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3

        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멘트 산업의 대체연료(폐합성수지 등) 사용량 증대에 따라 이를 활용한 탄소배출 저감 및 시멘트/콘크리트 제조 적용 기술 및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으며, 향후 시멘트 산업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시멘트 제조 에 있어 폐합성수지 사용은 경제적 장점과 높은 발열량으로 인해 연료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경화성 수지는 부가가 치가 높은 저탄소 시멘트 복합체의 비반응성 골재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감마선 조사는 다양한 폐플라스틱의 성능 평가에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table continental regions, selecting appropriate ground motions for seismic design and dynamic response analysis presents significant challenges. This study evaluates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the Nakdonggang delta region, South Korea, by generating synthetic ground motion scenarios and applying a scenario-based liquefaction assessment approach. We utilized a hybrid broadband ground motion simulation method proposed by Graves and Pitarka (2010, 2015) to create bedrock ground motions for three hypothetical earthquakes (Mw 6.2 and 6.0) occurring along the Dongrae and Miryang faults. The generated synthetic ground motions were used as input for onedimensional nonlinear site response analyses, incorporating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derived from surface wave inversion. The simulated ground motions demonstrated higher responses at short periods and relatively weaker responses at long periods compared to the Korean design spectra. This amplification of long-period components was attributed to the dynamic response of deep sedimentary layers, while high-frequency components were generally deamplified due to damping effects in shallow silty layers. Liquefaction susceptibility was assessed using surface ground motions derived from the site response analyses, following the SPT-based simplified method proposed by Idriss and Boulanger (2008). Results indicated high liquefaction potential across most sites for the Dongrae earthquake scenario, while liquefaction was unlikely for all sites under the Miryang-1 scenario. For the Miryang-2 scenario, liquefaction was predicted at some sites. Overall, liquefaction is expected at PGA values of approximately 0.13 g or higher, with sites exhibiting lower shear wave velocities being more vulnerable to liquefaction
        4,3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areer trajectories among women with career breaks, using data from the 2019 National Survey of Women on Career Breaks (n=1,138). The data underwent preprocessing, including outlier detection, feature scaling, and class imbalance correction with SMOTEENN. Three machine learning models were evaluated, with the Random Forest model achieving the best performance. Key predictors included flexible leave policies, social insurance, remote work options, and job securit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pportive organizational policies in retaining female employee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longitudinal impacts and additional variables like organizational culture.
        4,0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세계적으로 국제항공 부문의 탄소 감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가능항공유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의 사용 확대와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촉진되고 있다. SAF는 기존 석유 계 항공유 연료와 유사하기 때문에 항공기의 엔진이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공항의 연료공급 인프라의 구 조적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drop-in fuel), 기존 항공유에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AF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바이오매스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바이오항공유(Bio-jet fuel) 와 포집 이산화탄소와 그린수를 사용하여 합성된 재생합성항공유(synthetic-SAF)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광합성을 하는 바이오매스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항공유는 전주기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관점 에서 기존 석유계 항공유보다 이산화탄소를 약 80% 저감되며, 탄소중립연료로서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 에서는 재생합성항공유의 생산을 위한 제조기술로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역수성가스(Reverse Water-Gas Shift, RWGS) 전환기술, Fischer-Tropsch(F-T) 공정기술과 제조된 재생합성항공유의 연료특성과 제조규 격 및 제조기술 인증에 대한 연구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기술개발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5,700원
        6.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 환경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일반적인 화재 상황에 비해 빠르게 화염이 전파되기 때문에 초기 발견과 대응이 매우 중 요하다. 최근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카메라 센서와 딥러닝 검출 모델을 활용하여 개발되고 있지만, 해양 환경에 특화된 딥러닝 모델 을 학습하기 위해 해양 환경에서 화재 데이터를 실제로 수집하는 것은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리얼 엔진 기반 가상 데이터 생성 도구를 활용하여 가상 환경에서 해양 환경을 구축하고 여러 상황 의 시나리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양 환경 화재 가상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가상 데이터셋으로 학습한 RT-DETR-L 모델은 실 제 해양 환경에서 발생한 화재 상황을 수집하여 제작한 테스트 데이터셋에서 mAP50:95 0.529를 달성하였다. 또한 가상 데이터로 학습 한 검출 모델은 일반적인 화재 상황이나 항만시설에서 연기만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화재를 검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제 데이터가 아닌 가상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하여도 해양 환경 화재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의 검출 모델 성능 향 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8.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통 중인 생분해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식품용 기구 및 위생용품 50건을 대상으로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기준·규격을 검사하였다. PLA 재질의 유아식기 1 건에서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20mg/L으로 기준치(10 mg/ L 이하)를 초과하였고, 그 외 모든 시료에서는 포름알데히 드, 납, 비소 등이 기준·규격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식기를 소독하는 방법의 안전성을 조 사하기 위해, PLA 재질의 유아식기(n=21)에서 반복적인 열탕소독과 자외선 조사에 따른 이행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반복적인 열탕소독이 자외선 조사에 비해 포름알데 히드와 비소의 이행량이 많았으나, 이행량은 매우 낮은 수 준이었다. 그리고 유아(만 1-3세) 기준으로 계산한 포름알 데히드와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EDI)은 최대 6.0×10-4mg/ kg b.w./day 및 1.3×10-1 μg/kg b.w./day였으며, 이는 일일섭 취한계량(TDI, 0.15 mg/kg b.w./day) 및 잠정주간섭취허용 량(PTWI, 9.0 μg/kg b.w./week)의 0.40% 및 10.42%로 낮 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 는 식품용 생분해성 합성수지제는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 하였다.
        4,000원
        9.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ver the last decad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plastic degradation capabilities of insect because herbivorous insects may be a valuable resource for microorganisms that can break down synthetic plastics. Insects that can digest plastics using their gut microbiota are gaining interest for use in bioremediation, although their environmental benefits remain unknown. However, most plastics biodegraded by insect gut microbes are polyethylene, polystyrene with little knowledge available on the gut microbiome of insects capable of degrading other synthetic plastic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microbial resources based on insect-microbiome interactions and promote end-of-life solutions for synthetic plastics.
        10.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hene quantum dots (GQDs) are zero-dimensional carbonous materials with exceptiona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a tuneable band gap, good conductivity, quantum confinement, and edge effect. The introduction of GQDs in various layers of solar cells (SCs) such as hole transport layer (HTL), electron transport materials (ETM), cathode interlayer (CIL), photoanode materials (PAM), counter electrode (CE), and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 (TCE) could improve the solar energy (SE) harvesting, separation and transportation of electrons and hole, thus ultimately enhance the overall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SCs. The incorporation of GQDs in various layers such as HTL, ETM, CIL, PAM, CE, and TCE achieved photo conversion efficiencies (PCEs) of 18.63, 21.1, 12.81, 9.41, 8.1, and 3.66%, respectively. Furthermore, GQDs improved stabilities such as resistance to degradation for HTL (up to 77%), ETM (80%), resistance to UV light for ETM (94%), resistance to temperature in ETM (90%), and bending stabilities after 1000 cycles for HTL (88%) and for TCE (90%). There are reviews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different carbon-structured materials such as graphene, carbon nanotubes (CNT), fullerenes, and carbon dots in SCs applications. More specifically, the utilization of GQDs for SCs is limited and yet to be explored in greater detail. This review mainly focuses on the recent advancement of various techniques of production of GQDs synthesis, utilization of GQDs in various layers like HTL, ETM, CIL, PAM, CE, and TCE for the enhancement of PCE, and the stability of SCs. As a result, we believe that an exclusive study on GQDs-sensitized solar cells (GQDSSCs) could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cent progres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7,700원
        1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uorine (F) recovery from wet process phosphoric acid (WPA)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resource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work systematically investigates the F recovery mechanism by air stripping from three simulated systems: H3PO4- H2SiF6-H2O, H3PO4- HF-H2O, H3PO4- H2SiF6-HF-Al3+-H2O, and from two industrial systems: WPA and WPA-Al3+ under different stripping temperatures (60–110 ℃) and stripping times (0–120 min). The influence on the existence form of F, the content of Al3+ cations and the addition of active silica on the F removal rate in the phosphoric acid solution is studi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F, P and Si.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 in the form of H2SiF6 is more easily released from the phosphoric acid solution than that in the form of HF. While, the release of F i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the Al3+ in the solution due to the formation of Al-F complexes that are characterized by 19F NMR, 31Si NMR and FTIR techniques. Interestingly, the addition of active silica can promote the conversion of HF to H2SiF6 in the solution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release rate of F. The researching results can provide an important guidance for industrial practice of WPA.
        4,500원
        1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형 곤충으로 좁은 틈새에 있는 총채벌레는 종종 살충제 살포에 노출되기 어렵다. 이에 접촉페로몬을 처리하여 은둔행동을 막으려는 행동 교란 방제 전략을 세웠다.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에서 밝혀진 접촉페로몬은 7-methyltricosane (7TM)으로 본 연구에서는 먹이에 이 물질을 처리하여 행동 교란 유무를 생물검정하였다. 이 접촉페로몬은 유충에게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수컷 성충으로 하여금 처리된 먹 이로부터 회피하려는 행동을 유발하였다. 반면에 암컷 성충에게는 오히려 7TM이 처리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행동을 유발하였다. 동일한 접촉페 로몬에 대해서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에서도 유사한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7TM에 기인한 총채벌레의 행동 변화를 살충 제 처리와 연결하여 고추를 가해하는 총채벌레류를 대상으로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스피네토람 살충제 단독 처리에 비해 7TM과 혼합하여 처 리하면 총채벌레류 방제효율이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7TM 단독 처리로도 대만총채벌레 밀도에 일부 감소 효과를 보여 이 물질이 총채벌레 의 행동교란을 주는 것을 뒤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접촉페로몬 처리로 총채벌레의 살충제 회피 행동을 줄여 방제효과를 높인 새로운 해충방제기 술을 제시한다.
        4,000원
        1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rgeting Microcystin (MC), which is most abundantly detected in the North-Han River water area,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C biosynthesis gene (mcyA gene), cyanobacteria cell density, and MC concentration, derived an RNA-MC conversion formula, and derived the cyanobacteria. The concentration of MC present in cells was predicted. In the North-Han River waters, the mcyA gene was found mainly at downstream sites of the North-Han River after Muk-Hyeon Stream junction, and higher copy numbers were found on average than other sites. In the Uiam Lake waters upstream of the North-Han River, the mcyA gene copy number increased at the Kong-Ji Stream point, and after September, the mcyA gene copy number decreased throughout the North-Han River waters. The expression of the mcyA gene was concentrated in the short period of summer due to the spatio-temporal differenc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water bodies. The mcyA gene expression level was not only highly correlated with MC concentration, but also correlated with the cell density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Dolichospermum circinale, which are known to biosynthesize MC. Six conversion formulas derived based on the RNA-MC relationshi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nd exhibit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r) of 0.9 or higher. The expression level of MC biosynthesis gene present in eRNA determines the synthesis of cyanotoxin substances in water, quickly quantifies gene activity, and can be fully utilized for early warning of MC development.
        4,500원
        1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 전구체와 금속 이온, 또는 금속-옥소 클로스터 간의 규칙적 배열을 통한 종의 다양성을 장점으로 하는 금속- 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는 에너지 사용량이 높은 상변화 기반 분리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효율 적인 막 기반 분리 기술의 개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에 최근 10년 동안 다결정 MOFs 분리막 합성 기술에서 상당한 진전 이 있었지만, 매우 제한된 종류의 MOFs만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의 정체는 다결정 분리막의 비 선택적인 확산 경로인 결정 사이 결함(intercrystalline defects)에 대한 명확한 해결법이 없기 때문이다. 후처리 성능 제어기술(postsynthetic modifications, PSMs)은 기존 분리막을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이를 물리적 그리고/혹은 화학적으로 처리함을 통해 분리 특성 을 개선 혹은 변경하는 기술을 말한다. PSMs 기술은 특정 분리막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MOFs를 설계하거나 막 합성 기술을 개발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결정 MOF 분리막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 부상하는 전략으로 평가 된다. 본 총설에서는 PSMs 기술을 7개의 세부기술((1) 공유결합법, (2) 결정간 결함 플러깅법, (3) 결정 내부 결함 치유법, (4) 기공내 기능성 소재 함침법, (5) 기공 경화법, (6) 전구체 치환법 및 (7) 비정질화법)로 분류하고, 각 세부기술의 연구 동향 및 도전과제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5,400원
        19.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oxidants are food additives that extend the shelf life of food products by preventing lipid rancidity caused by active oxygen. They can either be naturally-derived or manufactured synthetically via chemical synthesis. In this study, method validation of five synthetic antioxidants, namely butylated hydroxyanisole, butylated hydroxytoluene, tertiary butylhydroquinone, propyl gallate, and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was performed using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visible detector, and the method applicability was evaluated by analyzing foods containing antioxidant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average was 0.9997, while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were 0.02–0.53 and 0.07–1.61 mg/kg, respectively. The intra and inter-day accuracies and precisions were 83.2±0.7%–98.7±2.1% and 0.1%–5.7% RSD, respectively. Inter-laboratory validation for accuracy and precision was conducted using the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quality control material. The results satisfied the guidelines presented by the AOAC International. In addition, the expanded uncertainty was less than 16%, as recommended by CODEX. Consequently, to enhance public health saf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data for evaluating the intake of synthetic antioxidants and assessing their risks in Korea.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