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8

        2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alking on a treadmill while using dynamic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ynamic FES) on functional ability and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wa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welve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24 months) who were under grade 3 in dorsiflexor strength with manual muscle test were included and randomized into intervention (Dynamic FES) (n1=7) and control (FES) (n2=5). Both the Dynamic FES group and FES group were given a neuromuscular development treatment. The Dynamic FES group has implemented a total of 60 minutes of exercise treatment and gait training with Dynamic FES application. The FES group, with the addition of applying FES while sitting, has also implemented a total of 90 minutes of gait training on treadmill after the exercise treatment. Both two groups accomplished the program,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4 times in a 12-week period. Exercise treatment, gait training on treadmill, and both Dynamic FES and FES were implemented for 30 minutes each. Korean versio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K-ABC) was measured to determine self-efficacy in balance function. Timed up and go (TUG)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hysical performance. K-ABC, TUG, Berg balance scale (BBS), modified physical performance test (mPPT) and G-walk were evaluated at baseline and at 12 weeks. After 12 week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were apparent in the Dynamic FES group in the changes in K-ABC and BBS. mPPT, TUG, gait speed, stride length and stance phase duration (%) were compared with the FES group. K-ABC had higher correlation to BBS, along with mPPT to TUG. Our results suggest that walking with Dynamic F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their balance confidence, functional ability and gait.
        4,200원
        2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6개월 이내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와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하루 20분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울프운동기능평가(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Fugl-Meyer Assessment (FMA)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1) 4주간의 중재 후,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FMA와 WMFT의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MBI 평가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개인활동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2)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FMA의 손목 움직임 항목과 WMFT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또한 MBI 전체 점수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은 없었지만 개인활동 항목에서만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두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회복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인 치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2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측 상지 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 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에 비해 뇌 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900원
        24.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elf-stretching and functional massage on the recovery of muscle contraction force for muscle fatigue caused by sustained isotonic cont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healthy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group(n=15), self-stretching group(n=15) and functional massage group(n=15), and using Primus RS. We observed the pattern of changes in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force(MVIC) after causing muscle fatigue in quadriceps femoris muscle through sustained isotonic contraction.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force(MVIC) were greatly increased afte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elf-stretching and functional massage. In the comparison of recovery rate of muscle contraction force for muscle fatigue caused by sustained isotonic contraction among the treatment groups,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it showed that each treatment may be effective in recovery of muscle fatigue caused by sustained isotonic contraction.
        4,000원
        2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경색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를 운동자극군과 감각자극군으로 나누어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하였을 때에 각각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두 치료간의 효과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경색으로 연하장애가 발생하였고, 전기 자극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의사표현이 가능한 사람 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기자극치료는 1일 1회, 30분 동안, 일주일에 5회, 4주간 실시하였으며 전기자극치료 전에 운동 자극군과 감각자극군 모두에게 구강운동치료를 30분씩 적용하였다. 전기자극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기자극 치료 전과 4주 간의 치료 후에 비디오투시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침습-흡인 척도, 미국언어청 각협회 연하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치료 전에 두군 사이에서 삼킴 기능에는 차이가 없었고(p>.05), 4주간의 전기자극치료 후에 두군 모두에 서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의 인두기 총점,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 척도에서 삼킴 기능의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p<.05), 삼킴 후 잔여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침습-흡인 척도는 운동자극군은 연식에서만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나(p<.05), 감각자극군에서는 모든 검사식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자극 강도에 따른 치료 효과를 비 교하였을 때에는 두군 사이에 삼킴 기능의 향상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연하장애의 치료를 위한 전기자극치료 시에 감각자극만으로도 삼킴 기능의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감각자극이 침습과 흡인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전기 자극 강도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800원
        2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회귀분석 을 통해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중재방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15명 의 실험군은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하였고, 13명의 대조군Ⅰ은 기능적 전기자극만을 실시하였으며, 11명의 대조군Ⅱ는 과제훈련만을 실시하였다. 6주 후에 분산분석을 통해 세 그룹 간에 손의 근력과 상지의 기능, 운동 활동 지표와 일상생활활동에서 평균변화량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결과에서 상지기능의 향상에 대한 잠재적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상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손의 근력과 상지 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서 나타난 각 요소들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변수간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는 근력(R2 = .17), 모형 2에서는 움직임의 질(R2 = .28), 모형 3에서는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 중재법(R2 = .37)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운동 활동 지표 중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에서 실시한 중재 방법이 상지 기능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Ⅰ,Ⅱ보다 손의 근력과 상지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움직임의 질과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과제훈련 적용이 작업치료사에 의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800원
        2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forced vital capacity and alternating motion rat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is study divided 20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into two group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group had 20min per day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treatmen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is study measured forced vital capacity and alternate motion rate(/peo/,/teo/) for all children. Forced vital capac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or the group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p<.05)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crease(p>.05). Alternate motion rat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for the group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p<.05)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crease(p>.05). This result shows tha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ffected the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o have decreased breathing and phonation capability.
        4,000원
        28.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ait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improvement of hemiplegic patients' functions for balance and gait velocity.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determined to be 10 each hemiplegic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troke or brain damage six months or longer earlier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the experiment using Tetrax and 10M gait tests, received gait training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were evaluate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same method as used in the evaluation before the experiment.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gait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he control group that was treated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received gait training thereafter,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differences in changes after the experi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s in order to compare the two groups with each othe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bearing, balance and gait veloc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weight bearing and gait veloc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p>.05), bal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5). Weight bearing, balance and gait velocity change ra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In conclusion, it was indicated that gait training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s effective for enhancing stroke patients' weight bearing rates, balance abilities and gait velocity.
        4,000원
        2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edle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NEES) on ischemia-induced cere˗ brovascular accidents. After obstruction and reperfusion of arteries in white mice, the amounts of necrosis and inflammation related sub˗ stances Bax, IL-6, Caspase-3, and COX-2 were measured in neurons of the fore-brai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is study used 21 male specific pathogen free(SPF) SD rats, 8 weeks of age and approximately 300g in weight. Each exposed artery was completely occluded with non-absorbent suture thread and kept in that state for 5 minutes. The sutures were then removed to allow reperfusion of blood. Test group is control group(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models), a GI(underwent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and NEES(underwent NEES after artery occlusion). The GI and NEES groups were given 12, 24, or 48 hours of reperfusion before NEES. NEES device(PG6, ITO, Japan, 9V, current, 2Hz) was used to stimulate the bilateral acupoint ST36 of the SD rats for 30 minutes while they were sedated with 3% isoflurane. An immuno-his˗ tochemistry test was done on the forebrains of the GI induced rats. Both Bax and Caspase-3 immuno-reactive cells, related to apoptosis, were greater in the GI than the NEES group. Cox-2 and IL-6 immuno-reactive cells, related to inflammation, were greater in the GI and NEES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We can expect that applying NEES after ischemic CVA is effective for preventing brain cells from being destroyed. And we can conclude NEES should be applyed on early stage of ischemic CVA.
        4,000원
        32.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발생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목근육에 표면 전극을 이용한 전기 자극 치료가 삼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사람으로서 삼킴 장애가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확인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회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삼 킴 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고, 그 후 전기 자극 치료를 하루 1시간, 일주일에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주 통제 기간 전후와 전기 자극 치료 2주후, 전기 자 극 치료 4주 후에 비디오투시검사를 실시하여 각 대상자별 4회의 검사가 실시되었다. 녹화된 동영상을 바탕으 로 연하 곤란 척도와 인두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통제기간동안 삼킴 기능의 변화가 없었지만(p>.05), 2주간의 전기 자극 치료 후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4주 전기 자극 치료 후에도 2주 전기 자극 치료 후보다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 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인두통과시간은 2주 치료 후, 4주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변하지 않았다(p>.05). 삼 킴 후 인두기의 잔여물은 양배꼴동, 후두개곡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2주 기간 동안 삼킴 기능의 자연 회복을 보이지 않았고 전기 자극 치료 후에 유의 한 기능 향상을 보여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대상자들은 2주 전기 자극치료에서 뿐만 아니라 4주 치료 후에도 계속적인 기능 상승을 보였는데 앞으로는 본 연구보다 장기적인 치료의 효과와 이의 지속여부를 확 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두통과시간은 삼킴 기능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지 못하였으 므로 인두 통과 시간만을 측정하는 삼킴 기능의 평가는 추후 연구에서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3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학적으로 더 이상의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 18명을 대상하였다. 편마비측에 4주 동안 전기자극 치료의 적용 없이 기능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이후 4주간은 전기자극 치료를 1회 20분, 1일 1회, 주 5일간 마비측 상지에 적용하여 기능의 변화, 동작을 분석하였다. 전기자극은 수지의 파악, 주관절의 굴곡, 주관절의 신전, 수지의 이완 등의 순서로 식사동작을 모방하여 작동되도록 조작하였다. 상지의 기능회복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지 근력, 상지의 근력 측정과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및 지각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정량 분석을 위하여 삼차원 동작 분석기(CMS10 measuring system)를 이용하여 상지의 동작을 분석하였다. 결과 : 전기자극을 적용하기 전에서는 편마비측 수지 및 상지의 근력과 Fugl-Meyer 운동기능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기능적 전기자극을 적용한 경우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에 편마비측 견관절과 주관절의 굴곡, 완관절의 신전 근력이 증가하였으며, 수지 근력, Fugl-Meyer 운동기능 평가에서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다(p<.05). 삼차원 동작 분석기를 이용한 상지 기능의 평가에서 회내-회외운동 동작에서 진폭과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가 보였으며,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검지 두드리기와 손바닥 두드리기 동작에서는 진동수의 유의한 증가와 변이도의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다(p<.05). 결론 : 발병 후 12개월 이상이 경과된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마비측 상지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는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4,200원
        35.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손가락 폄근에 실시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EMG-stim군과 대조군에 각각 10 명씩 배정하였다. EMG-stim 군은 하루에 30분씩 2회, 주 5일, 10주 동안 (총 100회) 손가락 폄근에 EMG-stim 치료를 실시하였다. 반면, 대조군에게는 어떠한 치료도 실시하지 않았다. 손 기능을 검사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에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를 EMG-stim군과 대조군 모두 실시하였다. 결과 : 치료 전·후 EMG-stim군은 적분 EMG, 관절 운동 범위, 퍼듀 페그보드 검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 간 비교에서 EMG-stim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종속 변수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장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실시한 EMG-stim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4,000원
        38.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위관을 한 뇌졸중환자의 연하장애 치료에 대한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와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비위관을 통하여 영양섭취를 하고 있는 뇌졸중환자 중 연하장애가 있는 3명의 환자였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방법 중 대상자 간 다중기초선을 이용한 교차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치료는 혀 운동, 삼키기 법, 머리 및 목 자세 프로그램, 감각 자극, 음식물 조절을 포함하는 30분간의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그리고 전통적인 치료와 VitalStim을 이용한 30분간의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방법이 었으며, 이를 무작위 순서로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하루에 각 1회씩 기초선을 포함하여 총 14 회기 시행하였다. 각 치료 회기마다 Mann연하기능척도를 사용하여 각 대상자의 연하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치료 기간 전후에 비디오 투시검사와 연하장애 결과 및 중증도 평가척도를 통해 연하기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MASA의 평균 점수는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 그리고 전통적인 방법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경우에서 모두 기초선 과정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치료 방법 간에 차이는 없었다. DOSS 점수는 치료 기간 전에 비해 치료 기간 후에 더 증가되었다. 결론 : 비위관을 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치료에 있어서 전통적인 연하재활치료와 전기자극치료는 연하 능력과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두 치료 방법 간의 효과 차이는 결론내릴 수 없었다. 향후에는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시키고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9.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가진 환자에서 전기자극 치료가 연하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가진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5일 동안 1일 40분씩 두채널용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연하치료를 실시하였다. 1번 채널의 전극은 악이복근과 설골사이, 설골과 갑상 윤골 사이에 각각 부착시키고, 2번 채널은 갑상연골과 윤상연골 사이, 윤상연골 하방에 각각 부착 하였다. 반고형 식이를 이용하여 비디오투시검사를 치료전후에 두 번 시행하여 연하기능점수를 측정하였고 임상적으로 식이단계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과 : 임상적으로 식이단계의 수준 평가상 전기치료 후 타액조절단계에서 영양죽 섭취수준으로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비디오 투시검사상 인두기 삼킴단계의 후두거상과 후두개 폐쇄, 후두계곡과 양배꼴동의 잔여정도, 후두통과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결론 : 전기자극 치료는 뇌졸중 후 연하장애를 갖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 치료의 명확한 역할을 규명하기위해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성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40.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velopment of neonatal neuromuscular system is accomplished by the 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spinal neurons and its target cells, skeletal muscle cells, an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ffecting this proc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spension unloading (SU)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upon the development of the neonatal spinal cord. For this study, the neonatal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I, and an experimental group II. The SU for experimental group I and II was applied from postnatal day (PD) 5 to PD 30, and the NMES for experimental group II was applied from PD 16 to PD 30 using NMES that gave isometric contraction with 10 Hz for 30 minutes twice a day.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SU and NMES, this study observed neutrophin-3 (NT-3) and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2 (MAP2) immunoreactivity in the lumbar spinal cord (L4-5) at the PD 15 and PD 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PD 15, lumbar spinal cord of experimental group I and II had significantly lower NT-3 and MAP2 immunoreactivity than control group. It proved that a microgravity condition restricted the spinal development. At PD 30, lumbar spinal cord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I had significantly higher NT-3 and MAP2 immunoreactivity than experimental group I. It proved that the NMES facilitated the spinal development by spinal cord-skeletal muscle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ght bearing during the neonatal developmental period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uromuscular development. Also, the NMES on its target skeletal muscle can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he spinal cord system with a full supplementation of the effect of weight bearing,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neonatal developmental process.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