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4

        550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 친환경 고품질 생산 과원 종합관리 체계 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배시험장 배 재배포장에서 기존 교미교란제(Confuser-R; 그린아그로텍)와 Paste형 교미교란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Comfuser-R은 1000개/ha의 비율로 처리하였으며, 2008년 4월7일에 약 75%, 7월 10일에 약 25%로 2회 나누어 처리하였으며, Paste형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을 대상으로 (주) 그린아그로텍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는데, 2008년 4월 15일에 배나무 1주당 3~4g씩 도포하였으며, 7월 10일 추가도포하였다. 2종의 교미교란제는 시험구 과원의 가장자리는 배나무 1주당 1개소씩, 과원 내부는 2주당 1개소씩 처리하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포획량은 교미교란제 형태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관행방제시에 4~5월에 무살포 과원보다 발생량은 적었지만, 8월 이후에는 관행방제 과원의 발생량이 많았다.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 피해율도 교미교란제 형태간 차이가 없었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Fisher von Roeslerstamm)의 경우는 Paste형 교미교란제 처리시 6월 하순~7월 상순에 트랩당 수컷포획수가 평균 5.0마리, 8월 상순에 평균 19.5마리가 포획되어 기존의 교미교란제보다 포획량이 많았다.
        5507.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시험에서는 관행시험구는 고속방제기(Speed Sprayer; SS기; HA-1000SCA)의 엔진속도 2,000RPM, 저속2단(2.3km/h), 노즐 1.0mm, 살포압력 20㎠/kg, 배과원 3.3㎡당 1L의 농약희석액 살포로 설정하고, SS기 노즐과 압력, 단위면 적당 살포량, 농약의 희석배수를 달리 설정하여 배 과원을 방제한 시험구에서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2007년에는 관행 방제구, 관행방제구 대비 약 30%의 희석배수와 살포량을 줄인 시험구(관행저물량구), 관행방제와 약량 동일하며 농약희석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이고 SS기 살포조건 조절하여 살포한 시험구(저물량-1), 저물량1시험구의 농약사용량, 농약희석시 사용되는 물의 양을 70%로 줄인 시험구(저물량-2)로 시험하였는데, 농약의 부착량정도 평가는 감수지로 판단하는데는 감수지의 위치나 SS기의 풍속에 의해 판단하기 어려웠다. 꼬마배나무이의 밀도는 조사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2007년 8월 초의 관행구, 저물량-1는 0.9마리/잎, 관행저물량, 저물량-2 시험구는 각각 1.5, 2.3마리/잎으로 약간 많았으며, 나방류는 시험구간 방제효과 판단은 어려웠다. 2008년에는 관행저물량구에서 농약사용량은 관행과 동일하게 하고 희석하는 물의 량을 1/2로 줄였으며, 저물량-1, 2 시험구의 방제시 살포총량을 변경하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관행저물량시험구에서 6월 중순 꼬마배나무이 밀도가 0.2마리/잎으로 가장 적었고, 관행시험구는 0.4마리/잎, 저물량-1, 저물량-2구 각각 2.0, 0.9마리/잎으로 방제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잎말이나방류, 복숭아순나방의 피해는 시험구간 차이도 없었고 피해율이 극히 적어서 살포물량, 희석배수, SS기 운행 조건등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웠다.
        550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에서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나 진딧물류 해충은 수체내 질소함유량이 많고 수관의 과번무는 이들 해충의 발생을 조장하고 화학적 방제시 약제가 해충에 접촉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방제효과를 떨어뜨린다. Prohexadione-Calcium의 효과는 지베렐린 대사를 억제하는 식물생장조절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배, 사과 등의 신초생장을 억제하여 수관밀도를 줄여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Prohexadione-Calcium과 꼬마배나무이 방제시 살포하는 농약과 상승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2008년 6월 15일에 Prohexadione-Calcium을 62.5, 125, 250, 500ppm을 각각 처리하였는데, 처리 30일전 Abamectin 3,000배, 10일전 acetamiprid+ etofenfrox 2.58Wp 1,000배, 처리 3일 후에 amitraz+buprofezin 12.5+12.5 Ec 1,000배, 처리 25일 후 dinotefuran 10Wp 1,000배를 처리하였으며, 처리 30일 후 Prohexadione-Calcium을 처리하지 않은 시험구를 비교하여 꼬마배나무이 밀도를 조사하였다. Prohexadione-Calcium을 처리하지 않고 살충제 처리구에서 꼬마배나무이 밀도가 잎당 평균 0.12마리, Prohexadione-Calcium 125ppm 처리구는 0.012마리로 가장 적었지만,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 농도간 꼬마배나무이 밀도 차이는 적었다.
        550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세줄콩들명나방의 피해를 해석하고자 유충밀도에 따른 피해엽면적과 인위적엽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을 구명하였다. 세줄콩들명나방은 1.8엽으로 하나의 권엽을 형성하였고, 콩의 상위부에 주로 위치하였다. 20, 25, 30℃의 항온 사육상에서 유충의 섭식엽면적은 각각 21.26, 25.39, 23.97cm2이었고, 유충 5령기에 전체 섭식엽면적의 80%를 섭식하였다. 온실에서 2령 유충을 주당 5, 10, 15, 20마리씩 협비대기의 콩에 접종하여 유충기간동안 섭식한 엽면적을 측정한 결과 각각 148.5, 316.5, 560.3, 662.6cm2이었고, 피해엽수는 각각 24.7, 45.2, 59.2, 55.4엽이었다. 유충 1마리당 평균 섭식엽면적은 32.3cm2이었고, 평균 가해엽수는 4.0엽이었다. 콩 잎의 피해를 해석하고자 영양생장기(V5), 개화기(R2), 협비대기(R5)에 각각 0, 20, 40, 80%씩 인위적엽한 결과, 협성숙기(R8)에 적엽시기별로 측정한 엽면적의 회복정도는 V5, R2 순이었고, R5는 거의 회복하지 못하였다. 주당 협수는 R2시기에 80%를 적엽하였을 때 가장 많았고, R5시기에 80%를 적엽하였을 때 가장 적었다. 100립중은 대부분의 처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R5시기에 적엽률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80%를 적엽하였을 때 가장 적게 나타났다. 종실수량은 V5, R2, R5 등의 적엽시기에 따라 120.7, 103.6, 100.5kg/10a로 감소하였고, 20, 40, 80% 등의 적엽률에 따라서는 V5시기에는 148.2, 115.3, 98.7kg/10a, R2시기에는 137.1, 114.2, 59.6kg/10a, R5시기에는 141.3, 91.1, 69.1kg/10a로 적엽률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크게 감소되었다. 특히, V5시기의 80%, R2시기의 80%, R5시기의 40%와 8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51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 수박에서 목화진딧물 발생 밀도에 따른 과일의 품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4월~6월에 전북농업기술원 채소연구소 시험포장의 시설하우스 3개동에서 밀도 수준별(6처리 3반복)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4월 3일에 처리구당 10주식 정식하고 20일 후 목화진딧물을 주당 0, 0.5, 2, 5, 10, 30마리 비율로 접종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7일 간격으로 발생밀도 변동을 조사하였으며 수확시기에 과중과 당도 등을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밀도는 전 처리구에서 접종 2주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급증하였으며 목화진딧물 접종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 밀도는 현저하게 처이가 나타났다. 목화진딧물 발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과중은 크게 감소하였는 데 무처리구 대비 주당 0.5마리 접종구에서는 28.3%, 주당 5마리 이상 접종구에서는 40% 이상의 과중 감소율 나타냈다. 과일 당도 역시 감소하였는데 무처리 대비 주당 0.5마리 접종구에서는 1Brix, 주당 5마리 이상 접종구에서는 2.3Brix 이상 감소하였다. 따라서 목화진딧물 발생이 높아짐에 따라 수박의 상품가치가 크게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51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종사의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이 비행비교 상황에서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행교육과정 조종사 48명을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상황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간 변인으로서 비행수행능력(비행등수)과 자존감 척도로 각각의 높고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 안전규칙상 착륙이 허가되지 않는 활주로 접근 시뮬레이션 상황을 수행하게 하였다. 접근 상황은 피험자 내 설계로 세 번에 걸쳐 측정하였고, 동일한 각각의 상황실험 수행 직전에 실험참가자에게 다른 사람들의 수행결과를 조작(긍정비교, 부정비교, 통제)하여 제시하였다. 실험참가자의 위험행동은 접근한 고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각 제시 조건에 따라 위험행동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고, 각 비교조건에서의 위험행동 경향은 비행수행능력과 자존감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비행수행능력이 낮은 집단은 비교조건들에서 통제조건과 달리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행수행능력이 높은 집단은 부정비교조건에서 다른 조건들과 달리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존감이 높은 집단은 통제조건에 비해 비교조건들에서 유의미한 위험행동을 보인 반면, 자존감이 낮은 집단은 다른 조건들에 비해 부정적 비교조건에서 유의미한 위험회피행동을 보였다.
        4,000원
        5514.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line is important an organic compound for normal membrane function, acetylcholine synthesis, lipid transport, and methyl metabolism. In biological tissues and foods, there are multiple choline compounds that contribute to choline content. There are so many analytical methods for choline determination, such as radioisotopi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owever, these existing methods are expensive, unmanageable, and time-consuming. In this study, we modified enzymatic method, which is applic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choline in milk and infant formulas, and applied to bovine serum and muscle. The calibration curves were linear with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0.994 . Recoveries obtained by calibration curves from the spiked bovine serum and muscle samples varied between 70.6 and 85.2%. The method may be suitable for use as a routine method in the determination of choline for biological tissue and food samples.
        4,000원
        551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위 보호 choline의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기초사료 첨가구(T1), 기초사료 +23 g/일 보호처리를 하지 않은 choline과 부형제 첨가구(T2) 및 기초사료+ 25.56 g/일 보호 choline 첨가구(T3)의 3처리로 하였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in vitro 배양액의 pH에 미치는 영향은 3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4,000원
        5516.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노안 이전 안경착용자에서 표준 단초점렌즈와 조절기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안 된 기능성렌즈를 착용했을 때 임상성능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 35~45세(평균 39.7±3.9세)의 건강한 50명을 선정하였다. 단초점렌즈와 기능성 렌즈(릴랙시렌즈, 니콘사)를 1개월 착용했을 때 원거리와 근거리 교정시력, 조절근점, 폭주근 점, 원거리와 근거리 수평사위도, 조절이용능력을 측정하고 자각적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다. 결 과 : 단초점렌즈와 비교하여 기능성렌즈를 착용했을 때, 적응 용이성과 원거리에서 시 각적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거리시력, 조절근점, 폭주근점 및 조절 용이성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근거리에서 시각적 활동과 관련된 만족도는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렌즈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70% 정도가 단초점렌즈보다 기능성렌즈를 선 호하였다. 결 론 : 기능성렌즈가 단초점렌즈보다 컴퓨터 작업을 포함한 근거리 시각활동에 대한 성 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 노안자의 근거리 작업성능과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4,600원
        551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여름작형 착색단고추의 낮은 플라스틱연동하우스 재배시 유인방법 에 따른 수량 및 품질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인방법은 직립과 경사유인이었고, 과실은 6월부터 11월까지 한달 간격으로 수량, 평균과중, 과육두께, 당도, 경도, 과형, 심실수 등을 조사하였다. 상품수량은 6월에 가장 많았으며,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많았다. 6월의 평균과중은 경사유인이 232g으로 직립유인보다 26g 더 무거웠으나, 7월 이후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무거웠다. 과육두께는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두꺼웠다. 당도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졌으며, 직립유인이 경사유인보다 더 높았다. 직립유인의 과형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립유인의 심실수는 3.27~3.34개로 수확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5520.
        2008.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체세포를 이용하여 생산된 복제란을 한우 대리모에 이식하여 임신이 확인된 개체에서 임신 기간 중 주요 호르몬의 발현 특성을 인공수정으로 임신된 대리모와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우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생산된 체세포 복제란을 자연발정으로 동기화된 한우 대리모에 이식하여 임신이 확인된 개체를 공시하였으며(n=8), 대조군으로는 인공수정으로 임신된 대리모을 사용하였다(n=5). 발정 관찰 후 60일경에 직장검사로 임신을 확인하였다. 주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progesterone(P4)와 estradiol-l7 (E2) 농도는 방사선동위원소 면역분석시험(RIA)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혈중 cortisol 농도는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인공수정한 대리모의 경우 E2 농도가 분만 시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P4 농도는 분만 시기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복제란 이식우의 혈장 P4 농도는 분만 50일 전부터 분만 10일전까지는 대조군과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나, 분만예정일에는 전혀 떨어지지 않고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한편, 복제란 이식우에서 분만 때까지 정상적으로 임신이 유지된 대리모들의 경우는 임신 기간 동안 cortisol 농도는 임신 후반기까지 낮게 유지되며 별다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유산이 일어난 개체의 경우에는 임신 100일경에 cortisol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복제란 이식우의 경우 분만예정일 전 후에 일어나는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복제란 이식우의 분만 지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