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에 사용되는 농약중 3종의유기인계 살충제를 배추에 처리하여 수세, 소금절임 그리고 김치 숙성과정 및 가열조리 후의 잔류농약의 변화정도를 조사하였다. 흐르는 물에 배추를 씻어 농약의 잔류량을 측정한 결과 pirimiphos-methyl의 경우 62.0%, chlopyrifos 54.8% 그리고 prothiofos는 61.1%가 제거되었고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과정중에서도 각각 23.5%, 22.4% 그리고 23.8%가 제거되었다. 4℃에서 김치를 숙성하는 과정중 농약의 잔류량은 24일의 숙성기간동안 pirimiphos-methyl 69.4%, chlopyrifos 66.6% 그리고 prothiofos 51.4% 정도가 제거되었다. 이때 김치의 pH는 김치를 담근지 7일이 경과하고 난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24일이 경과되었을 때는 pH가 4.5까지 감소되었다. Chlorpyrifos가 잔류하는 김치를 4℃, 10℃ 그리고 20℃에서 11일간 숙성시키면서 숙성온도에 따른 chlorpyrifos의 잔류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각각의 숙성온도에 따라 29.2%, 45.0% 그리고 77.3%가 제거되어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제거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를 가열 조리하는 과정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가열 조리후 16.3% 정도 제거되었다.
Aflatoxin은 곰팡이가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사람에게 발암성 등의 건강 위해를 야기할 수 있다. 쌀은 aflatoxin 생성을 위한 좋은 기질 중의 하나이므로 본 연구는 쌀의 조리 및 가공 과정 중 aflatoxin의 감소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산 일반미에 Aspergillus parasiticus ATCC 15517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aflatoxin을 생성시키고 한국인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밥, 떡(백설기), 식혜 및 쌀튀기를 상법에 따라 조리 및 가공하여 각 과정 중의 부과물과 최종 완성품에서 aflatoxin 함량을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밥을 조리하는 과정 중에는 쌀 씻기 과정 중에 aflatoxin이 감소되었고, 조리가 끝난 후 완전히 감소되지는 않았지만 조리된 밥에서는 aflatoxin이 53.1%만큼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떡을 조리한 후에는 aflatoxin의 감소율이 88.6%로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쌀튀기의 경우 가공 후 aflatoxin 감소율이 92.4%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에서 aflatoxin이 함유된 쌀을 조리 및 가공하였을 때에 쌀튀기 > 식혜 > 밥 > 떡의 순으로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떡을 제외한 다른 완성품에서는 aflatoxin이 우리 나라의 식품중 기준치(10 ppb) 이하로 낮아졌다. 이로부터 쌀의 조리 및 가공 과정 중의 세척, 찌기, 발효 및 popping 등은 aflatoxin의 감소에 도움이 되며, 특히 고온 및 고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떡에서 aflatoxin이 식품 중 기준치 이하로 감소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항생제 및 항균 물질 등의 오, 남용으로 인하여 항생제 내성균들이 등장,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식물이나 probiotics 등과 같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오래 전부터 민간 요법으로 사용되어 오던 백련초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를 이용하여 in vitro와 in vivo에서 Salmonella enteyica serova. Enteritidis (S. enteritidis), S. enterica serova. Typhimurium (S. Typhimurium) DT104 및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능을 평가하였다 백련초의 수용액이 포함된 Moulter Hinton agar에 Salmonella spp. 및 S. coli O157:H7를 접종한 결과 이들 균에 대한 억제능(inhibitory activity)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련초 제제를 경구투여한 군에서 분변으로 배출되는 S.typhimurium DT104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낀 후에는 더 이상 분변으로 균이 배출되지 않았으며, intestinal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백련초가 in vitro에서 S. enteritis, S. Typhimurium DT104와 E. coli O157:H7대한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마우스의 gastrointestinal tract에서 역시 Salmonella에 대한 항균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백련초 및 그 성분을 이용한 병원성 세균의 제거 및 면역 증진 효과 등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고, 그 응용 가능성도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almonella species 718 isolates were isolated from patient in Seoul from 1996 to 2001. The two hundred and ninety eight isolates (41.5%) were identified as Sal. Enteritidis, followed by Sal. Typhi 218 isolates (30.4%), and Sal. Typhimurium 87 isolates (12.1%). The identified Salmonella species were most resistant to tetracycline (32.7%), followed by streptomycin (28.0%), ticarcillin (18.1%) and ampicillin (12.4%). Among isolates, 34.7% of Sal. Enteritidis were resistant to tetracycline, 32.3% to streptomycin, 23.2% to ticarcillin, 13.5% to ampicillin, respectively. 13.8% of Sal. Typhi were resistant to streptomycin, 10.6% to tetracycline, respectively. 66.7% of Sal. Typhimurium were resistant to tetracycline, 42.5% to streptomycin, 28.7% to ticarcillin, 26.4% to ampicillin and 17.2% to chloramphenicol, respectively. Of 718 isolates, 324 isolates (45.1%) were resistant to 1 or more drugs and 64 isolates (19.8%) were resistant to 1 drug, 132 isolates (40.7%) were resistant to 2 drugs, 50 isolates (15.4%) were resistant to 3 drugs, 27 isolates (8.3%) to 4 drugs, 27 isolates (8.3%) to 5 drugs, 22 isolates (6.8%) to 6 drugs. The most prevalent multiple resistant pattern was tetracycline-kanamycin (35.5%), followed by tetracycline-kanamycin-ticarcillin (8.3%), and tetracycline-kanamycin-ticarcillin-ampicillin (7.4%). Antibiotic resistant rate of Sal. Typhimurium was 73.6%, followed by Sal. Enteritidis 53.7% and Sal. Typhi 19.3%. Most Sal. Enteritidis was resistant to 1 drug or 2 drugs, whereas Sal. Typhi and Sal. Typhimurium were more resistant to 5 (16.7%) or 6 drugs (26.6%). The old generation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tetracycline, and streptomycin were annually more resistant than the new generation antibiotics such as ceftriaxone, ciprofloxacin or cefoxiti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spring water, we performed the standard plate count, coliform and psychrotrophilic bacteria in 109 spring waters in Seoul. Of 109 spring waters, geometric mean of standard plate count was 0.19 CFU/ml, and the highest in Mt. Boolam, 4.43 CFU/ml and Mt. Dobong, 3.86 CFU/ml, but not detected in Mt. Woomyun and Mt. Cheonggye. Four spring waters have shown over 100 CFU/ml in standard plate count. The geometric mean of psychrotrophilic bacteria was 49.2 CFU/ml, the most prevalent spring water was Mt. Nam, 125 CFU/ml, the lowest Mt. Woomyeun. Among a total of 109, coliform was detected from 21 spring waters(19.3%) and the geometric mean of colirorm was 0.005 MPN/100ml. The isolated genera of coliform were 7 isolates of E. coli(33%), 5 Klebsiella(24%), 4 Enterobacter(19%), 3 Citrobacter(14%) and 2 Serratia(10%), respectively. The 22 spring waters(20.2%) failed to meet the standard limits of drinking water based on regulation in Korea. The inappropriate rate of standard plate count in spring water was 4.5%, that of coliform was 81.1% and both of them was 13.6%. There wa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andard plate count and psychrotrophilic bacteria in spring water(r=0.95, p<0.01).
연안 어장에서 어획하는데 적합한 어구 구조 및 규모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현용 전어 선망 어구의 침강 속도와 조업 과정별 수중 형상 변화 및 어구에 대한 어군의 행동 특성 등을 실제 조업 어장에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의 침강 속도는 투망 시작부인 어포부에서 평균 13cm/sec, 중앙부인 170m부분과 280m 부분은 각각 9.0cm/sec와 9.5cm/sec, 투망 종료부에서 4.9cm/sec로 투망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느려지다가 종료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어구 하단부인 발줄은 투망 직후부터 인양되는 시점까지 대부분 해저에 닿게되고, 탈출방지장치로 사용중인 목봉이 발줄을 유지하는 수심은 평균 2.7m 이내로 현장에서 어민들이 의도하는 것보다 실제 깊이는 훨씬 낮았다. 3. 전어 어군은 표층보다 저층에서 훨씬 농밀한 군집 형태를 보이고 대부분의 시간을 해저에서 머물다 조류가 약해지면 표층으로 부상하는 연직 운동을 반복하였으며, 조류의 흐름이 빠른 사리 때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4. 그물에 갇힌 전어 어군은 투망 후 곧바로 침하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수직 행동을 반복하였으며, 그물 벽을 돌기 시작하는 어군과 일정한 유영 패턴 없이 포위권내를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어군으로 구분되었고, 그물 벽을 타고 도는 어군은 쉽게 그물감에 갇히는 경향이었다. 5. 어군의 탈출은 수심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수심이 낮은 어장에서는 표층에서 해저까지 그물이 어군을 차단하게 되므로 어구의 양 끝단 쪽에서만 탈출하고, 수심이 20m 이상 되는 해역에서는 그물의 침강 속도보다 침하하는 어군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물에 조우한 어군은 어구의 하단부를 통과하여 탈출하는 경우가 번번하였다. 6. 어구의 양 섶 개구부에서 어군은 탈출 방지 장치인 목봉을 설치한 후에도 목봉의 하방으로 계속 탈출하여 목봉의 역할이 미비한 것으로 보아졌다.×10-6kg/m3〈/TEX〉이었다. 3. 1999년도 대비 2000년도의 단위체적당의 어밀도는 트롤정점별에 대한 상호비교에서 개체수 및 중량에 대하여 2000년도가 1999년도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우점종 13종에 대한 비교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작게 나타났다. 7. 저항계수는 펄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55.7, 와이어형은 약 3.0~l6.0, 기본형은 약 1.5~8.5이며, 모래에서는 체인형 발줄이 약 10.0~60.0, 와이어형은 약 3.0~l4.0, 기본형은 약 1.2~6.0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절과 모래 모두에서 저항계수가 체인형이 다른 두 종류의 발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크고,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 영양소는 비타민 A (남 0.52, 여 0.42 (p〈0.05), 칼슘 (남 0.68, 여 0.54 (p〈0.001)), 비타민 B2(남 0.77, 여 0.67 (p〈0.01))이었다. MAR은 남녀 각각 0.82, 0.73 (p〈0.001)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주지역 노인들은 식품을 다양하게 섭취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유제품군과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toward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living in Daegu and B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consumers' awareness regarding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were low, while consumers' concerns for them were high, (2)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irradiated foods are safety of irradiated foods, dose permitted for food irradiation, benefits of irradiated foods, kinds of permitted irradiated foods, and legislations of food irradiation, and (3)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environmental hormones are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hormones, standards for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 hormones, materials releasing environmental hormones, methods to prevent environmental hormones, and kinds of environmental hormones.
This study provides a national examination on youths' 'understanding' of irradiated food. The 1,200 subjects of the survey were randomly sampled from male and female students throughout the nation, between grades five and eleven. Th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these samples in November 2000. The number of respondents with exposure to irradiated food was so small, amounting to only 4.0 percent of the whole sample. The core concept used in this study is 'impression'. An impression is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subject, which carries significance to an individual.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grade was, the more value the contents of impression contained. Furthermore, impressions concerning atomic or nuclear energy, and radioactivity increased greatly among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above. Providing information of effects and advantages of irradiated food was focused to increase positive impressions and decrease the negative ones more greatly than providing simple factual information. Youths showed less value-centered impressions of irradiated food and more impressions centered on fragmented facts than adults. Respondents previously exposed irradiated food were shown to acquire the most of their information from the television and newspaper media. Among six information sources presented in the survey, youths pointed out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as the most credibl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nvironmental/ consumer organizations were evaluated as having relatively high credibility. Providing simple factual information of irradiated food did not seem to bring about any difference to the intention of purchasing irradiated food.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provided with effects-included information showed an increase in such intention. Our research results of the youth show a notable difference with that of the adults. Thus, programs and strategies to enhance youths' understanding should differ from those concerning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 and behavior of eating and purchasing seafood in relation to eating pattern at the household level among Korean housewives. Analysis data from 676 housewives in Kore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venty-three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liked seafood dishes for their taste, good nutrition and health benefit in order, but 3.2% disliked seafoods because of their bad smell, cooking difficulties and high prices. In comparison with the meat dishes, seafoods were considered superior to meat in nutritional value(49.9%), health aspect(46.4%) and taste(42.4%) but seafood stuffs were evaluated inferior to meat in the aspects of preparation process(43.9%), sanitational problems(40.4%) and higher price(35.2%). The favorite fish cooking methods of housewives turned out to be grilling, stewing, eating as raw fish, braising and frying in order. The 74.7% of respondents evaluated that their family preferred seafood dishes, but 37.2% of the subjects prepared seafood dishes 1-2 times a week followed by 3-4 times a week(24.0%), 2-3 times a month(19.6%), once a month(7.4%) and more than once a day(5.3%). The frequency rate of seafood prepa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p<0.05),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frequency rate. As for the difficulties in preparing seafood dishes, cumbersome processes before cooking(45.4%), high price(10.4%) and sanitational problems of distribution(9.9%) were indicate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age groups of the subjects(p<0.01).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younger generation housewife group is the major target in promoting seafood consumption at household level. We suggest to develop convenient sale packag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with information about easy handling and preparation of seafoods for the promotion of home cooking.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미국인 및 캐나다인의 식품구입 및 한국식당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한국마켓에서의 식재료가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 38%가 아니라고 응답하였고 77%가 음용수의 안전성을 확신한다고 대답하였으나 54%의 응답자는 수입된 물을 구입해서 마신다고 하였으며 한국음식을 상당히 좋아하고 한국음식점을 즐겨 찾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음식의 단맛, 짠맛, spicy한 정도는 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식당 종업원들의 위생관념에는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한국마켓에서의 식재료의 안전도에 관해서는 신뢰하고 있었으나, 일부 응답자들은 본국에서 음용수 및 음식을 가져다 먹는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식재료에 대한 더욱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또한 한국음식점 이용에 대한 질문에서도 전반적으로 좋은 반응을 보였으나 종업원의 위생관념의 부족을 지적한 바, 음식점에서의 위생분야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