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95

        894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growth of the food packaging field is powered by the ever growing health conscious consumers and demand for fresher and higher quality foods. Active packaging technologies provide solutions for extending products shelf life with specially altered packaging systems. Among the several shelf life enhancer systems, active packaging system for preventing oxidation is discussed in this paper. Oxidation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main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rancidity of fats and oils. The oxidative processes result in the food becoming unacceptable for consumers. Such oxidation is inhibited by exclusion of oxygen and by the presence of antioxidants. First of all, oxygen scavengers made up of substances which chemically or enzymically react with oxygen were developed to remove oxygen. The commercial oxygen scavengers such as “ageless sachet”, “platinum catalyst”, and “glucose/oxidase enzyme” have been greatly discussed in their action mechanisms and applications. The use of antioxidants in packaging manufacture has so far been limited to stabilizing the polymer during the processing or retarding the change of polymer's physical properties during storage when UV irradiated. However, a further benefit derived from incorporation of an antioxidant into the polymer is more interesting for its ability to retard lipid oxidation of the packaged food via slow migration of an antioxidant from the polymer to food. In view of which, in this paper we will review some oxygen scavenger systems as well as antioxidant-impregnated or antioxidant-coated polymer packaging material.
        4,000원
        8942.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sensor technology, which makes it possible to detect biomaterial such as protein, pathogen, and small molecules, is useful in such areas as diagnosis, bioprocessing, and food analysis or safety.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ly sensitive biosensor, immobilization techniques of organic/bio films on solid substrate, and detection methods of protein-protein reactions appearing in a few nanometers region from the sensor surface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review, several immobilization techniques and detection methods are reviewed based on the articles reported recently.
        4,000원
        8943.
        200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ticles of food is very important things to human. Since PL Law came into effect in July of the last year(2002) in Korea, many domestic firms have taken great interests in PL. And the purpose of PL Law is to provide a means for those injured by defective products to receive redress. Additionally, enterprises get to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safety of the products, which led to improvement in competitiveness and enhancement in quality. Consequently customers can get better products. So, it aims not only to compensate the injured by defective products but also to act an incentive to maker/supliers of food to make their products more safe. Therefore, this study was aiming to analyze the expected risks to articles of food after the enforcement of PL Law, and to establish a defending plan.an.
        4,200원
        8944.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미자 추출물의 가열 및 저장에 의한 변색을 지연시킴으로써 식품 소재로써 오미자 추출물의 이용도를 증진시키고자 식품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첨가물인 당과 색소 안정화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단당류로써 glucose, fructose, 이당류로써 sucrose, maltose를 처리한 결과 단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촉진시켰고 이당류는 가열에 의한 변색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어 maltose를 10%처리하였을 때 40%정도 변색이 억제되었다. 색소 안정화제 로 각각 1%와 5%의 maltodextrin, β, γ-cyclodextrin, ascorbic acid, phosphoric acid를 첨가하여 조사한 결과 β- 및 γ-cyclodextrin과 maltodextrin 5% 처리구의 경우 DI값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나 가열 변색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잡한 구성성분으로 인하여 matrix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의 적용효과를 조사하고자 오미자 색소 추출물을 첨가한 겔 시스템을 모델 식품으로 사용하여 25℃ 및 35℃에서 저장하면서 표면 색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 온도 및 기간이 증가할수록 a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altodextrin을 5.0% 첨가한 경우 a 값이 15~20%증가하여 matrix effect가 고려된 실제 식품에서도 색소안정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4,000원
        894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증(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 3은 식중독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000원
        894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냉장식품의 주요한 변패원인균으로서 저온세균인 Pseudomonas areuginosa를 최소 전처리한 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는 비표지 면역센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정결정전극상으로의 생물요소인 항체의 고정화는 이형이기능성 가교화제인 sulfosuccinimidyl 6-[3-(2-pyridyldithio)propronamide]hexanoate를 사용하여 항체를 티올화시킨 후 티올화된 항체를 화학흡착하여 향하였고, P.areuginosa flagella에 대한 단클론항체를 사용하였을 때 다클론항체를 사용한 경우보다 센서감응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가 고정화된 센서 chip과 flow형 quartz crystal microbalance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균 첨가 및 증균을 향한 10종의 모델시료에 대한 계측을 향하였다. 이 때, 시료자체에 의한 진동수변화가 52~89 Hz 범위인 반면 균 첨가 시에 나타난 진동수변화는 108~220 Hz이었고 증균시료에 의한 진동수변화는 162~222 Hz 범위로 나타났다. 시스템 안정화, 시료주입 및 정상상태의 센서반응 획득, 시스템 세척으로 이루어지는 한 주기의 센서계측에 소요된 시간으 모든 시료에 있어 30분 이내였다.
        4,000원
        894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2.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5.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otal Cholesterol에서 삼백초를 투여한 STT군은 NTT군 비교해서 14.46% 증가하였으며, 혈청중의 HDL-Cholesterol은 SS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21.29% 증가하였고 94.98%로 억제되었다. LDL-Cholesterol에서는 STT군이 TTA군 보다 12.86% 감소하였으며, 48.34% 로 억제되었다. 2. 혈청중의 TG의 함량은 TTA군이 NTT군에 비해 34.84% 증가하였다. TTA군에 비해 STT군은 7.06% 감소하였으며, 18.9% 억제시킨다. 3. 간조직중의 MDA량은 STT군이 TTA군에 비해 17.14% 감소하였고, 32.72%의 억제율을 보였다.
        4,000원
        895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895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백초가 TCDD 투여로 유발된 rat의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TT, TTA, STT군의 3군으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TCDD를 투여하고 4주 동안 물질을 투여하였다. 4주 후 희생시켜서 생체 내 간 조직 활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관찰한 결과 1. AST 활성도는 ST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70.05%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ALT활성도는 STT군이 TTA군에 비해 24.00% 감소하였으며, 64.80%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2. SOD는 TTA군이 NTT군보다 137.78% 감소하였으며, STT군은 TTA군에 비해 81.94%로 상승되었다. Catalase는 TTA군은 NTT군 보다 199.13% 감소하였으며, STT군의 catalase 활성도는 TTA 군과 비교하여 52.48% 증가하였고 55.45%의 회복율을 보였다. 3. TTA군의 GSH함량은 NTT군 보다 291.29% 감소하고 STT군은 TTA군과 비교하여 74.20% 증가하였으며, 98.72%로 회복되었다. TTA군의 GSSG함량은 NTT꾼 보다 46.80% 증가하였고 STT군의 간 조직중의 GSSG 함량은 TTA군과 비교하여 61.08% 감소하였으며, 81.01%로 억제되었다.
        4,000원
        8959.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thidathion을 흰쥐에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GC/MS로 분석하였고, 투여경로에 따른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뇨 중 dialkyl phosphate의 시간별 배설량과 그 외 대사물질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ethidathion을 경구 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의 공통적이 대사물질인 dialkyl phosphates 중 세 가지 물질인 DMP, DMTP 및 DMDTP로 동일하게 배설되었다. GC/MS로 주요조간이온을 확인한 결과 DMP는 m/z=153,127, 109, DMTP는 m/z=198, 169, 142, 109 그리고, DMDTP는 m/z=158, 125, 93에서 분자이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dialkyl phosphates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의 경우 DMP는 12시간 이내에 79.2%, DMTP는 24시간 이내에 93.3% 그리고, DMDTP는 12시간 이내에 83.0%가 배설되었고, 피부도포의 경우 DMP는 24시간 이내에 71.1%, DMTP와 DMDTP는 48시간 이내에 각각 82.8%, 87.7%가 배설되었다. 이 결과 경구투여 한 실험에서는 48시간 이내에 뇨 중 dialkyl phosphates가 완전히 배설되는 반면 피부도포 한 실험에서는 각 개체의 상태에 따라 대사물질들이 늦게는 168시간까지 배설이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흰쥐에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dialkyl phosphate 중 DMP, DMTP 및 DMDTP로 검출되었으며, 경구투여와 피부도포 시 뇨 중 etkanfwlf의 차이는 없었으나,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의 경우 배설이 더 지연되었다. 결론적으로, methidathion의 뇨 중 대사물질인 DMP, DMTP 및 DMDTP는 이 농약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8960.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 대사에 관여하는 Pyruvate dehydrogenase phosphatase (PDP)는 해당과정에서의 대사 산물인 pyruvate를 acetyl CoA로 만들어 구연산 회로로 진입시켜주는 효소인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 (PDC)의 활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PDP의 catalytic subunit는 PDC의 dihydrolipoamide acetyltransferase(E2), PDP regulatory subunit (PDPr), 그리고 칼슘 결합 도메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P 단백질을 분리정제하고 결정화 하고자 하였다. PDP는 catalytic subunit(PDPc, Mr 52,600 Da)과, regulatory subunit (PDPr 95,600 D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칼슘 존재하에 PDPc는 dihydrolipoamide acetyltransferase(E2) component와 결합하여 기질인 인산 E1 component의 탈 인산화율을 증가시킨다. PDPc는 intrinsic 칼슘 결합부위를 가지며 두 번째 칼슘 부위는 E2 존재 하에 형성된다. 이러한 특이한 상호반응을 이용한 GSH-Sepharose-GST-L2 matrix를 이용하여 약 1000 U/㎎의 specific activity를 갖는 순수 PDPc를 약 80%의 yeild로 얻어 결정화에 사용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