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극동 퉁구스족 남부 그룹과 고아시아계 닙흐족을 중심으 로 해신의 용어, 형상 및 역할, 해신의 계층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다. 극동 토 착종족의 해신을 가리키는 용어에는 무에, 테무, 타이훌진이 있다. 무에는 해 신보다는 보편적, 총체적 물신에 가깝고 퉁구스족 북부 그룹의 에벤족과 에벤 키족에게서만 발견되는 국부적 관념이다. 테무는 네기달족과 퉁구스족 남부 그룹 사이에 두루 전파되어 있는 퉁구스족 남부 그룹의 기층 어휘이며 타이 훌진은 닙흐족 기원의 관념으로 닙흐족과 일부 네기달족, 오로치족, 오로크족 사이에 전파되어 있다. 극동 토착종족 해신의 형상은 토테미즘이 샤머니즘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동물 → 반인반수, 반인반어 → 여성 → 여성과 남성의 공 존 → 부부 → 남성해신의 단계를 거쳤다. 극동의 여성해신은 노파(할미)이며 사람들의 어로와 바다동물 사냥을 도와준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개양할미와 연결이 가능하다. 남성해신은 노인(백발)이며, 외모는 토착종족과 비슷하고, 거구이며, 혼인을 하여 아내와 함께 살고 있고, 하위의 다양한 신들과 수직 위계 구조 속에 놓여있다. 해신이 남성해신이 변형된 뒤 물의 세계는 남성 형 상의 해령 나무 에제니가 다스리는 바다의 세계와 여성 형상의 강령 숙쟈 에 제니가 다스리는 강의 세계로 나누어졌고 해신은 이 두 세계를 경계 짓고 통 합하면서 물 세계의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극동 토착종족에 게 해신은 가족과 씨족의 보호신, 자연생태계의 보존자, 해신제의 기원과 규 율을 정착시킨 존재이므로 이들에게 해신은 단순한 종교적 숭배 대상이 아니 라 자연철학, 생태윤리를 전해준 존재이다. 주제어: 극동 토착종족, 해신, 테무, 타이훌진, 나무 에제니, 숙쟈 에제니.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edrock aquifer bacterial communities and their functions in deep geological repository (DGR) environment. Two study sites of uranium deposits in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were selected: Boeun and Guemsan. From two study sites, six groundwater samples were obtained with different boreholes and depths: OB1 (Boeun, 25 m), OB3 (Boeun, 80 m), GS1 (Guemsan, 25 m), GS2 (Guemsan, 85-90 m), GS3-I (Guemsan, 32- 38 m), GS3-II (Guemsan, 70-74 m).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water were analyzed by multi-parameter sensors, ion chromatography (IC),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ICP-OES). Illumina Miseq sequencing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acterial community in six groundwater samples. In addition, the number of sulfate-reducing bacteria (SRB) was quantified by a quantitative PCR (qPCR).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varied in response to boreholes and depths. A total of 14 different phyla and 36 classes were detected from six groundwater samples. Overall, Proteobacteria, Actinomycetota, and Bacteroidota were dominant in the phylum level. SRB and iron-reducing bacteria (IRB) were detected in all groundwater samples even though organic carbon sources were not abundant (0.7-3.3 mg-total organic carbon/L). This result shows a potential to immobilize uranium in DGR environment. In particular, SRB, Desulfosporosinus fructosivorans and Humidesulfovibrio mexicanus were mainly detected in GS1 and GS2 groundwater samples, which attributed to higher dissimilatory sulfite reductase functional gene copy number in GS1 and GS2 groundwater sampl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ore bacterial species. Dissolved oxygen (DO), Fe, and Mn concentr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rvibacter fontanus while Undibacterium rivi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cterial community could be changed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variation. Further study with a greater number of samples is necessary to obtain statistically reliable and meaningful results for a safe DGR system.
국립생물자원관은 2010년부터 우리나라 생물종을 대상으로 IUCN 적색목록 범주에 따른 종 평가를 실시하여 국가생물적색자료집을 발간하여 왔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관속식물, 척추동물, 무척추동물 등 주요 분류군 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여 총 10권의 자료집을 발간하였고, 2019년부터는 기존 평가 종을 대상으로 재평가를 실시 하여 지금까지 총 9권의 자료집을 재발간하였으며, 내년에 거미류 자료집 발간으로 재평가를 마무리할 예정이 다. 현재까지 총 4,353종에 대한 IUCN 적색목록 범주에 따른 평가를 완료하였으나 이는 전체 자생생물종 58,050 종 대비 약 7.5%에 불과하다. 따라서, 2024년부터는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신규 분류군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2019년부터는 IUCN 적색목록팀과 함께 우리나라 고유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IUCN 적색목 록에 등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총 150종의 고유종을 IUCN 적색목록 사이트에 등재를 완료하고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국내 천적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토착천적을 개발하여야 한다. 토착천적들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설재배 지 내에 다양한 비작물성 식물들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의 종류가 많으면 이에 서식하는 기주곤충이 늘어나고 그 곤충들의 토착천적들이 증가한다. 이러한 시설재배지내에 식물 종다양성 확보를 위하여 재배작물 사이의 공간에 경합되지 않는 곳에는 다양한 잡초를 증식하거나 새로운 천적유지 식물을 개발하여 다양한 기주 곤충을 증식시켜야 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리를 이용한 콜레마니진딧벌 천적유지식물이 개발되었지만, 그 외에도 담배, 천사의나팔 김장배추, 쑥, 소리쟁이, 냉이 등 다양한 천적유지식물들을 개발할 수 있다. 즉, 토착천적을 개발하기 위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된 작물재배환경을 유지하는게 필요하고 이러한 안정 된 생태계 속에서 효과적인 천적을 통한 해충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동아시아는 국제사회에서 경제, 군사, 정치, 사회 등 다 영역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동아시아 기독교 신학은 21세기에도 서구 신학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연구자는 동아시아 기독교 신학이 글로벌 신학으로써 21세기 기독교 신학과 신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민하였고, 아모스 용의 성령신학에서 대안을 찾아보았다. 기독교윤리 중심으로 발전한 신학은 신자의 삶을 변화시키는데 부정적 평가를 받기 때문에, 기독교 신학의 실천성은 21세기 선교신학의 가장 큰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용은 오순절 관점에서 기독교 신학을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삶의 모든 영역과 요소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발견하고자 노력하였다. 그가 제시한 성령신학은 영이신 하나님의 삼위일체론으로부터 보편적 포용주의를 극복하려는 시도이며, 비 서구의 문화와 언어 그리고 종교를 포용한다. 성령신학은 토착문화에서도 기독교 신학을 건설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려 한다.
Bacterial metabolisms influence the behavior of uranium (U) in deep geological repository (DGR) system because bacteria are ubiquitous in the natural environment. Nevertheless, most studies for the U(VI) bioreduction have focused on a few model bacterium, such as Shewanella putrefaciens, Desulfovibrio desulfuricans, and Geobacter sulfurreducens.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aqueous U(VI) ((U(VI)aq) reduction by indigenous bacteria was examin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with addition of 20 mM sodium acetate for 24 weeks. Three different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ies obtained from granitic groundwater at depths of 44–60 m (S1), 92–116 m (S2), and 234–244 m (S3) were applied for U(VI)aq reduction experiments. The S2 groundwater contained the highest U concentration of 885.4 μg/L among three groundwater samples, where U mainly existed in the form of Ca2UO2(CO3)3(aq). The S2 groundwater amended 20 mM of sodium acetate was used for the U(VI)aq bioreduction experiment. Variations in the U(VI)aq concentration and redox potential were monitored for 24 weeks to compare U(VI)aq removal efficiency in response to indigenous bacteria. The U(VI)aq removal efficiencies varied among three indigenous bacteria: 57.8% (S3), 43.1% (S2), and 37.7% (S1). The presence of the thermodynamically stable uranyl carbonate complex resulted in the incomplete U(VI)aq removal. Significant shifts in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ies were observed through highthroughput 16S rRNA gene sequencing analysis. Two SRB species, Thermodesulfovibrio yellowstonii and Desulfatirhabdium butyrativorans, were dominant in the S3 sample after the anaerobic reaction, which enhanced the bioreduction of U(VI)aq. The precipitates produced by bacterial activity were determined to be U(IV)-silicate nanoparticles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energy dispersive spectroscope (EDS) analysi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siderable U immobilization is possible by stimulating the activity of indigenous bacteria in the DGR environment.
Integrity evaluation scheme for Spent Fuel (SF) dry storage has been developed under transportation failure modes. This method especially considered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Spent Fuel (SF) during dry storage such as radial and circumferential hydride content, hydride volume fraction, oxide thickness, etc. Hydride and zircaloy cladding are considered as material composite system, using correlation models related to material properties. Critical Strain Energy Density (CSED) is compared with Strain Energy Density (SED), to evaluate cladding integrity. CSED serves as material characteristics, while SED can be considered as boundary condition. To calculate the CSED of cladding in the lateral failure mode, circumferential hydride concentration is used. SED is calculated considering both the bending moment and axial load. On the other hand, in the longitudinal failure case, fuel rod temperature, internal pressure, hoop stress, radial hydride concentration is used to calculate CSED. And pinch force (contact) was considered to evaluate SED. Model validations were conducted by comparing hot cell SF test and existing validated evaluation results. To separately handle normal transportation conditions from hypothetical accident conditions, SED according to stress-strain analysis results was separated into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scheme for 14×14 SF, failure probability of normal condition was zero, which is the similar result with DOE and same with EPRI. Regarding accident condition, lateral case showed similar result, but longitudinal case showed different but reasonable result, which was due to the different analysis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ology which was indigenousl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named as K-method.
This research will examine how the Indonesian constitution can effectively protect the indigenous people’s rights to customary land when the land is under construction for infrastructure building. The authors will mainly discuss the relevance of justice for ensuring the rights to live and property of indigenous people under the Indonesian constitution. In this essay, the authors examine how constitutional and human rights protections interact with one another to ensure the security of customary land in Indonesia. The analysis will be carried out by two methodological approaches. One is the statute approach which is based on laws and regulations being specifically targeted. To implement the statutory approach, all Indonesian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 relationship and human rights to protect customary land will be reviewed. The other is the conceptual approach to identify the ideas that give rise to legal notions, the legal principles or legal arguments for solving the problem.
Spent nuclear fuel (SNF) is the main source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s (HLWs), which contains approximately 96% of uranium (U). For the safe disposal of the HLWs, the SNF is packed in canisters of cast iron and copper, and then is emplaced within 500 m of host rock surrounded by compacted bentonite clay buffer for at least 100,000 years. However, in case of the failure of the multi-barrier disposal system, U might be migrated through the rock fractures and groundwater, eventually, it could reach to the biosphere. Since the dissolved U interacts with indigenous bacteria under natural and engineered environments over the long storage periods of geologic disposa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microbe interactions under the geochemical conditions. In particular, a few of bacteria, i.e., sulfate-reducing bacteria (SRB), are able to reduce soluble U(VI) into insoluble U(IV) under anaerobic conditions by using their metabolisms, resulting in the immobilization of U. In this study, the aqueous U(VI) removal performance and change in bacterial community in response to the indigenous bacteria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of U-microbe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ree different indigenous bacteria obtained from different depths of granitic groundwater (S1: 44–60 m, S2: 92–116 m, and S3: 234–244 m) were used for the reduction of U(VI)aq. After the anaerobic reaction of 24 weeks, the changes i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seeding indigenous bacteria were observed by high-throughput 16S rDNA gene sequencing analysis. The highest uranium removal efficiency of 57.8% was obtained in S3 sample, and followed by S2 (43.1%) and S1 (37.7%). Interestingly, SRB capable of reducing U(VI) greatly increased from 4.8% to 44.1% in S3 sample. Among the SRB identified, Thermodesulfovibrio yellowstonii played a key role on the removal of U(VI)aq.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alysis showed that the dspacing of precipitates observed in this study was identical with that of uraninite (UO2). This study presents the potential of U(VI)aq removal by indigenous bacteria under deep geological environment.
Deep geological repository (DGR) has been considered as a globally accepted strategy to dispose high-level radioactive wastes. During long storage periods of 100,000 years, uranium (U) could be migrated through fractures in deep granite aquifers and interact with indigenous bacteria under anaerobic condition. Anaerobic bacteria can reduce U(VI) and further precipitate in the form of U(IV)-oxide minerals by transferring electrons through c-type cytochrome. In this point of vie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uranium-microorganisms interaction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safety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Although diverse bacterial communities are present in DGR environment,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some model bacteria, such as Desulfovibrio, Geobacter, and Shewanella spp.. In this study,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y in deep granitic groundwater at 234–244 m was inoculated to sterile uranium-contaminated granitic groundwater amended with 20 mM of sodium acetate, and then incubated under anaerobic condition for 12 weeks. Bio-reduction of U(VI) to U(IV) by indigenous bacteria in uranium-contaminated groundwater was investigated during whole operation period. Initial U(VI) concentration of 885.4 μg·L−1 gradually decreased to 586.1 μg·L−1, resulting in approximately 33.8% of aqueous U(VI) removal efficiency.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value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175.4 mV to –243.0 mV after the incubation of 12 weeks. The decrease in ORP value was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aerobic bacteria and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a in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y. The shift i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observed by 16S rRNA gene high-throughput sequencing analysis. Proteobacteria (55.6%), Firmicutes (24.1%), Actinobacteria (5.5%), and Bacteroidetes (5.4%) were dominant in initial indigenous bacterial community, while Proteobacteria (94.8%) was found to be the only abundant phylum after the reaction. In addition, great in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sulfate-reducing bacteria (SRB) was observed: the relative abundance of SRB increased from 11.4% to 44.3% after the reac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RB played a key role in the removal of aqueous U(VI). This finding shows the potential of aqueous U(VI) removal by indigenous bacteria in DGR environmen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ultrasonographic biometry of genitalia of the indigenous rams and observe the relationship of biometry on semen parameters. The epididymal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1) after semen collection compared with before collection for both left and right part in all rams. The cumulativ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width and volume of epididymis between before and after semen collection, however the values were lower after collection. The epididymal leng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pididymal volume (p < 0.01), semen motility (p < 0.05) and semen morphology (p < 0.01). Epididymal width was on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pididymal volume (p < 0.01) not with the semen parameters. Epididymal volum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semen morphology (p < 0.01).The scrotal circumference ha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men density, mass activity, concentration and motility (p < 0.01). The epididymis had the similar or slightly increased echogenicity as compared to the normal testis. During whole study, some white spots were found on testis which did not affect the semen quantity and quality. Significant variation was observed only for semen concentration and motility among the rams (p < 0.05). The overall normal morphology was 90.5 ± 4.6% with highest percentage of coiled tail abnormalities.
케냐에서 토종 닭의 낮은 생산성은 부분적으로 열악한 관리 관행, 특히 적절한 건강 관리, 열악한 사육장 및 영양 부족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케냐에서 산란계를 위한 신배합사료 배합 가능성 확인과 신배합사료 식 A와 B의 급이를 통한 계란 생산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 2018년 7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Embu 및 Tharaka Nithi 카운티에서 닭 생산에 관심이 있는 농부 그룹을 선정하였다. 농부 그룹 선정에 사용 된 기준은 닭의 수, 닭 사육 및 장비에 대한 투자 수준, 사료 혼합에 대한 관심, 농가 집단의 응집력, 교육 수준 및 집단 구성원의 연령 등 이었다. 2. 총 3,968명의 농업인이 산란계를 위한 신배합사료 식 A와 B에 따른 사료조제 및 이용에 참여하였으며, 총 136,683 kg의 배합 사료를 조제하였다. Embu 지역에서는 2,774명의 농업인이 53,770 kg을, Tharaka Nithi 지역에서는 1,194명의 농업인이 41,313 kg의 신배합사료를 각각 조제하였다. 3. 신배합사료 식 A와 식 B가 케냐 표준 국 [KEBS] (2014)의 품질 표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사료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신배합사료 식 A와 식 B, 상업용 사료 모 두 건물중(dry matter) 이 88%이상으로 표준을 충족 하였고, 최대 25% 이하의 회분(ash), 15% 이상의 조단백질(crude protein) 과 7.5% 이하의 조섬유(crude fiber) 기준과 대부분 부합하였다. 4. 신배합사료 식 A와 시판용 사료를 급여한 산란계 10마리의 일일 평균 계란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 Embu 지역에서는 7.2개와 5.1개, 그리고 Tharaka Nithi 지역에서는 8.2개와 5.7 개로 유의적으로 높은 생산성 차이가 확인되었다. 5. 신배합사료 식 B와 시판용 사료를 급여한 산란계 10마리의 일일 평균 계란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 Embu 지역에서는 7.3개와 4.9개, 그리고 Tharaka Nithi 지역에서는 7.1개와 5.2 개로 유의적으로 높은 생산성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참나무 생육지에서 채집된 송로버섯의 일종인 T. himalayense 자실체 추출물(TH)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한 염증 억제 실험에서 TH는 1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LPS에 의해 증가된 NO와 PGE2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Western blot 분석 결과로 볼 때, TH의 항염증 활성은 iNOS와 COX-2 유전자의 발현억제에 의해 NO와 PGE2 의 생성이 감소된 것으로부터 유발된 것임을 입증한다. 또한, TH가 대식세포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cytokine IL-1β와 IL-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T. himalayense는 다양한 염증 매개체들의 과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염증 관련 식품 및 의약품에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염증 예방 물질로 적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증성 작용 기전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akistan is host to the different indigenous peoples’ groups such as “Koochis,” “Rebari,” “Bakarwal,” “Kehal,” “Jogi,” “Kabootra,” “Sanyasi,” and the most famous “Kalash.” By providing them with a proper legal mechanism for the fortification of their inherited resources, culture expressions and outdated information under a thorough intellectual property framework, Pakistan can preserve the already declining population of indigenous people and create better livelihood opportunities for them. They form at present nondominant sectors of society and are determined to preserve, develop, and transmit to future generations their ancestral territories and ethnic identity, as the basis of their continued existence as people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ultural patterns, social institutions and legal system. Many international instruments have been in operation to support their endeavors. They make up to 15 percent of the extreme poor population of the world. Hence there is an urgency to develop laws for them.
토종닭의 중요성은 대부분의 농업인 단체에서 자원이 부족한 농업인들을 위한 중요한 사업으로 인식되면서 수년에 걸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은 낮은 수익률과 비경제적인 문제에 직면 해 있다. 케냐 농축산 연구기구(KALRO) 의 이전 기구이었던 케냐 케냐농업연구기구(KARI)는 토종 닭의 생산성 향상을위한 연구에 앞장서 왔다. KARI의 개량 닭 사양관리 기술은 생산성 저하 문제를 줄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KALRO는 KOPIA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 5년 동안 Machakos와 Kiambu County의 두 모델 마을에서 기술 이전을 추진 하였다. 본 연구는 KARI의 개량 닭이 식량과 가구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두 카운티 모두 입식률이 2008년 2%에서 증가했으며, 2016년 Machakos County의 시범마을 참여 농업인의 59%와 Kiambu 에서 39%가 입식 한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병아리 입식은 2017년에 감소하다 다시 2018년에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두 카운티에서 2018 년에 판매 된 계란의 수는 Kiambu카운티에 서 230% 증가하였고, Machakos카운티 시범마을에서는 한 달에 가장 높은 963% 증가를 기록하면서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주로 연간 180~250개의 알을 낳는 KALRO 개량 닭의 도입에 기인하였다. 이것은 계란 생산과 판매로 식량 및 가구 소득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이 결과는 KARI 개량 닭이 가정의 식량과 소득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생물다양성협약 (1992년)과 나고야의정서 (2010년)의 체결 이후 우리나라는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자생생물의 조사·발굴 연구에 박차를 가하였다. 이러한 계기로 2007년에 설립된 환경부 소속 국립 생물자원관의 주도로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이 진행되었다. 본 사업은 2006년 이후 현재까지 15년 동안 5단계 (1단계 2006~2008년, 2단계 2009~2011년, 3단계 2012~2014년, 4단계 2015~2017년, 5단계 2018~2020 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본 사업의 이전에 29,916종 (2006년)이던 한반도 자생생물이 본 사업의 각 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누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33,253종 (2008년), 2단계 38,011종 (2011년), 3단계 42,756종 (2014년), 4단계 49,027종 (2017년), 그리고 5단계 54,428종 (2020년)으로 급속히 증가하여 본 사업 기간 동안 한반도 자생생물 기록종이 약 1.8배 증가하였다. 이 통계자료는 이 기간 동안 연평균 2,320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이 새로이 기록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전체 발굴종 중에서 총 5,242 종의 신종을 기록하는 학술적 큰 성과를 거두었다. 분류군 별로는 총 연구 기간 동안 곤충 4,440종 (신종 988종 포함), 무척추동물 (곤충 제외) 4,333종 (신종 1,492종 포함), 척추 동물 (어류) 98종 (신종 9종 포함), 식물 (관속식물과 선태식물) 309종 (관속식물 176종, 선태식물 133종, 신종 39종 포함), 조류 (algae) 1,916종 (신종 178종 포함), 균류와 지의류 1,716종 (신종 309종 포함), 그리고 원핵생물 4,812종 (신종 2,226종 포함)이 한반도에서 새로이 기록되었다. 생물표본은 각 단계별로 집계하여 볼 때 1단계 247,226점 (2008년), 2단계 207,827점 (2011년), 3단계 287,133점 (2014년), 4단계 244,920점 (2017년), 그리고 5단계 144,333점 (2020년)이 수집되어 연평균 75,429점, 총 1,131,439점의 생물표본이 채집되었다. 그중에서 곤충 281,054점, 곤충 이 외의 무척추동물 194,667점, 척추동물 (어류) 40,100점, 식물 378,251점, 조류 (algae) 140,490점, 균류 61,695점, 그리고 원핵생물 35,182점이 채집되었다. 본 사업에 참여한 각 단계별 연구원/보조연구원 (주로 대학원생)의 수는 1단계 597/268명, 2단계 522/191명, 3단계 939/292명, 4단계 575/852명, 그리고 5단계 601/1,097 명으로 전체년도의 참여연구자는 연평균 395명, 총 연인원 약 5,000명이 참여하여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와 분류학 전공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본 사업 기간 동안 전문 학술지 논문 3,488편 (국내학술지 논문 2,320편, SCI급 국제 학술지 논문 1,168편 포함)이 출판되었다. 본 사업 기간 중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및 생물표본 확보 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833억원 (연평균 55억원)이다. 본 사업은 국가 주도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로서 전국의 거의 모든 분류학자가 참여하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어 단기간에 이루어 낸 한국식 압축성장의 한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사업의 종발굴 성과는 최근의 생물분류 체 계로 분류되어 국가생물종목록으로 만들어졌으며, 전문가와 학생 및 일반 시민에게 제공되고 있다 (https://species. nibr.go.kr/index.do). 본 사업에서 파생된 기재문, DNA 염기 서열, 서식처, 분포, 생태,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각 종의 정보는 디지털화되어 생물의 계통, 진화 연구 등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종의 변화 같은 생물 분포 모니터링 사업과 바이오산업의 생물소재를 탐색하는 기반이 되었다. 본 사업을 통하여 젊은 분류인력 (주로 대학 원생)의 양성을 지원할 수 있었던 것은 본 사업이 가져온 가장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과거 15년간 숨 가쁘게 달려온 본 사업은 아직 진행 중이다. 그동안 발굴된 종 들에 대한 이명 (synonym)과 오동정 등을 바로잡아 학문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한반도에 존재하리라 예상되는 약 10만 종의 자생생물 중에서 남겨진 5만 종에 대한 조사·발굴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