 문제를 가지고 있어 절대적인 평가 지표로 활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양수업에서 AI 자동 피드백 프로 그램이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끼치는 영향과 그 한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 이 되리라 생각한다.
        6,300원
        5.
        202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riting conferences are one-on-one feedback sessions that enable teachers and students to engage in constructive interaction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While interacting individually, a teacher can use various feedback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a student’s writing. This study examined how a secondary English teacher elicited students’ self-correction of writing issues during EFL writing conferences conducted in Korean (L1) as part of an after-school English program at a Korean high school. One English teacher and five first-year students participated in writing classes for two weeks during the winter vacation. Their conversations were video-recorded and analyzed using Conversation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 elicited the student’s selfcorrection through four key strategies: (1) metalinguistic clues, (2) building on initial corrections, (3) leveraging morphological knowledge, and (4) guiding students through a stepwise construction of sentence elements. This study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corrective feedback in secondary EFL writing conferences and offer insights for improving teacher-student feedback interactions.
        6,900원
        6.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목사 소설가 백도기의 19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기독교 소설이 그리는 고통과 기독교 언어의 분열이라는 주제를 살핀다. 백도기에게 기독교 신 앙과 소설 쓰기는 소설이 고통에 대해 다룰 때 양립 가능했다. 백도기 소설 속 고통 이야기는 두 갈래의 근원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그가 속했던 한신대학교의 신학적 경향과 가르침에서 온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순교자 아버지 에 대한 기억이다. 한신의 신학은 백도기가 이웃 인간을 향한 관심, 그들의 고통 과 함께하는 고통, 혹은 함께하지 못하는 데에서 오는 고뇌의 서사를 쓰게 이끌 었다면, 부친 백남용 목사의 순교는 종교적 구원에 이르는 고통과 죽음을 그리 는 순교 서사를 반복해서 쓰게 했다. 한편 이 글은 그의 대표작 청동의 뱀 을 다시 읽으면서 이 소설이 한국경제의 성장과 교회의 양적 부흥 가운데 기독교 언어가 오히려 왜소해지는 상황을 지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목사 주인공의 무 기력과 타락한 교인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청동의 뱀 은 영적 타락에 대한 범박한 묘사에서 나아가 기독교인들에 의해 기독교 언어가 남용되고 무용해진 현실에 애통하는 소설로 읽을 수 있다.
        7,0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chine translation (MT) use on the writing performance of Korean EFL students, focusing o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CAF). Six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writing tasks in which they first translated their L1 writing into L2 manually and then used MT to revise their L2 drafts. This process was repeated across ten different writing topics. Participants’ drafts were analyzed using CAF measures to assess MT’s impact on their writing performance and observe changes over tasks. The results show that MT significantly improved accuracy and fluency. However, gains in syntactic and lexical complexity were less evident. While group-level analysis showed consistent progress, individual trajectories varied widely, indicating diverse patterns of development.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MT enhances writing accuracy and fluency among Korean EFL students, although its impact on syntactic and lexical complexity is limi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T can serve as a valuable t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helping students independently improve their writing accuracy and fluency and develop essential self-editing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MT as a supplementary tool to support EFL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along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8,400원
        8.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viewed Chinese primary school writing curriculum from 1902 to 2022 to reflect on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review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teaching of writing should be done independently from gener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2) Teaching objectives should not be limited to skills training but should also include emotional literacy; 3) Teaching methods should be connected to the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4) The teaching process should not be random, but should be standardized, and; 5) Evaluation of teaching should be measured on an objective and detailed evaluation scale.
        4,800원
        9.
        202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elementary English writing program using image-generative AI to examine its effects on students’ writing abilities and affective domains. The program was designed following the ADDIE model and aligned with the 2022 Revised English National Curriculum. It used Padlet’s ‘I Can’t Draw,’ allowing students to create images based on their prompts. Eighty six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with data collected through pre- and post-writing tests, affective domain surveys, student work, reflections, and teacher interviews. A mixed-methods analysis, combining ANCOVA and content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1) The program improved the syntactic and lexical complexity and fluency of students’ writing, but not accuracy. (2) Students’ situational interest significantly increased, but individual interest did not. Additionally, students’ engagement and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improv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mage-generative AI i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English writing lessons and providing feedback.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critical role of teacher competence in successfully integrating AI into language instruction.
        6,400원
        10.
        202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reating English picture books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skills, AI literacy, and self-efficacy. Forty-fiv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articipated in tasks that included selecting a character from English-speaking cultures, generating images using Bing Image Creator, drafting and revising stories with ChatGPT, and creating audiobooks with ClovaDubb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were evaluated using pre- and post-tests, and AI literacy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including selfefficacy, were measured through survey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skills and self-efficacy, whereas reading skills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ress. The study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generative AI as a tool for enhancing writing skills, AI literacy, and self-efficacy in language learning. However,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further pedagogical efforts to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effectively improve reading skills. These findings offer practical guidance for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EFL education to enhance language learning and AI literacy.
        5,500원
        11.
        202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AWE) has garnered increasing interest in L2 writing research, significantly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AWE tools’ practices and efficacy in L2 writing instruction.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feedback types (teacher vs. AWE) and different dimensions of engagement (cognitive and affective) remain largely underexplor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eedback types on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as well as their L2 writing development. Seventy-two EFL learners participated as part of their regular English curriculum. Over twelve weeks, students received feedback on their essays from either a teacher or AWE programs. Progress in writing abilities was tracked through measurement tests, and engagemen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Results indicated that both feedback types improved L2 writing abilities. However, teacher feedback proved mor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compared to AWE feedback.
        5,800원
        12.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쓰기 수업에 챗GPT를 활용할 경우 나타나는 학습자의 반응을 관찰하고 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함으로 써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론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선택하였으며 자료의 삼각화를 충 실히 이행하기 위하여 한 학기 동안 학습 결과물, 챗GPT와의 대화 내용, 수업 만족도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형태적 측면에 서는 문법적인 오류를 수정하고,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는 데 챗GPT를 유용하게 활용하였으며 어휘적 측면에서는 모르는 단어나 구어체와 문어 체 간의 변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았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주제문을 작성하고 논리적인 단락을 구성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 본 연구는 챗 GPT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보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자 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전통적인 교수법의 한 계를 보완하며,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900원
        1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안병호에 의해 쓰여진 「오타 줄리아 전」과 후데우치 유키코(筆内幸子)가 지은 󰡔오타 줄리아의 생애󰡕(おたあジュリアの生涯)를 한국어로 번역한 󰡔오타 쥴리아󰡕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종교적 인물로 숭상받고 있는 ‘오다 쥬리아(大田 Julia, ?-?)’에 대한 글쓰기 양상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허구 ‘사이’에서 종교적 믿음을 형성하기 위해 나타나는 수사학적 전략과 한국과 일본 양국의 인물에 대한 담화 구성의 차이를 통해 형성되는 종교성에 관해 살펴본다. 두 글쓰기는 오다 쥬리아가 보이는 천주교 신앙의 모범이라는 종교적 의미를 독자들이 진실로 받아들이고 믿게 하기 위해 신앙인으로서의 자질(/존재(être)/)을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그것에 관한 /현상(paraître)/과 함께 서술하는 수사적 전략을 보인다. 하지만 담화 구성에 있어서 전자는 그녀를 약초 지식과 의술에 기반하여 종교적 삶을 실천한 ‘치유자’로, 후자는 박해 속에서도 일본에서 천주교 신앙을 지킨 ‘수호자’로 오다 쥬리아에 대한 서로 다른 종교적 의미를 독자들에게 소통한다.
        5,700원
        14.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learning strategy (LLS) preferences and AI writing tool use among 147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learners at a South Korean universit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preferred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s determined by the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SILL): memory/compensation strategies (Group 1)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Group 2). The SILL survey was followed up with assessments on the participants’ use of AI writing tools and their reflections on how these tools were used in the writing process. Results revealed some minor correlations between specific strategy types and functions in AI writing tools— including preferences which suggest that metacognitive strategy users use AI writing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ideas and structuring the writing process—but were limited due to individual learner variables which had not been measured. The findings provide directions for the consideration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when designing AI writing tools to create personalized and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6,300원
        15.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use of ChatGPT prompts to explore its potential as a supplementary feedback tool in English writing classes. Thirty-on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groups based on their self-evaluation, standardized test scores, and essay scores prior to receiving ChatGPT feedback. The data sources included their two essays, ChatGPT prompts, questionnaires, and transcripts from the second writing conference. The ChatGPT prompt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writing conference transcript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use of prompts. The results showed participants used prompts 40 times in the first assignment and 175 times in the second assignment. The average prompt usage increased from 1.5 times in the first assignment to 6.7 times in the second assignment. In terms of students’ levels, the high group used more prompts (5.58 times) than the middle (5 times) and the low groups (1.75 times). Notably, students who used ChatGPT commands five times or more were mostly from the high and middle groups. Differences in prompt usage patterns were also identified, with the high and middle groups engaging in more continuous and interactive conversations with ChatGPT. Student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ChatGPT’s feedback, particularly in vocabulary selection, grammar correction, and sentence generation.
        6,700원
        16.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도리스 레싱의 「낙원에 뜬 신의 눈」에 재현된 전후 공산주의와 연관한 레싱의 글쓰기 정치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레싱의 아카이브에 따르면,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수단으로 보았던 공산주의에 대한 믿음이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며 흔들리기 시작했음이 드러난다. 1950년대 초 독일 방문과 1952년 소련 방문에 대한 그녀의 소감을 밝힌 자료는 그러한 공산주의에 대한 열성이 스러지기 시작했음이 감지된다. 또한 지인이나 주변의 작가들과 주고받은 편지에서도 공산주의 활동과 자신의 글쓰기를 구분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따라서 레싱의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낙원에 뜬 신의 눈」에 구현된 독일 의사들이 보여주는 체제에 대한 종교적 무아지경 상태를 고찰하는 작업은 레싱의 글쓰기 정치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6,000원
        18.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 오류 양상을 살펴서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좀 더 효율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수 있 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논의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해 미얀마인 외국인 유학생들 63명의 작문 과제를 음소, 문법, 어휘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소 관련 오류에서는 파 찰음, 평음과 경음의 대치 오류가 많았으며, 'ㅓ'와 'ㅏ', 'ㅐ'와 'ㅏ', 'ㅐ' 와 'ㅔ'의 대치 오류도 많이 나타났다. 문법 관련 오류에서는 연결어미 ‘-고’와 ‘-아서/어서’의 대치 오류가 가장 많았으며, 어휘 관련 오류에서 는 어휘 의미 혼동, 미얀마어의 영향에 따른 의미 과잉 적용 등의 오류 가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과 같은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대조 분석 관점 에서의 오류 연구가 계속 된다면 미얀마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교육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5,400원
        19.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국인 학습자들의 작문에는 이 연구는 모국어의 간섭, 과잉 일반화 등으로 오류가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오류 중 하나인 구어체의 원인을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들의 작문에서 나타나는 구어체 양상을 분석하였고 그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설문 조사 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작문에서 줄임말과 유행어의 사용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어체는 평소 사용하는 구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의 구어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았 다. 설문 조사 결과 외국인 학습자들은 SNS등 신규 매체를 자주 사용하 여 한국어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매체는 문자 언어를 이용하 더라도 구어를 사용한 문체로 사용되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주며 이것이 작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다양한 매체의 출현으로 구어체와 문어체의 경계가 점점 무너지 고 있는 현시점에서 외국인 학습자의 작문에서 나타난 구어의 양상을 살 펴보고 원인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6,400원
        20.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19년부터 2023년 사이에 있었던 칠레 헌법제정 과정을 국민참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칠레 사회는 2019년 사회적 대폭발을 계기로 헌법을 새로 쓰는 데 합의하였다. 헌법상 기본권 보장을 목표로 헌법제정을 시도하였으나, 두 번의 시도 모두 부결되었다. 남녀동수 제헌 의회 구성, 원주민 대표성 강화, 시민참여 메커니즘 제도화 등 헌법제정 의 절차적 민주성이 높았다. 그러나 정당을 배제한 제헌의회를 구성함으 로써 제헌의원의 전문성이 떨어지고 국민들과의 목표가 불일치하여 국민 들의 요구를 헌법안에 담아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정당대표성과 제정기관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2차 시도를 하였으나 헌법에 인간존엄성 을 담아내지 못했다. 헌법안 작성 기간이 너무 짧았고, 국민의 보편적 요 구와 거리가 먼 보수정당의 가치가 지나치게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짧은 작성 기간과 헌법안 채택 방식은 숙의·심의보다는 속도있는 표결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모든 중요한 정치권력들이 헌법제정 과정에 균형있 게 참여하여 숙의·심의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 다.
        6,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