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또한 충랑은 2018년에 품종등록된 3배체(캠벨얼리×고처) 포도로 신품종 연구가 필요한 품종이다. 연무늬들명나방 (Syllepte pallidinotalis)은 캠벨얼리와 신품종 충랑에서 잎의 가장자리를 말고 그 속에서 잎을 갉아먹는 해충으로 잎에 피해가 관찰되었다. 연중 포도원에서 연무늬들명나방의 밀도는 7월 중순과 9월 하순에 2번의 peak를 보였 다.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2령이 되면 잎을 말고 안에 숨기 때문에 잎을 말은 이후 약제 살포시 잎 안에 잘 뭏지 않아 방제가가 떨어졌다. 특히 생물농약인 비티제를 이용해 방제를 할 경우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에 살포 했을 때 93.5%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5월 하순이나 7월 초순 방제할 경우 73.9, 43.6%로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따라서 잎을 말기 직전인 6월 중순, 8월 하순에 방제를 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 캠벨얼리 재배면적은 4,397ha(32.7%)으로 샤인머스켓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품종이다. 포도 과원에서 보고된 장님노린재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가 있으며, 포도 신초를 가해해 잎 이 자라면서 구멍이 나고, 포도알을 흡즙해 포도알 표피를 코르크화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애무늬고리장님노 린재는 약충은 3~4mm, 성충은 4~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엷은 녹색을 띄고, 다리(설상부) 끝이 검어 초록장님노 린재와 구분된다. 조사지점에서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만 채집되었으며, 나무당 0~4.8마리가 발견되었다. 4월 하순 상대습도 40% 이상이고, 일평균기온이 13℃ 이상 10일 정도 경과하였을 때 알에서 부화해 신초를 가해 하기 시작했다. 5월 하순부터 성충이 되며, 포도원 살충제 살포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였다가 7월 초경에 초목성 식물에서 포도원으로 들어와 새로 나오는 포도 부초를 가해하였다. 방제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무게가 차이가 났는데 잎전개기, 꽃송이분리기, 착과기 3회 방제시 수량감소율이 1%인데 비해 잎전개기에만 방제시 3.5%, 꽃송 이분리기에만 방제시 7.9%, 무처리구에서는 15.6%로 방제 시기에 따라 상품과일 감소량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Carposina sasakii (peach fruit moth) is considered economically important pest in organic jujube orchards. However, until now,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o control C. sasakii. The control period is very important for moth larvae to contact organic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n control using organic materials selected in 2017. In the method, parafin oil selected in 2017 was treated seven times at interval of seven days, and each treatment interval was seven days until 7th treatment. As a result, when the control started at the early to mid July, the control values were about 75%, and when the control started at late July to mid August, the control values were over 85%. However, when the control started after mid August, the control value was less than 30%.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C. sasakii, control must be started by early August.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Contrast enhancement MRA(이하 CE-MRA)를 검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영제가 관심혈관을 지나가는 시기(조영제의 혈관도달/통과시간)를 포착하는 것이다. 대동맥과 같이 검사영역이 넓은 부위를 검사할 때는 검사영역을 여러 단계로 나눠서 검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CE-MRA의 acquisition time은 조영제가 관심혈관을 통과하는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1단계 영역의 동맥상(arterial phase)에 비하여 2단계 영역의 동맥상이 늦어질 수 있다. 따라서 두 검사영역의 동맥상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ulti-Steps CE-MRA 검사 시 동맥상의 차이를 최소화하고자 test bolus와 k-space time to center 개념을 접목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영제를 사용하여 복부 MRI 검사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Multi-steps CE-MRA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동맥궁부터 총장골동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눠서 MRA 검사를 조영 전/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Test bolus scan을 시행하여 관심혈관의 조영제 통과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험으로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time to center를 최소로 적용하여 CE-MRA를 실시하였다. 실험군 실험으로 1단계 영역은 k-space time to center를 최대로 설정하였고 2단계 영역은 최소로 적용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얻은 영상으로부터 venous contamination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1단계 영역과 2단계 영역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K-space timing control method를 사용하므로써 venous contamination이 더 적게 발생하였으며 검사영역 사이의 signal intensity도 더 균일하게 나타났다. 결 론 : K-space timing control method는 multi-steps CE-MRA에서 발생할 수 있는 venous contamination 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이 방법을 활용하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seasonal occurrence of Metcalfe pruinosa (Say) in Chungbuk province and established the optimal control timing. Population densities of nymph and adults were investigated and egg hatching period and oviposition period was examined from three locations (Cheongwon, Jincheon, Eumseong area). Egg hatching period was investigated. The first day of egg hatching observed on May 25, the day of peak egg hatching was on May 29, and the perfect accumulative egg hatching ratio was on Jun. 13. Oviposition period of M. pruinosa female was observed the cut branch (cut within 10 cm length, 1 cm dia.) of oak tree, an althea, and an acacia under stereoscope. The first oviposition was observed at Jul. 28 and continually increased until late-Sept. with sharply increased at mid-Aug. Population density of M. pruinosa nymph was observed the cut branch (cut within 30 cm length, 1 cm dia.) of oak tree, an althea, an acacia, and pear tree. Population density began decreased showing after highest density with 25.3 (Jul. 1). The adult was first appeared at Jul. 11 and showed highest population density with 13.1 (Aug. 4) and then continuously decreased. To control M. pruinosa at pear orchard, optimal control timing for nymph was judged from Jun. 13 to Jul. 2, because of its small size of body and exuviae, low damaging by honeydew producing, low wax materials produced. Second control timing was judged at early Aug., when the adult invading to the pear orchard from near forest and the period before oviposition. The control agents for M. pruinosa were not yet registered, but will be anticipated to register the chemicals such as penitrothion WP, acetamiprid WP, dinotefuran WP, lambda cyhalothrin, thiamethoxam SP in 2012.
        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ccurrences of Rhopalosipnum rufiabdominalis damage in the leaves of Japanese apricots were observed in Hadong, Gyeongnam Province, a major producing area. R. rufiabdominalis occurred from early May to mid October, with the peak occurrence of damaged leaves in mid May. To find proper timing of chemical control against R. rufiabdominalis, acetamiprid WP was sprayed weekly from 3 April, before budbreak, to 8 May in 2007. The best time for control R. rufiabdominalis was on 17 April 2007, at which the leaves were still tender and developing up to 3 to 5 leaves.
        3,000원
        8.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동기화-지속 과제(synchronization-continuation task)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타이밍 제어 특성을 무용 숙련성과 템포의 측면에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국내 직업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 는 무용 숙련자 12명과 비숙련자 12명이다. 실험과제는 각기 다른 템포 조건(60, 120, 180bpm)에서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청각자극에 맞춰 손가락 태핑(finger tapping)을 동기화하는 것과 청각자극 없이 기존 템포를 지속하며 태핑하는 것이다. 청각자극이 제시되는 동기화 과제에서 비동기성의 절대오차는 타이밍 정확성으로, 비동기성의 표준편차는 타이밍 가변성으로 산출하였다. 청각자극이 없는 지속 과제에서는 탭 간 간격(inter-tap interval, ITI)과 목표시간 간 차이를 타이밍 정확성으로, ITI의 표준편차는 타이밍 가변성으로 산출하였다. 결과: 동기화 과제에서 타이밍 정확성은 120bpm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무용 숙련자의 타이밍 가변성은 비숙련자와 비교하여 60bpm, 120bpm 조건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지속 과제에서 나타난 타이밍 가변성은 숙련자가 비숙련자보 다 낮게 나타났으며, 60bpm 조건에서 다른 템포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용 숙 련자는 주기적인 리듬에 맞춰 일관적으로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청각자극 없이 규칙적인 움직임을 생성하고 유 지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오랜 무용훈련 경험이 이러한 능력을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짐작 할 수 있다.
        9.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동작의 연속성과 속도에 따른 내적 타이밍 과제 수행의 정확성과 가변성 차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메트로놈 동기화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n=24)는 동작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정지하는 구간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 연속 동작 집단, 불연속 동작 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할당 되었다. 두 집단의 연구 참여자는 무선으로 제공되는 세 가지(30bpm, 45bpm, 60bpm) 속도 조건의 청각신호에 따라 오른손을 연속 혹은 불연속적으로 돌리면서 목표물과 접촉하는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감각운동 동기화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호작용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을 활용한 4일간의 메트로놈 동기화 훈 련(synchronized metronome training)을 진행하였다. 타이밍 정확성은 시간의 절대오차, 가변성은 시간오차의 변동 계수, 수행 성공률은 15ms 이내의 시간오차로 산출하였다. 결과: 타이밍 정확성과 수행 성공률은 불연속 동작보 다 연속 동작에서, 그리고 동작의 속도가 빠를수록 높게 나타났다. 타이밍 가변성은 연속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동작의 속도와 연속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타이밍 정확성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타이밍 가변성은 속도가 빠를수록 두 집단 모두에서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메트로놈 동기화 훈련 결과 연속 동작 집단의 경우 2일 이상의 훈련이 타이밍 정확성 및 수행 성공률의 향상을 가져왔다. 결론: 내적 타이밍 과제에서 연속적인 동작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이용한 운동제어 및 학 습 전략이 수행의 정확성과 일관성에 효과적이다.
        10.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rtality was tested to organic control materials to the E. maslovskii adults by the dipping method in laboratory. As the result, in 2014, the extracts of Neem Ⅰ was not shown control effect by 10.2% control efficacy to E. maslovskii adults in laboratory. The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 was shown 84.7% mortality. And other 5 materials were shown 100% insecticidal activity to the adults in laboratory. I n 2015,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 and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 were shown 100% and 94.6% control efficacy, respectively. In the Japanese apricot orchards, the fruit damage rate was low on spray at 21th April in Daap, Gwangyang city, and 8th May Hwangjeon, Suncheon city in Jeonnam province in 2014. The fruit damage rate differed from spray timing and materials,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trol of E. maslovskii should be in late April to early May. Otherwise, in 2015, the fruit damage was significantly low in late April spray in Daap, but no significant was in between one spray at 21th, 27th April and 2 spray that days. Meanwhile, the control effect was better 2 times spray of the days in Hwangjeon, Suncheon city in Jeonnam province. Therefore, in organic Japanese apricot, the use of insecticidal materials recommended to control over twice spay in from meddle to late April.
        1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12.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음높이 구조에서 감각정보 형태에 따른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오른손이 우세손인 16명의 연구 대상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리듬 지각 및 타이밍 협응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목표 과제의 타이밍 구조를 지각한 후 동일한 타이밍으로 키보드 자판을 누르는 것이었다. 각 연구 수행자는 세 가지 음높이 조건(단음, 상승음, 하강음)의 네 가지 리듬 구조를 감각정보 조건(단일(청각)감각, 다중(시청각)감각)에 따라 각각 12회씩 총 24회를 무선적으로 수행하였다.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절대적 타이밍 오차와 상대적 타이밍 오차를 분석하였으며, 개인차를 고려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음높이 구조별 타이밍 능력을 절대적 및 상대적 타이밍 오차 기준에서 각각 상대 비교하여 상승음이 우수한 집단(AG)과 하강음이 우수한 집단(DG)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6명의 전체 연구 대상자의 결과를 살펴보면, 절대적 타이밍 오차의 분석에서는 다중감각 조건보다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타이밍 오차 분석에서는 단일감각 조건보다 다중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밍 능력별로 AG와 DG 집단의 비교 분석 결과,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집단은 다중감각 조건에서 수행력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떨어진 집단은 다중감각 조건에서 수행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제한 요소와 개인제한 요소의 성격에 따라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리듬 및 타이밍 과제의 현장 적용에 있어서 과제와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13.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의 목적은 네 가지의 자극속도와 세 가지의 자극제시범위가 예측타이밍 반응시에 일어나는 안구운동의 개시시간, 범위, 기간, 속도, 그리고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예측타이밍의 저변에 있는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제어기전을 연구하는 것이다. 12명의 피험자들이 다양한 자극속도 및 자극제시범위 조건에서 예측타이밍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각 반응마다 항상오차와 절대오차, 그리고 안구운동유형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과제상황에서 측정된 반응의 정확성은 자극속도가 빠를수록, 그리고 자극제시범위가 좁을수록 감소되었다. 하지만 안구운동유형은 자극속도에만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극제시범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자극속도가 빨라질수록 첫 번째 단속성 안구운도의 개시시간은 감소되었으며 크기는 증가되었다. 반응시에 일어난 전체 단속성 안구운동의 평균속도 역시 자극속도가 빠를수록 증가되었으나, 단속성 안구운동의 빈도는 자극속도가 느릴수록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측타이밍 반응시에 일어나는 안구운동의 유형이 주어진 과제상황에서의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위해 제어체계가 선택하는 전략을 반영하며 요구되는 반응의 정확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