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사료작물과 목초류 7종(호맥, 대맥, 연맥, Italian ryegrass, alfalfa, orchardgrass 및 혼과목초)을 공시재료로 하여 곤포사일리지(BS=baled silage making)조제이용을 위한 수확시기와 이때의 BS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에 있어서 작물재배는 농촌진흥청의 사료작물 및 목초 표준경종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작업중 BS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각형 베
본 연구에서는 복합막의 합성을 위한 기초연구로 상용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물성과 레독스-흐름전지의 충방전실험을 통해 셀저항과 막저항을 특정하였다. 셀저항율과 막저항율은 충전할 때보다 방전할 때가 더 높았으며 동일한 막에서는 충전심도가 커질수록 저항율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hydrocarbon type인 Selemion CMV막이 perfluoro type인 nafion 117, 551막보다 저항율이 작음을 알 수 있었으며 2N 염산수용액에서 충전심도가 0%일 때 셀 저항율과 막저항율이 각각 12.864Ωcm2 , 8.751Ωcm2 였다.
The mean velocity gradient, G, has been used as a principal design and operation parameter for flocculation unit. This paper questions that significance. The physical and qualitative meaning of collision efficiency factors of each transport mechanism (Brownian motion, fluid shear, and differential sedimentation) are reviewed. The overall collision frequency function is calculated by summing up the collision frequency function of each mechanism. In the collision of two particles of different size, a diagram showing the dominant region in which each mechanism is important is developed and the meaning of the diagram is discussed. The primary ramification of this curvilinear, heterodisperse approach is that G is found to be not nearly so important. Previous experimental work in which the role of G has been examined is reviewed in light of this finding.
PAN계 탄소섬유와 페놀수지를 이용하여 rod를 인발성형 한 후, 다른 섬유분율을 갖는 두종류의 hexagonal type 4D 프리폼을 제작하였다. 석탄계 핏치를 가압함침 탄화공정을 통하여 함침한 후 탄화와 고온열처리를 하였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고밀도화된 4D CRFC를 제조하였다. 열충결 시험 후 새로운 크랙이 생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크랙이 확장되었으며 이와 같은 크랙들은 공기와의 접촉면을 제공하여 중량감소를 보였다. 공기 산화 저항성을 고온열처리 공정을 거친 것이 약 20% 우수하게 나타났다. 4D CFRC의 밀도와 섬유의 분율이 높을 수록 삭마 저항성이 커지고, 삭마량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ype II가 type I보다 삭마저항성이 우수하였다. 삭마 메카니즘을 관찰한 결과 1차적으 기질의탈리가 먼저 일어난 다음 섬유가 삭마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우이령계곡, 하루재계곡, 구기계곡, 송추계곡 도봉산계곡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각 지역에 38, 40, 26, 28, 36개씩의 조사구(조사구면적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종합하여 TWINSPAN에 의한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BPAN에 의하여 서어나무군집 (I), 신갈나무군집 (II), 소나무군집 (III), 신갈나무-소나무군집(IV), 신갈나무-졸참나무-산벚나무군집 (V), 신갈나무-굴참나무군집 (Ⅵ), 아까시나무-상수리나무군집 (Ⅶ), 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집(Ⅷ), 신갈나무-굴참나무-쪽동백나무군집(Ⅸ) 등 9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자연림의 교목층에서는 소나무→신갈나무, 인공림에서는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상수리나무, 물푸레나무 순이었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바위말발도리, 개옻나무, 산철쭉, 참회나무→당단풍, 함박꽃나무, 생강나무 순이었다. 기왕의 연구와 비교하여 인간의 간섭과 대기오염으로 인한 토양산성화 등으로 인해 천이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강도가 각각 다른 세 종류의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일방향 CFRP를 적층하였으며, 모드 I과 모드 II 실험을 통하여 층간 파괴인성치를 고찰하였고, 또한 적층 섬유방향을 변화시킨 사교적층판의 그것도 함께 고찰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임계에너지 방출률 G 하(IC)의 값을 컴플라이언스 법, 수정 컴플라이언스 법, 그리고 보이론에 의해 계산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정식에 의한 값들이 거의 일치하였다. 2) G 하(IC) 값은 대체로 프리프레그의 C, B, A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 하(II C)의 값을 세가지 식에 의해 계산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 거의 일치하였다. 3) 사교적층판의 경우 G 하(IC) 값은 [0/90] 하(6s), [0/45] 하(6s), [0/45/90] 하(6s)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 하(II C)는 [0/90] 하(6s), [0/45/90] 하(6s), [0/45] 하(6s)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사교적층판과 일방향의 임계에너지 방출률을 비교하였을 때, 모드 I의 경우 일방향의 결과가 다소 높았으며, 모드 II의 경우는 [0/45] 하(6s)의 결과는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The awareness of the nutrition labeling of 82 food producers and 668 government officials was assessed and compared, from May to June in 1994, to that of consumers. Compared to 82.4% of cosumers, 48.1% of producers and 47.8% of officials answered that nutrition labeling is necessary. 48% of producers expected a modest food price rise, but 70% thought food sales would not be affected with nutrition labeling. While being worried about the regulatory difficulties and the increased work load given the inadequat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due to insufficient personnel, 50.2% of officials wanted the new nutrition labeling system to be introduced within 1~2 years. Contrary to the general dissatisfaction with the system and the lack of confidence in it on the part of consumers, producers thought that they currently provide sufficient food information for consumers, and that consumers had much confidence in it. Producers and officials were more found worried about consumers' inadequate understanding and inactive use of the system in contrast to the widespread and welcome support on the part of consumers. But it was fully agreed by all that education and awareness is cruc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system.
A hazard analysis which included watching operations, measuring temperatures of foods throughout preparation and display, and sampling and testing for microorganism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bacteria was conducted in various phases of product flow of Naeng-myeun (Cold noodles) and Pi-bim bab (mixed rice)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Large numbers of total plate counts were counted from the cooked foods after handling and holding. Ingestion of these foods must be considered high risk. Critical control points identified were, pre-preparation, food handling after cooking, and holding on display in product flow of Nang-Meon and pre-preparation, preparation, and holding on display in product flow of Pi-bim bab. It need for effective quality control of Nang-Meon and Pi-bim bab that training program consist of surveillance, education of the staff,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forbidding dangerous processes and control of critical poi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ditives and drying methods in Yukwa's manufacture. Additiv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hardness, and bean water and bean powder added group rated better than the baking powder and boiled bean added group. Sensory evaluation test showed that bean water and bean powder added group produced higher desirability. Drying method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attribute of sensory evaluation, natural drying and incubative plate drying produced higher uniformity, denseness and overall desirability.
전원을 단락시킴이 없는 SCR이중 브리지 트리거 방식을 고안하여, 정역전이 가능한 SCR 서보증폭기로 구성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I. 출력전압의 부호를 변경시킬 때 현재의 전언부호가 반전될 때까지 도통 상태를 유지시키다가, 전원부호가 반전된 이후 적절한 SCR을 도통 시킴으로서 크리거 실패가 없게 되어, 전원을 단락시키지 않게 되고 SCR의 소손을 막을 수 있었다. II. -에서 약 30Hz 부근까지는 60Hz의 전원으로서 원하는 출력을 표현할 수 있었는데, 이는 대형 직류 전동기의 동특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값이다. III. 유도성 부하의 경우라도 이미 도통된 SCR을 통하여 유동성부하L에 저장될 수 있는 에너지의 총량은 전원의 반주기 시간과 전원이 파고치값 한계내이므로, 다음 반주기동안 부호만 반전된 전원 전압과 동일한 반주기의 시간이 존재하므로,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해 반드시 다음 반주기 안에 현재도통된 SCR은 소호되게 되므로 트리거실패는 존재하지 않는다.
large scale production of cloned embryos requires the technology of multiple generation nuclear transplantation(NT) using NT embryos as the subsequent donor nucle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producing the second generation cloned rabbit embryos, and also to determine the electrofusion rate and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comparatively in the cloned embryos of the first and second NT generation. The embryos of 16-cell stage were collected from the mated does by flushing oviducts with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FCS) at 47 hours after hCG injection In the first generation NT, the nuclear donor embryos were synchronized in the phase of Gi /S transition of 32-cell stage. The first generation NT embryos which were developed to 8-cell were synchronized in Gi /S transition phase of the following 16-cell stage and used as donor nuclei for second generation Synchronization of the cell cycle of blastomeres was induced, first, using an inhibitor of microtuble polymerization, colcemid for 10 hours to arrest blastomeres in M phase, and secondly, using a DNA synthesis inhibitor, aphidicolin for 1.5 to 2 hours to arrest them in Gi /S transition boundary. The recipient cytoplasms were obtained by removing the nucleus and the first polar body from the oocytes collected at 14 hours after hCG injection. The separated donor blastomeres were injected into the enucleated recipient oocytes by micromanipulation and were electrofus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f three pulses for 60 sec at 1.25 kV /cm in 0.28 M rnannitol solution The fused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a monolayer of rabbit oviductal epithelial cells in M-199 solution containing 10% FCS for 120 hours at 39 in a 5% incubator. Following in vitro culture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cloned embryos to blastocyst stage, they were stained with Hoechst 33342 dye for counting the number of blastomer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lectrofusion rate was found to be similar as 79.4 and 91.5% i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NT rabbit embryos, respectively. 2. The in vitro developmental potential to blastocyst stage of the second generation NT embryos (23.3%) was found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generation NT embryos (56.8%). 3. The mean blastomeres counts of embryos developed to blastosyst stage following in vitro culture for 120 hours and also their daily cell cycles during the culture perio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o 104.3 cells and 1.33 cylces in the second NT generation, compoared with 210.4 cells and 1.54 cycles in the first NT generation, respectively.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and timing for in vitro maturation of oocytes to metaphase of meiosis II (M II), the immatured follicular oocytes were recovered by puncturing the large(1.0~1.5 mm in diameter) and small(<1.0 mm in diameter) follicles in the ovaries of rabbits treated intramuscularly with a single dose of 100 TU PMSG 68 hours previously. The follicular oocy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by the attachment of cumulus cells. The Grade I and II follicular oocytes from large follicles were cultured in BO-DM medium with 10% FCS, 35 g /nl of FSH, 10 g /ml of LH and 1 g /ml of estradiol-17 at 39t in a 5% incubator for 11 to 23 hours. In 3 hours interval during the culture period, the oocytes were harvested and their cumulus cells were removed with hyaluronidase. The denuded oocytes were stained with Hoechst 33342 dye and their meiotic status and extrusion of the first polar body (PB) were examin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Also the fragmentation of the first P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B and nucleus were examin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recovery rate of follicular oocytes from the large and small follicles was 59. 9 and 31.3%,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covered per rabbit and the Grade I percentage were 14.6 and 94.4% in large follicles, but 2.1 and 61.1% in small follicles, respectively. All the parameters examined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5) between both the folliclular size. 2. Most of the follicular oocytes(86.8%) were matured in vitro to M II phase in 14 hours in Grade I oocytes, but the significantly(p<0.05) less oocytes(45.5%) were matured in Grade II oocytes. 3. The first PB was extruded in most of the oocytes(94.7%) in 14 hours of culture with the fragmentation rate of 29.6%, but the fragmentation rate of the first PB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the culture period for maturation was longer to 20 hours(63.5%). 4.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B and nucleus was increased linearly (p<0.05) as the maturation time passed from 14(7.1rn) to 23 hours(58.4m). 5.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optimum time for in vitro maturation culture might be 14 hours in the follicular oocytes from rabbit primed with PMSG for 68 hours, expecially when these follicular oocytes were used for recipient cytoplasms in embryo cloning.
The 2-packaged polyurethane coatings were synthesized, blending pheylmodified polyesters(of which synthetic methods were reported in the previous paper), Desmodur L-75(polyisocyanate wide1y used for coatings), wetting-dispersing agent, white pigment. etc. A variety of coating properties were tested for the coating treatment polyurethane coationgs. Compared with conventional 2-packaged polyure-thane coating, abrasion resistance and lightness index difference of the ones synthesized in the present work were somewhat decreased, but the coating properties such as hardness, gloss specular, cross hatch adhesion. etc. were improved. Especially, resistance against chemical reagents and salt were strikingly improved. In addition. the coationgs had short drying time and long pot-life. This shows that the coationgs are appropriate for rapid drying coatings.
미셀반응, 유화중합, 상간이동촉매반응 등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응 후 분해되는 분해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케탈이나 아세탈반응에 의하여 이루워진 1,3-디옥솔란 고리가 산수용액 중에서 불안정해 쉽게 가수분해로 계면활성을 띠지 않는 분해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은 백색결정상태로 얻었으며 수율은 90% 이상이었다. 그리고 이 화합물과 중간생성물은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적외선과 수소핵자기공명 및 원소분석 스텍트라로 그 화합물들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Cu와 Si사이의 확산방지막으로 1000Å 두께의 TiN의 특성에 대하여 면저항 측정, 식각패임자국 관찰, X선 회절, AES, TEM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TiN 확산방지막은 550˚C, 1시간의 열처리 후에 Cu의 안쪽 확산으로 인해 Si(111)면을 따라 결정결함(전위)을 형성하고, 전위 주위에 Cu 실리사이드로 보이는 석출물들을 형성함으로써 파괴되었다. Al의 경우와는 달리 Si 패임자국이 형성되지 안흔 것으로부터 TiN확산방지막의 파괴는 Cu의 안쪽 확산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l의 경우에는 우수한 확산방지막 특성을 보여주었던 충진처리된 TiN가 Cu의 경우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Al의 경우에는 TiN의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TiO2가 Al과 반응하여 Al2O3를 형성함으로써 Al의 확산을 방해하는 화학적 효과가 매우 크지만, Cu의 경우에는 CuO 또는 Cu2O와 같은 Cu 산화물은TiO2에 비해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화학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충진처리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ly hazardous factor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outbreak of food borne disease and present more practical management methods in terms of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230 Korean-style restaurants in Seoul were surveyed in the same manner on the published study-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 in Korean style-restaurant in Seoul city area (I). Sanitary check-li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sanitary status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of employee. The sanitary condition of cooking equipment the maintenance of refrigeration, food habits and personal hygiene were assessed by the sanitary score. The sanitary condition of cooking equipment, the maintenance of refrigeration as well as food habits and personal hygiene employee was in good condition. The effective sani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good service workers should be practice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해상에서 어군의 행동과 분포상태를 탐지하여 그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기 위한 원격어군탐지기를 시험제작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서해의 고군산군도 연안에서 1994년 8월 8일, 18일~19일 및 9월 8~9일에 낭장망에 입망하는 어군의 유영층과 그 어획변동 등을 조사하고, 원격어군탐지기의 실용성을 평가하여 분석,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획어종은 12종이었으며, 멸치(Engraulis japonica), 꼴뚜기(Loligo beka), 밴댕이(Harengula zunasi) 등이 전 어획량의 95%이상을 차지하였다. 2. 해상이 동국에서 탐지한 어군탐지기의 기록과 그것을 원격으로 전송한 선상고정국의 어군기록은 매우 잘 일치하였다. 3. 멸치는 유속이 0.6kt 이하로서 유속변화가 적은 경우에 어획이 많았으며, 유속이 0.6kt이상인 때에는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어군의 유영층은 유속이 1kt이하에서 얕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유속이 1kt이상이고 유속변화가 커지면 유영층에 큰 변동이 없으며, 이때 평균깊이는 약 4m였다. 5. 1회 조업당 어획량은 10~30 kg이었으며, 유향과 어구의 부설방향이 일치하지 않거나 유속이 너무 강해지면 어획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시험제작한 원격어군탐지기는 낭장망어업에서 어군의 행동과 분포에 관한 어업정보를 파악하는데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정치망 내외에 있어서 정어리 대형군의 행동조사는 1992년 1월 29일부터 2월 22일 사이에 일본국 석천현 칠미시 연안 정치망어장에서 소나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소나의 영상기록을 해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치망 바깥쪽 부근에서 이동중인 어군의 행동양식은 어군의 각 위치에 따라 다른 행동이 관찰되었고, 부분적인 확대와 축소를 보이면서 어군전체가 이동하였다. 2. 헛통입구로 들어간 어군은 등망방향, 헛통의 등방향, 헛통의 옆줄방향으로 분산되었으며, 그후 헛통의 등방향, 헛통의 옆줄방향, 입구방향의 어군은 등망쪽으로 조밀하게 이동하는 행동양식을 취하면서 입구로부터 외등망까지 이동하였다. 3. 정치망의 안쪽과 바깥쪽에 있어서 어군의 주연부가 확대하는 경우, 최대 이동속도는 바깥쪽에서 277cm/sec, 안쪽에서 176cm/sec이었다.
주왕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하여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소나무-쇠물푸레군집, 소나무-쇠물푸레-참나무류군집, 소나무-활엽수혼효림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졸참나무, 신갈나무→서어나무,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참싸리, 진달래→쪽동백나무, 국수나무, 산초→당단풍, 생강나무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인 토양함수량과 토양산도는 군집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내 주왕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3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군집구조분석에는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 분포, 종다양도지수, DCA, CCA 및 TWINSPAN분석을 적용하였다. 30개 조사구의 우점수종은 소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이었으며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신갈나무-소나무-서어나무군집,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활엽수혼효림의 4개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17~l.32로 높게 나타났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