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디자인 분야에서는 감성에 관한 강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오감각과 인간의 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감성적 요소를 디자인에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감성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으며, 특히 오감각 중 시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반영과 한정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디자인과 감성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타 감각적 요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디자인에 접목시킬 수 있는 실증적 대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감성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감각요소 중 촉각적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현대인의 소비 행태에 있어서, 감성적 디자인 요소로서 촉각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된 핸들 커버와 음료병 제품의 재질, Grip감, 형태 등이 선호요인으로 작용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동시에 두 제품군의 각각 선호도와 제품의 촉각적 특성 관계를 비교한 결과 기능적 특성과 원인에 따라 디자인의 촉각적 선호요인의 차이를 보였고, 이는 디자인 시제품 카테고리별 선호 촉감 요소의 차별적 반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시험은 국내 TMR 배합소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TMR 배합소 20개소 조사결과 조사 배합소의 65%인 13개소가 사료배합비 작성을 외부에 의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합비 작성 등 컨설턴트 비용으로 월 평균 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어, 컨설팅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경영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 TMR에는 에너지가인 TDN가를 표기하고 있지 않아 농가
Cystoderma list of the species found in Korea is composed of 6 species(Lee & Lee 2000). Cystoderma in Korea is Cystoderma amiaanthinum, Cystoderma carcharias, Cystoderma fallax, Cystoderma granulosum, Cystoderma japonicum and Cystoderma terreii. As the member of Lepiotaceae, Cystoderma belongs under Eumycotina, Basidiomycotina, Eubasidimycotina, Hymenomycetidiae, and Agaricales. Its outer pileus of Cystoderma is serrate radially, a small scale is scattered its peridium. And stipe has a small annulus attached to it. spores is subspore or fusiform, white and it has pseudoamyloid. Each shape, size, shine and quility of fruiting body of Cystoderma is different in the breed and it is important sources of a classification of Cystoderma. Especially, the shapes and colors of various scaly which are on the surface of the fungus are important to the external classif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ffect of Cryptomeria japonica sawdust and branch on the Production of Fruiting body of Pleurotus eryngii. Quantity of fruit body was lower in 5.2things/ bottle but yield of fruit body was higher in 3.5things/ bottle about big fruit body than Douglas-fir sawdust medium on C. japonica sawdust medium, so yield of fruit body was more 45g than Duglas-fir sawdust medium. But in the C. japonica branch sawdust medium, both quantity of fruit body and yield of fruit body was remarkably lower 13.3things/bottle, 42.8g/bottle respectively than Duglas-fir sawdust medium.
Low-density polyethylene (LDPE)와 Styrene-butadiene-styrene (SBS)를 넣은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은 바인더에 중량 비로 3~6% 첨가하여 여러 가지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아스팔트 재료이다. 아스팔트 재료의 개질목적은 일반 혼합물의 균 열저항과 소성 변형과 같은 전형적인 약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재료들은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며 플랜트 적용이 간편하고 현장적용성이 우수한 특정을 가지고 있다. 여러 해 동안의 경험을 통해 습식 개질 아스팔트와 건식 아스팔트 혼합물이 현장에서 실용화할 수 있게 발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그 장단점을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과 비교 평가하여 LDPE, SBS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Magnesium alloys are alloyed with rare earth elements (Re, Ca, Sr) due to the limited use of magnesium in high-temperature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Zr and Zn on the aging behavior of a Mg-Nd-Y alloy were investigated. magnesium alloys containing R.E elements require aging treatments Specifically, Nd, Y and Zr are commonly used for high-temperature magnesium alloys. Various aging treatments were conducted at temperatures of 200, 250 and 300˚C for 0.5, 1, 3, 6, and 10 hours in order to examine the microstructural changes and mechanical properties at a high temperature (150˚C). Hardness and high-temperature (150˚C) tensile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various aging condi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ging treatmen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 Mg-3.05Nd-2.06Y-1.13Zr-0.34Zn alloy. The maximum hardness was 67Hv; this was achieved after aging at 250˚C for 3 hours. The maximum tensile,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at 150˚C were 237MPa, 145MPa and 13.6%, respectively, at 250˚C for 3 hours. The strengths of the Mg-3.05Nd-2.06Y-1.13Zr-0.34Zn alloy increased as the aging time increased to 3 hours at 250˚C This is attributed to the precipitation of a Nd-rich phase, a Zr-rich phase and Mg3Y2Zn3.
콩꼬투리혹파리 성충의 체장은 3~4㎜ 이며, 몸체는 회갈색을 띠고 있으며, 형태는 모기와 유사하나 다리와 안테나가 길고, 유충은 콩 꼬투리내에서 발육하고 번데기가 되어 탈출하고 콩 꼬투리의 표면에 번데기가 부착된다. 피해받은 꼬투리 부위는 잘록하게 기형으로 변하며, 심하게 진전되면 꼬투리가 뒤틀리게 되고 피해받은 종실은 기형화 되거나 퇴화된다.
콩꼬투리혹파리에 의한 콩의 피해증상은 착협기에 콩 꼬투리에서 확연히 나타나서 구별되지만 현재까지 콩꼬투리혹파리의 발생을 조사하는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몇 가지 조사방법을 적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본 충의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포충망을 콩 포장의 이랑 사이에 놓고 양손으로 콩 식물체를 타락하여 조사하는 방법이 대상해충의 발생량을 가장 많이 조사할 수 있었으며, 다음은 사각트랩타락법 및 끈끈이트랩의 순서 이었다. 콩 포장에서 콩꼬투리혹파리는 7월 상순부터 발생되었으며, 발생량은 9월 상순경까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두과작물은 대부분의 노린재류가 선호하는 작물이지만, 그 선호성은 두과작물의 종류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선호성은 VTS(Video tracking system)를 이용하여 두류종실별 방문횟수와 체류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유인력은 통발트랩에 두류종실을 넣어 노린재류의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통발트랩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과 두류 종실 조합에 의한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방문횟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진품콩>선녹콩의 순서로 많았으며, 체류시간(초)은 청자콩>일품검정콩>선녹콩>진품콩의 순서로 길었다.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의한 노린재의 유인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태광콩>땅콩>강낭콩>팥의 순서로 많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EZ:EE:MI = 1:5:1, 75㎎/PE형 방출기)과 콩 종실 조합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청자콩 조합에서 약 86%, 집합페로몬+일품검정콩 조합에서 약 59%, 집합페로몬+태광콩 조합에서 약 31% 증가하였다. 따라서 두류종실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의 선호성과 유인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작물 재배포장에서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려면 페로몬과 청자콩 종실을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페로몬 성분을 찾기 위하여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하여 GC-MS 및 GC-EAD 반응을 분석하였고, GC-EAD에 반응한 물질에 대하여 Y-tube Olfactometer로 알락수염노린재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헥산추출물은 (E)-2-hexenal, 4-Oxo-(E)-2-hexenal, (E)-2-hexenyl acetate, (E)-2-octenal, n-undecane, n-dodecane, (E)-2- decenal, n-tridecane, (E) and (Z)-2-decenyl acetate, pentadecane, tetradecyl isobutanoate, (Z)-9-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및 기타 미동정 물질 등이 다수 존재하였다. 특히 암컷 알락수염노린재에는 수컷 노린재에는 없는 E-5-decenyl acetate의 함량이 매우 많았다.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한 알락수염노린재 암․수의 안테나 반응은 retention times 4.1~ 4.2(retention index 850~860 : E-2-hexenal), 4.7 부근(retention index 960 : 4-oxo-E-2-hexenal)과 6.8 부근(retention index 1290~1305 : Tridecane)의 화합물에 대해 암․수 모두 동일한 안테나 반응을 보였다. 알락수염노린재에 대한 Y-tube Ocfactometer 시험에서 알락수염노린재의 최초 이동방향이 수컷은 E-2-decenal(100%), E,E,Z-2,4,6-decatrienoate(80%), n-tridecane (70%) 및 E-2-hexenal(60%) 순이었고, 암컷은 n-tridecane(80%), 4-oxo-E-2-hexenal (60%), E-2-decenyl acetate(60%), Z-2-decenyl acetate(60%), E,E,Z-2,4,6-decatrienoate (60%) 등의 순이었다. 특히 Tridecane과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E,E,Z-2,4,6-decatrienoate는 알락수염노린재 암․수 모두에서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major component of green tea is (-)-epigallocatechin-3-gallate(EGCG) which accounts for 5080% of catechin, representing 200300 mg in a brewed cup of green tea. EGCG has been known to possess growth inhibitory and pro-apoptotic effect on human cancer cell lines such as prostate, bladder and breast cancers. In contrast,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GCG could promote cell proliferation and/or survival instead of pro-apoptotic effect. Understanding how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respond to EGCG may provide a clue to the difference of cell responses and basis for usefulness of EGCG as a chemopreventive and/or chemotherapeutic agent.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chemopreventive efficacy of EGCG, the authors tried to identify the key molecules that contributes to Akt activation and can inhibit this activation. In the present study, EGCG increased Akt phosphorylation, an activeform of Akt and negatively affect on direct upstream molecules of Akt including PTEN and EGFR, though Akt phosphorylation was increa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x steroid hormones, such as estrogen, progesterone, and testosterone in Korean cattle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N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in Hanwoo. The concentration of BUN was 16.2 mg/dl, 17.8 mg/dl, 15.1 mg/dl, 17.9 mg/dl, and 28.3mg/dl in pregnancy, repeat breeding, follicular cyst, luteal cyst, and ovarian atrophy, respectively. In Hanwoo with BCS , and , the concentration of BUN was 15.8 mg/dl, 17.0 mg/dl, and 17.6 mg/dl, respectively. Fluoroimmunoassay showed that serum estrogen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decreased in reproductive disorders Hanwoo, such as ovarian atrophy, endometritis, and weak estrus. The testosteron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s compared to that in pregnant Hanwoo ( vs 0.13 ng/ml, p<0.05). The progesterone and estrogen concentrations in follicular fluid obtained from ovary with follicular cyst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in normal follicle fluid.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BUN and BCS in Hanwoo, and the concentration of sex steroid hormone in serum and follicular fluid are changed in reproductive disorders Han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