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otein-fortified rice flour by mixing rice flour (RF) with untreated and fermented plant proteins. Fermented faba bean protein concentrate (FMFP) and chickpea flour (FMCF) were prepar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of faba bean protein concentrate (UTFP) and chickpea flour (UTCF) using Bacillus subtilis. FMFP and FMCF exhibited higher crude protein, reducing sugar and starch contents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The increased rate of essential and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FMFP and FMCF exceeded that of crude protein. Adding plant proteins to RF decreased swelling power (SP) and increased solubility in RF-UTFP and RF-FMFP mixtures, while SP and solubility increased in RF-UTCF and RF-FMCF mixtures. All RF-plant protein mixtures showed high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lower gelatinization enthalpy than RF. Thermal gelation was found in all RF-plant protein mixtures, but the RF-FMCF mixture may form weak and unstable gel structures. The increase in pasting viscosity was minimal for the RF-UTFP and RF-FMFP mixtures but more pronounced for the RF-UTCF and RF-FMCF mixtures. Overall, FMFP may be a potential protein source to supplement the protein deficiency in RF with minimal changes in RF-based foods’ rheological and textural properties.
        4,300원
        3.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conditions of a sweet rice paste as a replacement of red bean paste recipe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en experimental recipes with two reference points (rice flour and sugar), were selected, and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sweet rice paste were measured. In the Rapid Visco Analyzer test, breakdown value was the highest in rice flour (105.73 RVU). Sweet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ddition of sugar contents (p<0.0002)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addition of rice flour contents (p<0.0185). Moisture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s of rice flour and sugar, whereas yellowness and redness tend to incre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test, quadratic models for color (p<0.01865), sweetness (p<0.0399), thickness (p<0.0073),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249) were approved as independent for the rice flour and sugar contents. In conclusion, the optimal mixing ratio of sweet rice paste was determined to be 45.38 g of rice flour and 77.95 g of sugar.
        4,000원
        4.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easibility of reduction of sodium intake using sun-dried salt and monosodium glutamate (MSG) was studied. Preferenc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nsory properties of bean-sprout soup and vegetable rice porridge soup. Sun-dried salt and MSG might be a partial substitute for refined sa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lt taste strength between sun-dried salt and refined salt. Sun-dried salts 0.45% with MSG 0.07% resulted in the highest taste preference compared to that of sun-dried salts 0.60% without MSG in bean-sprout soup, which resulted in 23.9% reduction of sodium intake. Sun-dried salts 0.38% with MSG 0.04% resulted in the highest taste preference compared to sun-dried salts 0.53% without MSG in vegetable rice porridge soup, which resulted in 25.4% reduction of sodium intake. There seemed to be a synergistic effect on reduced usage of sodium salt when MSG was used in vegetable rice porridge and bean-sprout soup with sun-dried salt.
        4,000원
        6.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강정제조법의 표준화를 위해 부재료인 청주와 콩의 첨가 수준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결정하였다. 청주의 수준이 낮을수록 콩의 수준은 높을수록 강정의 팽화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정의 기름흡수율은 청주 30 ml, 콩 10 g 첨가 수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응 표면 방법을 이용한 관능검사 결과로부터 찹쌀가루 200 g 당 청주 35 ml와 콩 8.5 g 첨가 수준이 부재료의 최적 조건으로 결정되었다.
        4,000원
        7.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강원도 영서지역에서 맥류 수확 후 가을채소 파종까지 휴경을 하게 될 경우의 여름 휴경지 관리방안으로 가을채소용 두과녹비작물의 도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주요 잡초는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 그리고 털비름 등 비두과 식물로, 자연적인 두과식물의 출현은 없었다. 2. 두과식물을 6월 중순 로타리 경운 후 파종할 경우 동부와 예팥은 출현율이 높았으나, 돌콩과 헤어리벳치는 출현율이 낮았으며, 동계일년생 두과녹비작물인 헤어리벳치는 하계잡초와의 경합에서 도태되는 경향이었다. 3. 만성형식물인 동부는 잡초의 생육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만성 예팥이나 돌콩, 그리고 헤어리벳치보다 생육량이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여름철 휴경을 할 경우 두과식물의 인위적인 파종이 필요하며, 동부는 여름철 휴경지의 녹비작물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8.
        199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의 전통적 식생활과 관계가 깊은 나물용, 밥밑용 대두품종들의 수?성과 증수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식밀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나물용품종으로 단엽콩, 밥밑용품종으로 검정콩과 장려품종인 팔달콩을 m2 당 10본에서 80본까지 5가지 재식밀도에서 시험하였다 1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품종 모두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물중은 늘어났으며 LAI는 협비대 중기에서 종실비대기 사이에서 최대에 달하였고 밀도에 따라 단엽콩은 6-10, 검정콩은 5-9, 팔달콩은 5-8을 나타내었다. 한계 LAI는 품종에 따라 5.4-6.2로 추정되었고 엽적밀도에 따라 군락내 지표광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종실수량은 단엽에서 m2 당 40본에 이를 때까지 계속 증가하여 444.5kg/10a으로 최고수량을 나타내었고 그이상의 고밀도에서는 감소하였다. 반면 검정콩은 밀도에 따른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팔달콩은 최고밀도인 80본까지 증가하여 405.7kg/10a의 최고수량을 나타내었다. 개체당 래수와 입수는 밀도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되었고 100입중은 검정콩에서 약간 감소하였을 뿐 큰영향은 없었다. 3 엽면적 source와 종실 sink의 증가는 단엽콩과 팔달콩에서 수량증가로 나타날수 있었으나 대입종인 검정콩에서는 증수에 기여하지 못하여 수량성이 낮은 품종으로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