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기관은 자세의 조절에 관여하지만, 전정기관의 손상은 현기증 및 자세부조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기증의 원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전정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정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은 회전의자와 구동 및 분석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DC 서보모터로 구동되는 회전의자는 0.01-0.64 Hz의 주파수범위에서 60 ˚/sec의 초고속도로 정현파 회전한다. 현기증 환자에서 전정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정안구반사, 시운동성 전정안구반사 및 시각의 억제에 의한 전정안구반사를 측정하여 안구운동의 이득, 위상, 대칭성 등을 산출하도록 정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상 성인에서 시험한 결과 신뢰성있는 성적을 얻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현기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정도를 판정할 수 있으르로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Mb=5.5)의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였다.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 지진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얻어진 지진발생기구를 사용하였다. 지진발생기구에 의하면, 이 지진은 거의 동서방향의 압축응력장에 주향이동성분이 가미되어 발생한 것을 암시한다. 지진원 요소들은 단주기 및 장주기 P파에 대한 원지장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지진모멘트(M0), 코너주파수(f0), 지진원 반경(r) 및 응력강하량(\Delta\sigma)은 각각 M0 = 3.18\times1024 dyne-cm, f0=0.3 Hz, r=3.7km, \Delta\sigma=27bar로 구해졌다. 지진모멘트로부터 산정한 모멘트 규모는 5.6으로 나타났다.
LI2형 결정구조를 갖는 Ni-20at.%AI-10at%Fe 금속간화합물에 boron, zirconium 과 hafnium을 최고 0.5at.% 까지 첨가하여 항복강도, 연성, 파괴 등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인장시험과 X선분석 및 XPS분석 등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Ni-20at.% AI-10at.% Fe금속간화합물에 boron을 첨가하였을 때는 연신율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zirconium이나 hafnium첨가의 경우에는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Ni-20at.%AI-10at%Fe 금속간화합물의 경우, boron의 양이 증가할수록 인장연신율이 증가하였으며 0.1at.%의 boron을 첨가한 경우 최고 48.5%의 상온인장연신율을 나타내었다. 첨가물을 넣지 않은 경우와 zirconium과 hafnium을 첨가한 경우, 파괴모드는 입계파괴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boron을 첨가한 경우에는 파괴모드가 입계파괴에서 입내파괴로 변화되었다. XPS분석을 통하여 boron이 입계에 편석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미 제시된 여러가지 해석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로부터 boron의 첨가에 따른 인장연신율의 증가는 boron의 입계편석거동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rthrobacter sp. L-3로부터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탄소원으로는 glucose와 xylose를 혼합해서 공급한 것이 효소 생산성이 가장 높았다.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가장 높은 효소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Glucose isomerase의 생산성은 배양시간이 40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t free meal service organization for elderly people and, to evaluate the attitude of recipients about the service and their ecological background. 6 meal service center as well as randomly selected 120 recipients at Sungnam area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and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 The cost of each meal (lunch) was ranged from 1,300 won to 1,500 won and number of attendant at meal service were ranged from 50 to 200 persons. Meal time for lunch begins from 10:30 am to noon because greater portion of people (elderly) didn't take breakfast frequently. Most of the center adapted self-service system. Standard recipe was not developed and meal preparation was controlled under the experiences of volunteer’s. Recording system of, nutrition management, production control, storage and inventory control was not well adapted by most of the center.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storage, sanitation etc., scorin system in survey was adapted in this study and result are as follow: The score of sanitation of kitchen was lower than dinning area and that of food storage was lowest score.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financial but also systematical support on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 may be necessary to meet the goal of supply nutritionally balanced food at the center. The score given by the recipient on the satisfaction of meal service was rate as 4.8 at the 5-point maximum scale. Meeting friends and share social relationship was major reason (41.6% of the total) of visiting to the center.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meet the changes of the patterns of change of social and family structure, the service of the center should be extended in urban area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management models for the center.
오골계 난백 lysozyme의 용균활성은 Bacillus sp. TA-11를 50℃에서 18시간 정치배양한 대수기 후기의 세포에 대하여 가장 높았고, lysozyme의 농도는 0.25%가 최적이었다. 또한 lysozyme의 최적반은 pH와 온도는 각각 4.5와 35℃였다. 일반 난백 lysozyme의 용균활성은 시험균주를 24시간 배양한 정지기의 세포에 대하여 가장 높았고 lysozyme의 최적 농도는 0.5%였으며 반응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5.5과 40℃이었다.
적외선 센서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는 PLT박막 (두께:8000Å-9000Å)을 Pt/Ti/SiO2/Si와 Pt/M?의 하부 구조상에 500˚C, 550˚C 및 600˚C에서 스퍼터링 증착하여 결정성 및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600˚C로 in-situ 성장된 PLT박막은 Si기판을 이용한 경우 randomly oriented perovskite 결정구조를 나타내었으며, Pt/MgO 구조위에서는 c-축(00ι)방향으로 배향 성장되었다. 600˚C에서 in-situ 성장된 PLT박막의 비유전상수(εr)와 유전정접(tan δ)을 10kHz-100kHz의 주파수에서 측정한 결과 Pt/Ti/SiO2/Si 구조상에 증착된 박막은εr=90과 tan δ=0.02의 값을 Pt/MgO 구조상에 증착된 박막은 εe=35와 tanδ=0.01의 값을 나타내었다. 잔류분극량(2Pr)과 초전계수(γ)는 상온부근에서 Si 기판을 이용한 경우 각각 0.6μC/cm2.。C과 0.5x10-8C/cm2.。C정도로 매우 작게 나타났으나 PLT/Pt/MgO 구조에서는 2Pr=5μC/cm2, r=4x10-8C/cm2.。C로 비교적 양호한 초전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The research of cold therapy is preceding rarely nowadays.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measure the skin temperature of the right foot malleolus when the leg change the situation precisely speaking it was cold, elevation, cold plus elevation. Twenty young healthy volunteers(M:10, F:10)with no history of cardiopulmonary disease, peripheral artery disease were tested. This study were analyzed by one-way-repeated ANOVA. In the first we examined the within changes of the skin temperature between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for each modality. The skin temperature at all of modalities had fallen. Therefore we could know the fact that elevation plus cold modality had fallen skin temperature significantly more than elevation or col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e conclude that elevation and cold therapy could be better effective on edema, contusion and sprain than cold or elevation therapy indepen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of several crutch-fitting techniques best predicts ideal crutch length. Ideal crutch length is defined as the length of the crutch, including accessories, obtained during stance when the crutch tip is 6 inches (15.2 cm) lateral and 6 inches(15.2 cm) anterior to the fifth toe and the axillary pad is 2.5 inches(6.4 cm) below the axillary fold. Forty four volunteers were measured for crutches using each of the following methods:(1) 77% of actual height, (2) actual height minus 40.6 cm, (3) actual height minus 45.7 cm, (4) olecranon to opposite third finger tip, (5) olecranon to opposite fifth finger tip, (6) 77% of arm span, (7) arm span minus 40.6 cm, (8)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9)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10) ideal crutch length. Of the techniques studied, the two involving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were found to be good predictors: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and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Finally, two additional length estimates were deriv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se estimates provided the best overall predictors based on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and actual height.
칡(Peuraria thunbergiana Bentham) 의 뿌리에서 추출한 조효소액을 황산암모늄으로 분획하고 이온교환 크로마트그래픽 및 겔여과에 의해 부분 정제하고 얻은 β-amylase의 효소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칡뿌리 β-amylase는 황산암모늄 0.4포화 이하의 획분에서 8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가용성 전분을 기질로하여 maltose 를 생성하여 전형적인 β-amylase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최적 pH, 최적 온도는 pH 6.0 및 50℃ 이었으며 pH 6.5∼7.0, 50℃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기질농도에 대한 Km은 66.7mg% 이었으며 금속이온은 카드뮴, 알루미늄, 철, 은, 수은, 구리 등의 이온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고주파 이동통신의 효용이 증가할수록 고주파 회로에 들어가는 부품들의 소형화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덕터는 전자회로에 이용되는 주요 부품의 하나이며, 현재 교주파용 소형 인덕터를 박막화하려는 시도가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 열산화시킨 Si(100)기판위에 성공적으로 박막형 인덕터를 제조하였다. Core 물질로는 ion beam sputtering 법으로 증착한 Ni-Zn 페라이트와 PECVD법으로 증착한 SiO2를 사용하였다. 고온산화분위기의 박막 증착과정을 고려하여 귀금속류인 Au를 전극으로 이용하였으며, life-off법으로 미세회로를 구현하였다. 상하부 전극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2차 전극배선 전에 via를 채워넣었다. 제조된 박막 인덕터의 고주파 특성은 network analyzer로 측정한 후 HP사의 Mecrowave Design System으로 분석하였다.
This survey of 180 6th-grade students was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nutritional and anthropometric status according to calorie intak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ed: 1) All nutrient intakes of boys were higher than those of girls, and both groups had lower calcium and iron intakes compared with RDA. But all the nutrient intakes wer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divided by percentile of calorie intake(lower 25%, 25-75% and upper 25%), therefore it suggested that subjects had a large individual variance. 2) Mean height, weight, TSK, and blood pressure of boys were 145.5㎝, 40.6kg, 19.3mm, and 114.5/68. 4㎜Hg respectively, and girls were 148.4cm, 38.9kg, 16.7mm, 112.3/67.0mmHg. The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status according calorie and calcium intake were not found. This study showed protein intake had influence on height and weight of boys.
시판되는 조제분유를 제조회사별로 구입하여 guinea pig를 이용한 PCA inhibition test로 allergenicity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저 allergy분유는 negative반응을 나타내었고 조제분유는 positive 반응을 나타냈으나 제조회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가장 allergenicity가 강한 것은 B회사제품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착색된 직경의 크기나 색에 있어 차이가 없었으며 A회사 제품은 B회사 제품보다 allergenicity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C회사 제품은 미약한 반응을 나타내 제조과정중 allergenicity가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회사간의 allergenicity의 차이는 사용한 재료의 종류 및 사용비율, 열처리의 정도, 기타 제조공정상의 차이점에 기인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