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환경 인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이 생활하는 지역에 따라 환경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개교 10학급 340명을 대상으로 환경에 대한 그리기 활동과 그림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림에 등장하는 환경 요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환경 인식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에 대한 인식은 인공 환경, 자연 환경, 인간 공존 환경, 추상적 환경으로 표면화 되었으며, 생물과 무생물 및 인공물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요소들을 표현하여 학생들의 일상적인 생활 주변의 환경 요소에 대한 높은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5 유형으로 구분한 거주 지역별 학생들이 갖는 환경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인공 환경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끝막이 공사가 완료된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침식실험은 국내 최초로 제작되고 그 타당성이 검증된 전북대 환형수조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밀도를 갖는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수행되었으며,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한계전단응력 및 침식률계수가 정량적으로 산정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기본특성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새만금 인공호 점착성
탐나라, M.B.A 두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건조 효모 S. cerevisiae Montrachet(UCD #522), S. bayanus Pasteur Champagne (UCD #595), S. cerevisiae Epernay II (CEG) 3종을 첨가하여 포도주 발효 특성과 관능적 검사를 비교하였다. 포도 두 품종을 에서 1차 발효시킨 결과 발효과정중 당함량이 감소되고 알코올이 증가되는 발효 형태 및 발효 속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두
검정콩 품질평가의 한 기준이 되는 안토시아닌의 함량평가를 위한 분석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의 추출용매 및 추출방법을 확립하고, 주요재배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용매를 검토한 결과 1% HCl - H2O 로부터 1% HCl - 80% MeOH용액까지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산술적으로 1% HCl - 60% MeOH 용액으로 추출하였을 때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7.72 mg/g으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추출용매에 메탄을 함량이 높아질수록 안토시아닌 피크의 분리도가 극히 불량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종합적 견지에서 볼 때 1% HCl - 20% MeOH를 이용하여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검정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의 최적 추출방법 및 추출시간을 검토한 결과 상온 12시간 추출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추출시간이 24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추출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소량 감소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국내외 주요 재배 검정콩 품종별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 색소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총 안토시아닌의 함량 범위는 1.58-10.62 mg/g으로 조사되었고, 조사된 품종 중 검정 올콩이 10.62 mg으로 가장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흑청콩 대비 약 7배 높은 안토시아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Taekwondo,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as one of the ten Korean cultural symbols, has acquired a reputation for introducing and globalizing Korean culture together with its standing as official Olympic Game in 2000, Sydney, Australia. Nevertheless the World Taekwondo Headquarters, Kukkiwon, which is an exclusive Taekwondo institution only accommodates for three thousand persons. Considering the worldwide reputation of Taekwondo, the scale of Kukkiwon leaves a big supply problem.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e plan to design Taekwondo park that playa major role of Taekwondo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and represent the cultural heartland of Taekwondo. The study considers four points. The points are as follows: 1) Necessary programs drawn by analyzing and assessing Muju city as a site for Taekwondo park, then a survey conducted for potential visitors to a Taekwondo park. Under the theme of "A World Cultural Heritage Upon Our Own Lives", the park plan intends to become a shrine of Taekwondo as well as a big tourist attraction. 2) Programs are appropriate for the terms of the investment under the auspices of government, by considering potential visits and the site conditions. 3) The meaning of Taekwondo and its history should be reflected in the space distribution and facilities allotment. Three meaningful zones: symbolic zone, training zone and culture zone are considered in planning program and space distribution. 4) The plan also intends to harmonize with local development by groping Muju city's uplifting, not only designs a Taekwondo park.
Unlike robotic systems, humans excel at a variety of tasks by utilizing their intrinsic impedance, force sensation, and tactile contact clues. By examining human strategy in arm impedance control, we may be able to teach robotic manipulator's human's superior motor skills in contact tacks.This paper develops a novel method for estimating and predicting the human joint impedance using the electromyogram(EMG)signals and limb position measurements. The EMG signal is the summation of MUAPs(motor unit action potentials). Deter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G signals and joint stiffness is difficult, due to irregularities and uncertainties of the EMG signals. In this researc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ANN)model was developed to model the relation between the EMG and joint stiffness. The proposed method estimates and predicts the multi joint stiffness without complex calculation and specialized apparatus.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was confirmed by experiments and simul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rmination characteristics by temperature conditions and allelopathic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n Amaranthus spinosus 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etitive dominant in plant ecosystem and possibility application of natural herbicide. A. spinosus L. sprouted after 24 hour from seeding in 30~4 5℃ treatment. The germination ratio of A. spinosus L. was the highest estimated at 63.3(±2.9)% in 40℃ treatment, followed by 33.3(±2.9)% in 35℃, 1.7(±2.9)% in 30℃ and 5.0(±0.0)% in 45℃ treatment. It was generally decreased the Relative Germination Ratio(RGR), the Relative Elongation Ratio(RER), the Relative Fresh weight Ratio(RFR) of receptor plants by the aqueous extracts of concentration of A. spinosus L. but it was differently inhibited the kind of receptor plant species. And it was different effected among growing regions that aqueous extracts of concentration of A. spinosus L. inhibited more root than shoot.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of A. spinosus L. was decreased gradually middle, first and last of growth stage, and gradually decreased to leaves, roots and stems. We think that A. spinosus L. appeared high germination ratio at a short period and showed allelopathic effects on other plants. Therefore A. spinosus. L. hold the competitive dominant of plant ecosystem in Jeju Island and possibility application of natural herbicide.
본 실험은 보리 약배양에서 모식물체의 생육환경과 전처리 방법에 따른 배양효율을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캘러스 유기정도는 품종에 따라 0~5.6%의 범위를 보였고, 식물체 분화율은 캘러스 대비 0~30.0%이었으나 그중 녹색체는 0~4.4%로 낮았다. 동절기 온실과 춘계포장에서 각각 재배한 모식물체의 약배양 캘러스 유기율은 춘계포장 모식물체의 약에서 많았지만 식물체 분화율은 각각 30.4%와 21.3%로 동절기 온실시료의 배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상태에서 자란 모식물체와 신장기에 한발 스트레스를 받은 모식물체의 캘러스 유기율은 각각 19.2%와 7.2%로서 약유래 모식물체의 생육환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약 채취 시기는 외형적인 식물체의 엽이간장이 5~10 cm 정도로 지엽 다음 엽의 엽이와 엽초 내 이삭의 가장 불룩한 중앙부위가 일치하는 시기(출수전 3~4일)를 기준으로 약을 선별하여 치상 하는 것이 유기효율이 높았다. 전처리는 직경 10 cm의 롤(roll) 비닐봉지에 5~10 개체의 이삭을 밀봉하여 4℃에서 3주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관행 페트리디쉬 보관에 비하여 약 6배 정도의 노력절감효과를 보였다. 전처리 기간 및 온도별 시료의 상태는 4℃에서 4주까지, 7℃는 2주까지, 10℃는 1주까지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였고, 전처리 기간은 4℃, 3주에서 두원찹쌀보리(2조)와 새쌀보리(6조)가 각각 4.8%, 1.7%의 캘러스가 유기되어 가장 높았다.
외국인선원 고용 확대의 주된 요인으로 주장되고 있는 선원의 부족문제, 그 중에서도 국적외항상선의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객관적인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해기사의 고용범위 조정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3 4급 해기사의 신규양성 공급 상황을 조사하였고, 해기사의 취업 및 이직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적외항상선 척수의 증감상황을 조사하여 선복량의 증가에 따른 해기사의 신규수요 현황도 조사하는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한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적외항상선에 공급되는 해기사는 매년 64명 정도가 남아도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아바 잎을 이용한 가공제품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아바 잎을 발효, 증숙 및 볶음 처리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경우 볶음 처리한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전자공여능은 증숙 처리한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발효 및 증숙 처리한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데침 및 증숙 처리 시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
백련 잎의 소비확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측면에서 2007년 8월에 ‘가람’, ‘초의’, ‘백화건련’, ‘승달’ 백련의 잎을 수확하여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열수 추출물의 경우 ‘초의’ 백련에서 78.3㎍·mL-1로 가장 많았고, 에탄올 추출물은 ‘백화건련’에서 146.8㎍·mL-1로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2,000ppm일 때 ‘승달’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3.3%와 94.0%로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나 63.6㎍·mL-1(‘승달’)-92.2㎍·mL-1(‘초의’)를 나타낸 반면에 열수 추출물은 28.8㎍·mL-1(‘초의’) 이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추출물의 농도가 2,000ppm일 때 열수 추출물은 ‘초의’ 에서 6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백화건련’에서 8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백련의 종류 및 용매에 관계없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항균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저해환의 직경은 전반적으로 8.3-11.2mm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자료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빈도해석방법들을 이용하여 측우기관측자료의 유용성을 검토해 보았다. 근대관측자료와 역사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2모수 대수정규분포를 유도하기 위해 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최우도법과 이항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최우도법을 적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근대관측자료와 측우기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최우도법을 적용한 경우가 근대자료만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평균과 표준편차가 모두 작게 산정되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측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