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69

        1861.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매실산업은 산지 가공율이 매우 낮으며, 농가소득 향상 및 소비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 이 필요하다. 하지만 매실은 수확 기간이 짧고 장기 저장도 어려운데다 가공 공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생산성 이 낮아 가공제품 개발에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지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매실 절임가공의 전과정 기계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실 절임가공 전과정 최적화와 기계화 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쓰기 위해 가공제품별 절임가공 전과정 작업공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매실 절임가공 제품은 매실절임, 매실 고추장 장아찌, 베리류를 활용한 매실 절임, 씨바른(없는) 매실당절 임, 우리 입맛에 맞춘 일본식 매실 장아찌(우메보시) 등으로 다양하였다. 이와 같은 매실 절임제품 작업공정에서의 공통 공정은 세척 및 물기 제거 → 과육절단 및 씨 분리 → 부재료 혼합 및 밀봉포장 → 1차숙성 → 용출액과 과육 분리 및 물기 제거 → 2차 부재료혼합 및 밀봉포장 → 2차 숙성 → 제품 출하 또는 2차 가공품 생산 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조사결과를 분석해 보면 매실 절임가공은 공통 공정은 있으나 지역이나 업체마다 공정이 천차만별이고, 같은 공정이라 하더라도 지역이나 업체마다 작업방법, 설비 등이 다양하며,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공정 구성에 대 한 인식 부족으로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공정 구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실 절임가공 공정 최적화 를 위해 천차만별인 공정을 표준화하는 것은 현실과 동떨어지므로 공정 표준화보다 공통되는 단위 공정별 기계화 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절임제품에 따라 상이한 공정이 있어 전과정 기계화는 매우 어려우므로 제품 또 는 사용자 형편에 따라 사용자가 공정에 맞는 기계를 선택할 수 있는 방향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정별 최적화된 설비·설계를 위해 수확후 매실의 세척, 탈수, 씨제거, 절단 등의 공정과 단위공 정별 처리시간과 성능, 투입인원 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매실 절임가공 기계화 시스템 최적 설계안을 도출할 계 획이다.
        1862.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domestic seaweed production is about 800,000 tons per year, which is the largest seaweed production in the world after China and Japan. However, most seaweeds (Pyropia ssp, Undaria pinnatifida, Saccharina japonica, etc) are consumed in the form of dried products or hot water extracts,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eveloping various products due to difficulti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the pulsed electric field treatment device, the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vectional hot water extraction. Pulsed electric field technology is a non-heating treatment technology in which high-voltage electric energy is processed into cells in the form of pulses, affecting the potential difference of cell membranes, and performing collapse or perforation treatment. In this study, components such as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 were extracted by treating Saccharina japonica with PEF, and compared with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As a result of experiment at voltages of 0.7 and 1.5㎸ and pulse duration of 5㎲, the crude protein content increased by up to 42% and the sugar content increased by up to 30% compare to the hot water extraction. Higher efficiency results can be expected through optimization of several parameters that may affect the extraction process.
        1863.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표적인 매실 가공제품인 당절임식품의 제조과정은 먼저 선별기로 낙과, 찰과 등을 분리·제거하고 세척하여 수 분을 제거한 후 길이방향으로 6-7 조각으로 절단하여 씨를 분리한다. 그러나 매실은 수확기가 고온기로 수확기간 이 짧아 장기저장이 어려우며 생과로 이용할 수 없어 수확 즉시 가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매실 특성 때문에 수확 즉시 안정적인 가공을 위해서는 모든 공정의 기계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척부터 완제품 포장까지 매실 절임 제품 생산 전과정 기계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매실 세척 및 탈수 시스템을 제작하 고 시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세척장치는 세척조에서 순환펌프에 의해 분출되는 물줄기와 터지는 공기방울에 복합적으로 세척되며, 상승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헹굼세척이 된다. 세척수는 보조 물탱크의 거름망에 이물질이 걸 러져 재순환 된다. 탈수장치는 세척된 매실을 매시벨트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면서 송풍기의 고속·고풍량 바람으로 연속해서 탈수된다. 시험재료는 2020년 6월 수확된 전남 순천 매실로 옥영 L, 남고 L 및 2L이었다. 세척 시험은 옥 영을 공급량별 3수준(10, 20, 30kg)로 세척 전후 탁도를 비교하였다. 세척 및 탈수 시험은 남고 L, 2L에 대해 세척과 탈수를 연속으로 하면서 세척 전후 탁도, 세척한 매실의 탈수율, 작업시간을 측정하였다. 탁도는 세척 전후 매실 300g를 증류수 500ml로 3분 동안 세척 후, 600rpm 30초 동안 진탕하여 10ml씩 수질측정기(90-FLT, TPS, USA)로 측 정하였다. 세척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매실에 손상 여부를 살펴보았다. 모든 시험은 3반복하여 평균값으로 나 타내었다. 시험결과, 옥영의 세척 전 탁도(ppm)는 공급량별로 각각 9.6, 11.8 및 12.3이었으나 세척 후 탁도는 각각 4.5, 4.2 및 5.5으로 세척 정도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었다. 남고 L 및 2L의 세척 및 탈수 시험결과 탁도(ppm)는 세 척 전 13.5, 23.4이었으나 세척 후 8.0, 12.0으로 낮아졌다. 옥영에 비해 남고의 탁도가 높았는데 이는 한여름에 수 확되어 시험 기간 동안 일부가 물러진 남고의 과즙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탈수 시험결과 세척 시 매실에 묻은 물 기의 31.2%, 38.2%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매실은 없었으며, 시험에 걸린 시간(초)은 900.3~912.0이었다. 세척수 온도는 0.5℃가 상승하여 매실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로 매실의 세척 및 탈수 정도를 수치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세척 전후 품질 등의 분석, 30% 남짓한 탈수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세척부터 포장까지 매실 절임가공 생산 전과정 기계화 연구로 이어가야 할 것이다.
        1864.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봄배추를 실용규모의 저장고에서 90일 간 신선하게 저장하였다. 봄배추 춘광 을 수확 1일 전에 노지에서 락스와 테 브코나졸 혼합약제를 살포하여 소독하 고 플라스틱 상자에 담에 팰릿에 적재 한 다음, 40공 타공 비닐로 씌워 저장 고에 일시에 채우고 1일 2℃씩 냉각하 여 0.7℃에서 90일간 저장한 결과 중 량감소율 4.73%, 총정선손실률 8.26%로서 총저장손실률이 12.6%였 다. 그리고 팰릿 포장한 배추를 7일간 5회 분할하여 저장고에 채우고 56공 타공 비닐로 씌워서 바로 2.7℃로 냉각 하여 90일간 저장한 결과 중량감소율 8.08%, 순정선손실률 3.26%로서 순 저장손실률은 11.1%였다. 이때 저장 한 봄배추는 생리장해가 발생하지 않 았고 90일차에도 품질이 신선하였다.
        1865.
        2020.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봄배추의 중량감소를 낮추면서 생리장해를 최소화하는 기체조절포장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봄배추는 직경 14mm로 타공(0, 32, 40, 48개)한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필름으로 팰릿 단위로 포장하여 1-2 ℃에서 90 일간 저장하면서 손실률, 생리장해, 총균수, pH, 고형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타공수에 비례하여 중량감소율이 증 가되었고 생리장해 발생률은 낮아졌다. 이는 타공구멍으로 냉기가 순환하여 생리작용을 억제하고 수분과 이산화탄소 가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총 저장손실률과 곰팡이 발생, 생리장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48개(73.9cm2)를 타공하 여 포장한 봄배추의 품질이 양호하였고, 이때 팰릿 내부 온도는 2-3 ℃, 상대습도는 91-95 %를 유지하였다.
        186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부 3지역에서 시설재배 3농가 총 9농가를 선 정하여 2019년과 2020년도 재배 중인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 퇴비,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 토양, 퇴비, 농업용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B. cereus, S. aureus를 조사하였다. 2019년 채취해 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6.15- 8.82 log CFU/g, 대장균군은 2.75-4.88 log CFU/g, 21.58-37.95 MPN/100mL, B. cereus는 1.79-5.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6.41-8.44 log CFU/g, 대장균군은 1.57-2.82 log CFU/g, B. cereus는 2.48-6.00 log CFU/g으로 검 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6.42-7.74 log CFU/g, 대장균 군은 2.39-5.73 log CFU/g, 14.45-2419.6 MPN/100 mL, B. cereus는 1.48-5.5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C지역 III농가 토양에서 대장균이 1.86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2020년 채취해온 시료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A지역 일반세균수는 2.83-8.20 log CFU/g, 대장균군은 0.28-4.03 log CFU/g, B. cereus는 0.41-5.30 log CFU/g, S. aureus는 0.40-4.85 log CFU/ g이 검출되었다. B지역 일반세균수는 0.84-7.25 log CFU/g, 대장균군은 3.13-3.56 log CFU/g, B. cereus는 1.69-2.82 log CFU/g, S. aureus는 2.44-3.78 log CFU/g이 검출되었다. C지역 일반세균수는 2.04-8.83 log CFU/g, 대장균군은 0.43-4.04 log CFU/g, B. cereus는 0.70-4.93 log CFU/g, S. aureus는 1.81- 6.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부추는 토양과 퇴비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부터의 오염, 농업용수로 오염된 토양과 퇴 비로의 오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B. cereus가 오염될 수 있다. β-hemolysis 활성을 지니는 B. cereus가 부추와 재배환 경시료로부터 분리되었기에 B. cereus의 오염 예방이 중요하다. 반면에 병원성 E. coli,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은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와 S. aureus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과 퇴비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멀칭 재배와 농업용수의 관리, 사용 후 퇴비 관리 등 재배 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작물과 재배환경의 모니터링 연구와 작업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1868.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의식품을 구매한 뒤 집으로 귀가해서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섭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그에 따른 신선편의식품 내.외부의 온도변화와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판 중인 신선편의 식품에 대해 위생 지표세균인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 병원성 미생물 인 B. cereus, S. aureus,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신선편의식품을 구매 후 귀가 또는 섭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대 3시간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차량 트렁크 내에서 최대 3시간 동안 보관 한 결과 차량 트렁크 내부 최고 온도가 봄(3월) 19oC, 여 름(7월) 44oC, 가을(9월) 31.3oC, 겨울(2월) 17.6oC로 각각 확인되었으며, 차량 트렁크에서 보관한 신선편의식품의 품온은 최대 봄 18.5oC, 여름 42oC, 가을 29.2oC, 겨울 16.8oC 로 확인되었다. 차량 트렁크에 최대 3시간 보관한 신선편의식품의 일반세균수는 봄 3.41 log CFU/g, 여름 4.32 log CFU/g, 가을과 겨울은 각각 3.81 log CFU/g, 3.36 log CFU/g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의 대장균군 및 대장균, B. cereus,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S. aureus는 여름과 가을철에는 신선편의식품을 1시간만 차량에 보관하더라도 검출되었고, 봄과 겨울은 2시간 이상 차량 트렁크에 보관하였을 때 검출되었다. 이동 용기로 흔히 사용되는 종이박스와 스티로폼 박스 내부가 알루미늄필름으로 코팅된 종이 박스를 이용하여 얼음 첨가 여부에 따른 이동용기 온도변화 실험과 이동 중 S. aureus 의 증식여부를 확인한 결과 스티로폼 박스에서 내부 온도 변화가 가장 낮게 유지되었고, 시간 경과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도 가장 적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선편의식품 소비자들에게 구매 후 안전한 섭취를 위해 보관 온도나 시간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이동용 기를 이용한 신선편의식품의 온도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869.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ssessed yearly trends of food and nutrient intak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ged 16 to 18 years (n=2,377) using the 2007~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Yearly trends of food or nutrient intake were analyzed vi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ption of sugars & sweets, and beverages & alcohols was increased rapidly during this period (p<0.0001). Intake of meat & meat products, and fish & shellfish also was increased (p=0.0008). Intake of grains and grain products was increased until year 2011 but declined after 2012 (p=0.0025). Consumption of vegetables, and milk & milk products was decreased (p=0.0395). Intake of protein, fat,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iron was increased (p=0.0445). Carbohydrate energy ratio was decreased, whereas fat energy ratio was increased (p=0.0235). Most nutrient intakes satisfied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except dietary fiber (19.6~26.2%), calcium (46.9~55.2%) and sodium (more than 221.4%) during this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st food group intakes and most nutrient intakes (p=0.0468). Therefore, it is crucial to increase dietary fiber and calcium intake and decrease consumption of sugars, fats and sodium through diverse eating of food groups to ensure balanced nutrition of subjects.
        4,300원
        1870.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A survey was conducted on 589 consumers in Korea (297 people) and China (292 people).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lower in Korean consumers than in Chinese consum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lower in Korean consumers than in Chinese consumers (p<0.01).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1).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showed the same trend (p<0.001).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e overall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5).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by Korean consumers’ was higher in their 40s and 50s than in their 20s and 30s.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also high in their 40s and 50s (p<0.01).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by Chinese consumers’ was higher in their 20s and 30s than in their 40s and 50s (p<0.01).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showed the same trend (p<0.01).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p<0.001).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p<0.001). Overall, food technology neophobia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p<0.05).
        4,000원
        187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information for corn processing by compa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ize cultivars and kernel types (dent, intermediate, flint-like). As a result of analyzing 15 cultivars, a range of measurements were observed: 100-kernel weight, 22.89~35.63 g; moisture, 7.57~8.42%; crude protein, 8.46~11.45%; crude lipids, 3.26~4.83%; Hunter’s L-value, 83.70~86.79; a-value, 2.61~5.49; b-value, 22.01~28.15; and total carotenoids, 6.74~17.07 μg/g. Significance among the cultivars was shown in all quality characteristics (p<0.001), but the significance among the kernel types was found only in crude protein (p<0.005), crude fat (p<0.001), and Hunter’s L-value (p<0.05). The hardness of maize was de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oaking time for all maize cultivars (p<0.001). In particular, with the same soaking time for different kernel types, the hardness difference was shown in the order of flint-like > dent ≒ intermedi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in the hardness of flint-like kernel of close to that of hard-type starch was slowed compare dent and intermediate kernels. So it is expected the some characteristic of kernel types will contribute to the appropriate customized use of the developed cultivars.
        4,000원
        187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lue of using rice flour processed into rice powder in preparing porridg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pH, total starch, reducing sugar, and color conten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rice flour and the pH of porridge made with rice flour were measured. Rice flour contained 77.55% moisture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rridge made from rice flour processed into rice powder was 91.40 to 92.47%. The pH of rice flour porridge was acidic at 6.53 to 6.95. The color of the porridge was also measured. The L* values ranged from 82.62 to 97.55, the a* values ranged from -0.09 to 0.08, and the b* values ranged from -2.74 to 1.91.
        3,000원
        187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lken tofu products from the commercial market in Korea. Seven types of commercial silken tofu were sampled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soluble solid contents, salinity, pH, total acidity, moisture contents (total solid contents),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evaluated. The TPA results suggest that the texture of silken tofu was ve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type of and the amount of coagulant. The commercial silken tofu showed a range of pH 5.53~6.48, total acidity of 0.12~0.32%, soluble solid contents of 2.62~5.07 °Brix, salinity of 2.28~4.30%, and moisture contents of 87.10~92.24%,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coagulant of tofu, besides the GDL (glucono-δ- lactone), other coagulants such as MgCl2 for making ‘silken tofu’ in the Korean tofu marke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 constituents of sample and the coagulants of tofu us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identifying new trends in the domestic silken tofu industry.
        4,000원
        187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o develop bal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which are not used as tea, a method of making green tea was referred to, and several physiolog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balloon flower leaf tea with different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were 33.02 mg GAE/g and 5.03 mg/g at two times of roasting and one time of rubbing,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total flavonoids, the RO3 + RU2, subjected to three times of roasting and two times of rubbing, showed the highest value,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other samples. Except for the green tea as a control, the RO2 + RU1 samples repor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times of roasting and rubbing. The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tended to decrease slightly as the number of increasing roasting and rubbing among the sampl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se things together, to develop tea using the balloon flower leaves would be suitable with two times of roasting and one time of rubbing.
        4,000원
        1875.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Jeolpyun containing S. glauca (Bunge) Bunge powder (2%, 4%, 6%, and 8%) and extract (2%, 4%, 6%, and 8%) was evaluated based 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donating ability, scavenging of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Jeolpyun containing 8% S. glauca (Bunge) Bunge powder were the highest with a value of 2,280±0.00 μg GAE/mL. It was observed that total polyphenol content exhibite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concentrations at p<0.05.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Jeolpyun containing 8% S. glauca (Bunge) Bunge extract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83.93±0.69%. The electron-donating abilit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centrations (p<0.05).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blank was 0.01523±0.00068 and Jeolpyun containing 6% S. glauca (Bunge) Bunge powder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0.00977±0.00842. The hydrogen peroxide decomposing ability of Jeolpyun containing 0% S. glauca (Bunge) Bunge powder was -0.00377±0.0049; 8% S. glauca (Bunge) Bunge powder revealed the highest decomposing ability of -0.0476±0.0234. Hydrogen peroxide decomposing abilit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centrations (p<0.05). Jeolpyun containing S. glauca (Bunge) Bunge powder and extract demonstrated improved antioxidative activities.
        4,000원
        1876.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ne times repetitive steaming and drying process Sunsik diets on antioxidant activity in obese mice fed high fat diets to prevent oxidative stress, using drying materials comprising 23 kinds of cereals (61.5%), beans (30.0%), sweet potato and potato (3.0%), fruits (2.0%), vegetables (3.0%), and stevioside, a natural sweetener (0.5%). We produced three sampl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lassified into the normal diet group (control), the high fat diet group (HF), and the high fat diet group + the Sunsik group (3HFS, 7HFS, 9HFS) fed to the mice for eight weeks. As a result, the serum, liver lipid peroxide, and nitric ox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C group at p<0.05 level, and the NO level was lower in the Sunsik supplemented groups. The antioxidant enzyme catalase 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F group at the p<0.05 level compared to the C group. 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rum, liver, and kidney tissues than the HF group (p<0.05). The anthocyanin level in liver and spleen tiss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fed Sunsik than in the HF group.
        4,000원
        187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ractylodes lancea (A.l.) in a dose-dependent manner on lipid levels and plasma glucose in diabetic rats induced with streptozotocin (STZ). Th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five groups: normal, STZ-control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A.l.-1, diabetic treat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1 g/kg b.w.), A.l.-2, diabetic administer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2 g/kg b.w.), and A.l.-3, diabetic administered with ethanolic extract of A.l. (3 g/kg b.w.)]. The normal and STZ-control group were fed an AIN-93 diet and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tered with A.l. extract at doses of 1, 2, and 3 g/kg b.w./day, respectively, for 14 days. The plasma glucose levels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after 14 days of treatment. The total cholesterol of the A.l.-3 and triglyceride levels, atherogenic index (AI) of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The ALT and AST activities at A.l.-2, A.l.-3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Z-control group. This result that demonstrate the administration of Atractylodes lancea can reduce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risk in diabetic rats.
        4,000원
        1878.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varietie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from the 55 accession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cabbage were determined by the TPC, TFC, DPPH, ABTS, and chlorophyll, carotenoid contents. The TPC and TFC showed a range of 1.21~4.61 mg GAE/g DW, 0.18~3.09 mg CE/g DW. The DPPH and ABTS assay were in the range of 0.65~4.36 and 1.42~6.91 mg ascorbic acid equivalent (ASCE)/g DW, respectively. The UPLC analysis was performed quantitatively to identify chlorophyll and carotenoid in the Chinese cabbage extract. The levels of the total chlorophyll and total carotenoid were 86.60~1,235.91, and 75.86~490.11 μg/g, respectively. The comprehensive differences in the total and individual chlorophyll contents have also been observed among different varieties. These results will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4,300원
        1879.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Meju prepared by inoculating two strain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HJ5-2, and Aspergillus oryzae PS03. The three soybean varieties that include Daewonkong, Daechan, and Saedanbaek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fermentation temperature during the Meju aging varied at 20℃, 30℃, and 40℃, respectively.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the soybeans, showed that the cured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34.83~43.49% and 12.91~18.90%, respectively. The pH and total acidity were 6.47~6.93 and 0.11~1.22%, respectively. The change in appearance of the Meju was that the yellow-green mold was well formed on seven days at fermentation temperature of 20℃ and 30℃, but at 40℃, there was minimal mold formation and cracking of the surface. The amino nitrogen content was highest on the Daechan Meju at 621.83 mg% for seven days. The amylase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d in all samples, and the protease increased rapidly until the first day of the fermentation,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hereafter.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increased or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o 6.66~10.07 log CFU/g. The mold cou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period in the range of 6.38~8.79 log CFU/g.
        4,000원
        1880.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랑어로부터 추출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결과, histidine, 1-methylhistidine, carnosine과 anserine을 포함한 histidine 관련 화합물과 다랑어에서 추출한 histidine 함유 저분자 peptide는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지녔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 또한 증가하였다. 다랑어 추출물은 2차 이온교환 처리물이 carnosine 과 anserine의 dipeptide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가열처리와 한외여과를 병행한 경우와 이온교환과 한외여과 처리를 한 동결물의 경우 ascorbic acid와 유사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Histidine 함유 dipeptide 중에서 anserine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carnosine은 두 번째로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Dipeptide와 비교하 여 황다랑어, 눈다랑어 추출물이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환원력이 증가하였다. 다랑어 추출물 원육에서의 SOD 유사활성은 약했으나, 가열처리와 한외여과를 병행하였을 때, 황다랑어 눈다랑어 추출물이 농도별로 4.0-19.4%, 5.7-20.6%로 나타났으며, 이온교환과 한외여과를 병행하였을 때, 8.3-27.9%, 5.4-25.0%, 2차 이온교환 처리를 하였을 때, 8.2-29.5%, 8.6-32.1%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자동산화의 중간생성물인 과산화물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CM-cellulose의 처리 동결건조물은 ascorbic와 유사하게 지질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내의 pH 변화를 고려하여 pH 1.2, pH 3.0, pH 4.2로 조절하여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살펴보았을 때, 황다랑어 추출물의 경우 25.14%, 15.09%, 13.71%, 눈다랑어 추출물은 27.44%, 18,28% 18.09%로 pH 1.2, pH 3.0에서 carnosine과 anserine보다 낮지만 pH 4.2에서 histidine 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