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제주지역의 인구 구조 변화와 노동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년 연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정년연장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쟁점 사항들을 분석하며, 향후 제주특별자치 도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 방향과 실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제주지역 고령자의 높은 경제 활동 참여 의향, 생산연령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 심화, 낮은 임금 수준과 노후 준비 부족 문제, 숙련 노동력 유출 등의 현실을 바탕으로 정년연장의 당위성을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강조한다. 또한, 청년 일자리와의 관계, 은퇴 연령과 국민연금 수령 기간의 괴리, 연공급제 임금체계의 재정 부담, 정년연장의 법적 보장 필요성 등 쟁점 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단계적이고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하는 정년연장 정책 추진 방안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Membrane-Aerated Biofilm Reactor(MABR)는 하수처리 공정의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의 기포형 산기 시스템은 산소전달효율(OTE)이 낮고 전체 에너지 소비의 80%까지 차지하는 등 에너지 비효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 MABR은 기체 투과성 막(membrane)을 통해 생물막으로 산소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이론적으로 100%까지 OTE 달성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MABR의 산소전달 메커니즘과 구조적 특징을 정리하고, OTE, 산소전달속도(OTR), 폭기 효율(AE) 등의 에너지 효율 지표를 중심으로 파일럿 및 실규모 적용 사례 11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E는 기존 활성슬러지 공정 대비 약 4-5배 향상된 수치이다. 그러나 OTE와 OTR 간의 상충관계, 공정 규모, 기질 농도 등 다양한 운영 변수에 따라 성능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에서는 이론적 효율을 하회하는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접근으로는 간헐 공기 공급, 주기적 환기, 막 소재 개선, 막 이완 제어 등이 시도되고 있다. 동시에, 실증 연구들 간 실험 조건 및 효율 지표 산정 기준의 상이함은 결과 해석의 일관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MABR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에너지 효율 평가 기준의 표준화와 대규모 현장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atmosphere, REDD+ is a representative nature- based c limate s olution. The i nternational c ommunity r ecognizes that the RED D+ program is the most cost-effective way to mitigate climate change. Furthermore, REDD+ can achieve the net zero target. Private corporations aiming to achieve the net zero target pay attention to REDD+ proj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of the REDD+ mechanism as one of key strategies for private corporations to achieve the net zero target and to propose new strategies for corporations to realize the net zero target. By participating in the REDD+ project, private corporations can create social benefits such as carbon emission reduction and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By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efforts to address the climate crisis, individual corporations can generate additional revenue by selling verified carbon credits in the voluntary carbon market. However, the fact that the project is carried out over a long period and must comply with stringent implementation rules can act as a barrier to participate in REDD+ projects. Investment in the climate sector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ESG trend.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improved transparency in the carbon market are being achieved, which may operate as an incentive for private corporations to take the REDD+ project into account for their strategies to achieve the net zero targe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emergency patient triage, core competencies,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and self-efficacy in disaster response.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5) participated in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incorporated the KTAS, whereas the control group (n=27) did not receive any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Results: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both competency in emergency patient triage (t=3.47, p=.001)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t=2.51, p=.015).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KTAS, a tool currently employed in clinical practice, rather than theory-based instruction alone, contributed to enhancing nursing students’ practical competencies. Such training can improve the emergency patient triage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required in emergency situations, ultimately enabling future nurses to better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individuals affected by disasters.
본 연구는 가정 내에서 부모가 자녀 금융교육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 적 근거를 탐색하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가족 금융사회화 이론은 자녀의 금융 가치관과 행동 형성에 있어 부모의 역할을 설명하는 데 유 용하지만,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의 금융역 량 향상 기관인 자금연금청(Money and Pensions Service)이 개발한 ‘TLD(Talk – Learn – Do)’ 프로그램에 주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부모가 자녀에게 실질적인 금융 경험 을 제공하고, 일상에서 금융교육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특히 ‘어릴 때 적은 돈을 스스로 관리하고 실수해 보는 경험이 성인이 되어 더 큰 금융 실패를 줄일 수 있다’는 핵심 철학은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자녀의 자율성과 책임을 기르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TLD 프로그램의 구조, 실행 사례, 시사점, 교육 효과를 분석 함으로써 국내 자녀 금융교육에 적용할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Given the hazards posed by black ice,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that contribute to its formation. Two ensemble machinelearning algorithms, Random Forest (RF)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were employed to forecast the occurrence of black ice using atmospheric data. Additionally,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cluding Feature Importance (FI) and partial dependence Plot (PDP), were utilized to identify atmospheric conditions that significantly increase the likelihood of black ice formation. The machinelearning algorithms achieved a forecasting accuracy of 90%, demonstrating reliable performance. FI analysis revealed distinct key predictors between the algorithms: relative humidity was the most critical for RF, whereas wind speed was paramount for XGBoost. The PDP analysis identified the specific atmospheric conditions under which black ice was likely to form.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insights into the atmospheric precursors of frost/fog-induced black ice formation. These findings enable road managers to implement proactive winter road maintenance strategies, such as optimizing anti-icing patrol routes and displaying warnings on various message signs, thereby enhancing road safety.
본 연구는 착취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그 작용 메커니즘을 위험 감소이론을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경쟁적이고 역동적인 조직 환경 속에서 착취적 리더십의 부정적 영향 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연구는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협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 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정적 적하효과 관점에서 착취적 리더십이 동료신뢰를 매개로 하여 구성원의 과업 중심 도움행동과 사람중심 도움행동을 감소시키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 특 성인 과업 상호의존성이 이러한 부정적 매개효과를 강화하는 상황적 조건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는 정규직 구성원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 석 결과, 착취적 리더십은 동료신뢰를 저하시켜 구성원의 도움행동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사 람중심 도움행동에서 더 강한 부정적 영향을 보였다. 또한 과업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동료신뢰를 통한 착취적 리더십의 부적 매개효과가 더욱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부정적 적하효과 관점에서 착취적 리더십 이 개인 수준을 넘어 동료 관계와 협력적 행동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 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으로는 착취적 리더십 억제와 동료신뢰 강화를 위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 예방을 위한 통합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2024 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총 20명의 여 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치매예방 교육, 공예치료, 원예치료, 손뜨개치료, 놀이·노래치료 등의 프로 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지 기능 변화(CIST), 노인우울척 도(SGDS), 주관적 기억감퇴 척도(SMCQ)를 활용한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참여자의 반응과 경험은 면담을 통해 참 고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들의 인지 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우울감이 감소하고, 기억력 저하가 완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일부 참여자 들은 배운 내용을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모습 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인지 기능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 조한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and experiences with infection control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employ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19 nurses working in the ED of three gener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ly 1, 2024, to August 30, 2024. Fou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group consisting of 4~5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pproximately 80 minutes per group. The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immediately afterwar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67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interviews. Five main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 analysis. 1) Limited information with “Limited information at the entrance of the ED” and “Challenges in sharing information”; 2) The gap between guidelines and reality with “Difficulty in adhering to guidelines due to a shortage of isolation rooms”, “Underestimating protective isolation”, “Skepticism due to practical limitations” and, “The need for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to fit ED circumstances”; 3) Application of guidelines that deviated from the principles with “Different nursing practice based on visual judgment”, “Guidelines that were overlooked in emergency situations” and, “Justifying the avoidance of tedious work by claiming to help prevent infection”; 4) Insensitivity to infection with “Performing only pretended infection control”,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protective equipment”, and “Being became insensitive to infection”; and 5) The need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ection control with “Interpreting the same guideline differently by individuals”, “The need for support from senior nurses to comply with the guidelines”, and “The need for practical training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the ED”. Conclusion: ED nurses faced challenges in complying with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in the ED. These challenges were attributed to a combination of physical, structural, and personal factors. A unique feature of this study is its emphasis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ection control. To improve compliance with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mong emergency nurses, it is imperative to improve their physical and structural environment and provide regular practical training. This approach aims to foster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places a strong emphasis on infection control.
본 연구는 북한에서 수인목판화가 사회주의 민족미술로 발전하게 된 배경과 그 주요 특징 을 고찰하였다. 2017년 수인목판화기법이 북한의 국가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이후, 수 인목판화는 여전히 북한 미술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수인목 판화가 대두하게 된 배경을 두 가지 주요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950년대 말 북 한 미술계에서 동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조선화를 민족적 양식으로 재발견하였고,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한 수인목판화의 기법을 도입하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60년대 중반 북ㆍ중 외교갈등 속에서 북한은 민족주의를 강화하고, 주체미술론을 바탕으 로 출판미술에서도 조선화화법의 도입을 요구했다. 둘째, 1991년 김정일의 「미술론」 발표 이후 북한 미술계는 수인목판화를 민족판화로 주목하며 그 민족적 독자성을 강조했다. 본 연 구는 또한 북한 수인목판화의 주요 소재를 체제선전, 전통풍속, 자연풍경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우선, 북한 수인목판화는 여성 이미지와 자연풍경을 통한 체제선전과 인민 의 정신함양을 도모하는 점에서 중국 수인목판화와 유사한 측면이 발견된다. 특히 북한 수인 목판화와 중국 수인목판화가 각각 조선화와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수묵의 농담과 담채의 처리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한편, 전통 민속놀이를 즐기는 북한 민중들의 생활상을 묘사한 작품들은 북한 당국의 민족체육 정책과 관련이 있는데, 수묵과 색조의 농담 보다는 먹선으로 윤곽을 잡고 수성안료로 색을 표현한 북한 초기 배운성의 수인목판화 특징 이 엿보인다. 북한의 수인목판화는 북한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하는 대표적 시각예술로, 민족 주의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안여객선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사고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일반 적으로 여객선 사고는 세월호·서해훼리호 사고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인명·재산·해양환경 등에 막대한 피해는 물론 재난으로 확대되는 경 향이 있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연안여객선 안전관리에 있어서 최대의 난제는 세월호 사고에서도 드러났듯 이 선박의 노후화와 선원의 열악한 근무환경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이차보전사업, 선박현대화 펀드, 보조항로 준공영제 도입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제대로 실현되지 않고 있다. 이는 대다수 선사가 영세하고, 해상의 대중교통이 정책적 우선순위에서 육상 의 대중교통에 비해 소외되어 선체 노후화 심화, 여객 수요 감소, 선사의 재정 악화, 여객과 안전에 대한 재투자 감소, 다시 여건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연안여객선 안전관리 현황 및 운영실태, 사고 현황 및 사례, 선원의 현황 및 실태, 국내 외 연안여객선 운영 사례, 연안여객선 종사자의 설문조사 및 인터뷰 등을 토대로 연안여객선의 공영제 실시, 여객선 안전관리 해양경찰청 으로 일원화 등의 연안여객선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Background/Ai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lbumin-bilirubin (ALBI) grade and advanced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gallstone disease and cholecystectomy, focusing on those diagnosed with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MASH) using the acMASH algorithm. Methods: Data from 566 subjects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2020 dataset were analyzed. MASH and advanced fibrosis (AF) were determined using acMASH and acFibroMASH algorithms, respectively. Liver stiffness measurement (LSM), ALBI grade, and other fibrosis indices were evaluated. Results: Of 566 subjects, 13 (2.3%) were diagnosed with MASH, and 65 (11.48%) had AF. MASH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SM values compared to non-MASH subjects (p=0.032). ALBI grade demonstrated weak positive correlations with LSM, FIB- 4, and acFibroMASH in non-MASH subjects. The AUROC for ALBI grade in identifying AF was 0.631 (95% CI 0.590-0.671). Multivariate analysis confirmed ALBI grade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F (odds ratio 0.193, 95% CI 0.1025-0.2837, p<0.001). Conclusions: ALBI grade shows potential as a non-invasive marker for advanced liver fibrosi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gallstone disease and cholecystectomy, particularly in those with MASH. Further studies with larger MASH cohorts are need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achine translation (MT) use on the writing performance of Korean EFL students, focusing o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CAF). Six participants completed a series of writing tasks in which they first translated their L1 writing into L2 manually and then used MT to revise their L2 drafts. This process was repeated across ten different writing topics. Participants’ drafts were analyzed using CAF measures to assess MT’s impact on their writing performance and observe changes over tasks. The results show that MT significantly improved accuracy and fluency. However, gains in syntactic and lexical complexity were less evident. While group-level analysis showed consistent progress, individual trajectories varied widely, indicating diverse patterns of development.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MT enhances writing accuracy and fluency among Korean EFL students, although its impact on syntactic and lexical complexity is limi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T can serve as a valuable tool for self-directed learning, helping students independently improve their writing accuracy and fluency and develop essential self-editing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MT as a supplementary tool to support EFL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along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최근 과학 교육 분야에서는 체화된 인지 혹은 인지의 체화성 또는 신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여러 과학 분야 중에서도 지구과학은 체화된 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구과학 교육에 서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질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탐구를 중심으로 지구과학적 실행의 체화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체화된 인지와 지구과학적 실행에 관한 문헌들을 고찰하고, 그 내용을 ‘지각하기, 상상하기, 표상하기’라는 현장 기반의 지질학 탐구의 세 단계에 따라 제시하 였다. 지질학 탐구 현장에서 지각하기는 몸의 여러 가지 지각 활동을 토대로 탐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창출하는 과정 이다. 상상하기 과정에서는 신체적 경험이 상상의 내용을 제공하며 신체적 제약이 몸의 한계를 뛰어넘는 상상을 유발한 다는 점에서 체화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상하기는 몸을 사용하여 지질학적 탐구 대상의 특징이나 과정을 재현하는 과정으로서, 지질학 탐구의 체화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지구과학적 실행의 체화성에 관한 이러한 고찰이 지구과학 교 육에 시사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발화형식의 연구는 발화자가 전제되어야 하며, 작가가 이름을 불러주어야 발화자 를 특정할 수 있다. 연의라는 특성상 작가의 서사의도가 투영되지 않은 인물들의 이 름엔 그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고찰 결과 비록 실명이지만 다양한 호명 방식의 심층에는 서사전략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었다. ‘디지털 통계 도구’인 엑셀로 8, 892개에 달하는 발화를 계량화하여 발화자 호명의 규칙성과 불규칙성이라 는 서사의도를 읽을 수 있었다. 조조의 사례와 같은 상징적 폄하의 서사전략 그리고 ‘여성’과 ‘작은 사람’들에게 압도적으로 ‘其’를 많이 사용한 차별적 서사기법 등은 객 관적 수치에 의한 데이터 분석이 아니었으면 발견하지 못했을 것이다. 문학분석에 디지털 방식의 객관적 데이터를 가미한 이번 연구의 방법론과 그 결과가 문학 탐구 영역의 확장이라는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30대 성인이 어린 시절 학대를 받았음에도 건강하게 성장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학대를 회복한 과정, 여기에 영향을 준 맥락,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이고, 자료수집은 성장기에 학대를 경험한 30대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초기코딩에서는 54개의 범주와 초점 코딩에서는 21개의 범주가 출현하였다. 이론적 코딩에서는 8개의 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아동학대 이후의 삶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 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한 논의로, 첫째, 아동학대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학대 피해자들이 스스로 회복 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학대 피해자들이 스스로 삶을 사랑할 것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제언으로는, 첫째, 학대 피해아동들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자원을 결집, 활용할 것과, 둘째, 세상에 대한 신 뢰회복을 핵심으로 하는 영성기반 치료접근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을 중심 으로 학대 피해아동들의 자기사랑 능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신설 등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2005년~2024년 6월까지의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교정 상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129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째, 2012년 이후 점진적으로 교정 상담 연구가 증가하였고, 특히 교정 본부 ‘심리치료과’ 신설 이후 2배가량 급증하였으며 아시아교정포럼(36편, 27.91%)과 한국교정학회(13 편, 10.08%) 등에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는 점에서 교정 상담의 특수성을 기반 으로 상담학 측면보다는 교정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은 수용자가 92편(71.32%)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반면 수용자의 심리적 측면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변 환경, 특히 수용자 가족에 관한 연구는 1편 (0.78%)에 그쳤다. 셋째, 교정 연구의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58편(44.96%), 질 적연구가 15편(11.63%)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정 연구의 주제는 교정 상담이 42 편(32.56%), 개인 심리・정서 및 성격 특성 연구가 16편(12.40%)으로 나타났으며, 교 정 상담 연구에 있어 상담 이론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23편(17.83%)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에서 바라보는 교정의 정의, 즉 광 의의 정의를 기반으로 새로운 교정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정 상담 연 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정 상담이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밝히고, 교정 상담의 방향성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후속 연구의 향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