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준비연구(pilot study)는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가 작업수행능력의 질적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이 두 가지 평가도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만 3세에서 15세 사이의 발달장애아동 7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충남 서산에 소재하는 지역사회 아동발달 센터에서 주 2회씩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후의 점수변화를 비교한 결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운동기술(AMPS-M) 영역(p>0.05)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5).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도(COPM-P) 영역 사이에서(rs=.901),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만족도(COPM-S) 영역 사이에서(rs=.857) 통계학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COPM과 AMPS 모두 작업수행능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이며, 둘째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셋째 두 평가도구 모두 우리나라 문화에서도 작업치료의 효과(occupational therapy outcome)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고려˜조선후기에 창작된 한국 사부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주제를 형성하는 주된 서술 방법을 고찰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한국 사부 작품의 주제를 형성하는 주된 서술방법으로 주목되는 것은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는 ‘抒情’이다. ‘抒情的’ 서술 방식은 작자의 주관적인 ‘정서’, ‘느낌’을 정서표출을 위주로 한 언어들로 구사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둘째는 ‘敍事’이다. ‘敍事的’ 서술 방식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치를 구체적인 사건의 전개에 맞추어 이야기를 진행해 나가는 것이다. 곧 인물에 대한 묘사나 사건에 대한 서술을 통해 작자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것이다. 셋째는 ‘議論’이다. ‘議論的’ 서술 방식은 작자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이론 ․ 사상 ․ 관점을 논리 전개에 충실하여 논설문의 어조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넷째는 ‘寓言’의 運用이다. 본고에서는 寓言에 대한 정의를 작자가 어떤 의론을 전개하여 진리를 제시하고자 할 때 주제 전달상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꾸면 낸 이야기’라고 내리고, 이에 해당하는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우언의 목적은 동식물이나 인물의 허구적 행위를 빌어 諷刺․ 敎訓․ 啓示의 효과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처럼 한 편의 작품의 주제가 어떠한 서술 방법에 의해 표출 되는지를 밝히는 작업은 이제껏 한문학에 있어서 漢詩와 散文에 대해 주변 장르로만 인식되어 온 辭賦文學의 문학성을 검증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목적 : 작업치료(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과정 구성과 실습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2003년 8월 전국대학작업치료 교수협의회에 참석한 전임강사 이상의 교수(총 45명중 32명 참석)를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 32부 중 총 26부를 가지고 각 응답에 대한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교육 분야의 실습지도에 있어서 우선 임상실습기관선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지 않는 학교가 4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에서 실습지도자의 교육 및 지도가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다’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24%가‘대체로 그렇다’라고 대답하였다. 임상실습기관과 대학과의 연계성을 묻는 항목에서 협동체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가 46%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이유에는 임상실습기관의 무관심(40%), 교수의 노력부족과 무관심(18%)때문이었다. 임상실습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임상실습기관의 환경이 좋지 못하다’가 32%를 차지하였고, 임상실습에서 통일되어야 하는 사항으로는 학생평가양식(41%)과 실습기록지(38%), 기준성적 (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간 동안 학생들에게 적절한 호칭으로는 ~선생(54%), ~실습학생(42%)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대학과 임상실습기관은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과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고, 교육 프로그램과 실습 평가 방법, 현장실습비용 등의 문제에 있어서도 전체적인 통일된 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된 임상실습 지침서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목적 : 본 연구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작업치료 임상 실습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임상 실습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2004년 졸업예정자가 있는 11개의 대학(교) 중 2학기에 임상 실습을 실시하는 2개 대학(교)을 제외한 9개의 대학(교)(4년제 2개 학교, 3년제 7개 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50부 발송하여 213부 회수되었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5일부터 11월 31까지였다. 분석은 회수된 설문 213부 중 202부를 가지고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다.결과 : 실습기관의 적합성을 포함한 실습환경에 관한 내용에서 응답자의 89.6%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정비와 지도 체계, 실습생 이용 시설과 설비에 대해 응답자의 20 ∼30% 정도가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항목에서 80.3%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85%가 임상 실습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획득하였으나 51%는 임상 실습 중에 갈등을 느낀 적이 있다고 하였다.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작업 치료학생들의 임상 실습이 좀더 체계화된 구조로 이루어져야 야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작업 치료는 임상학문이므로 임상 실습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임상 실습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s of vocalization on upper extremity motion during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to compare non-meaning and meaning vocaliz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30 subjects. They had no medical history of neurological problems with their upper extremities. Using a tea cup, a tea tray, and a tea spoon, they set a table during vocalization. We used meaning and non-meaning vocalization with the subjects. An example of meaning vocalization would be naming something, and an example of non-vocalization would be saying, "Ah." We used a 3-D analysis system called CMS-HS. We analyzed the motion in the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the elbow while recording performanc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vocalization enhanced the angular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the elbow, and also enhanced performance time. In short, vocalization improved upper extremity motion by making it faster and smoo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ing and non-meaning vocalization.
본 연구에서는 남성과 여성에 있어서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이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되는 자극의 기억을 측정할 것이라는 기억지시문을 주고, 또한 자극제시 후 곧바로 자유회상의 방법으로 기억을 측정함으로써 정서적 자극으로 유발된 정서의 표현을 조절할 필요성을 가능한 최소화시켰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정서적 자극과 중성적 자극에 대한 기억을 측정함으로써 선행사건초점 정서조절 과정에 의해 남성들의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이 손상됨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제시된 자극에 대하여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특히 중성적 자극보다 정서적 자극에 대해 남성들보다 더 많은 내용을 회상하였다. 회상내용을 중심적 요소에 대한 기억과 지엽적 요소에 대한 기억으로 나누어 남녀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여성들은 정서적 자극의 중심적 요소에 대하여 중성적 자극보다 더 많이 기억하였으나 남성들은 정서적 자극과 중성적 자극에 대한 중심적 요소에 대한 기억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functional levels of affected upper extremities after treating patients with brain injury by intensive CIMT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ethod : Design was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versal design (A-B-A). Subjects was 6 persons with brain injury (F: 1, M: 5), mean age (57.0±9.6). Intensive CIMT was performed over 6 hours a day for 2 weeks. Box and block test and nine hole pegboard were used for assessment of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 Compared baseline 1, functional level in both intervention and baseline 2 revealed improved functional levels. In addition, carry over effect was shown in baseline 2 period.
Conclusion : Intensive CIMT based on task-oriented activit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because it decrease the time to use the paretic limb and thereby overcomes the “learned non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pelvic tilts on sit-to-stand ativities and to suggest a new therapeutic approach for movement reeducation in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with sit-to-stand activities. The three different pelvic tilts were: (1) comfortable pelvic tilt sit-to-stand (CPT STS), (2) posterior pelvic tilt sit-to-stand (PPT STS) and (3) anterior pelvic tilt sit-to-stand (APT STS). To analyze the kinematic component of STS, a motion analysis system (Zebris) was applied to the ankle, knee, hip joint, and thigh-off area. Also, to determine the onset time of muscle contraction, surface electrodes were placed to the rectus femoris muscle (RF), the vastus lateralis muscle (VL), the biceps femoris muscle (B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TA), the gastrocnemius muscle (GCM), and the soleus muscle (SOL). One-way repeated ANOVA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kinematic variables for the hip, knee, ankle joint, and thigh-off among the three activitie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ation pattern in TA. VL. and BF among three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evaluative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STS activity: (1) Changes in knee and ankle joints should be prioritized and recruitment order differences in VL and RF can be generated to accomplish abnormal STS activity. (2) APT STS can be introduced for movement efficiency and functional advantage when abnormal STS is tre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pelvic tilts on a sit-to-stand (STS) and to suggest a new assessment approach based on biomechanical analysis. The three difrent pelvic tilts were: (1) comfortable pelvic tilt sit-to-stand (CPT STS), (2) posterior pelvic tilt sit-to-stand (PPT STS) and (3) anterior pelvic tilt sit-to-stand (APT STS). To determine the onset time of muscle contraction surface electrodes were applied to the rectus femoris muscle (RF), vastus lateralis muscle (VL), biceps femoris muscle (BF), tibialis anterior muscle (TA), gastrocnemius muscle (GCM), and soleus muscle (SOL). The ICC was used for functional linkag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kinematic variables and in muscle activation pattern among the three activities. Second, the results of functional integrated analysis revealed that recruited muscle activation patterns changed when the thigh-off was viewed as a reference point. Third, there were independent functional units between the thigh-off and the VL and between the thigh-off and the RF in the functional linkage analysis. The VL and RF acted as prime mover muscles, and more postural adjustment muscle recruitment was required as the demand of postural muscle control increased (PPT STS, APT STS, and CPT STS in order).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evaluative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STS activity. APT STS can be introduced for movement efficiency and functional advantage when abnormal STS is treated. However, excessive APT would change the muscle activation patterns of BF and SOL and require additional postural muscle control to cause abnormal control patterns.
Objectives: To quantify the range of motion of upper limb while eating with and without a universal cuff (UC).
Method: The feeding cycle was divided into pre-feeding and feeding phases. The pre-feeding phas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scooping water with a spoon. The feeding phas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bringing the spoon to the mouth. A three-dimensional CMS70P analysis
system was used to record upper limb motion during eating activities. Ten male and eight female health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1) in pre-feeding phase: when a spoon without a UC was used, wrist was flexed and shoulder was adducted. However, when a UC with a spoon, the wrist was extended and shoulder was abducted. Also, the range of motions (ROMs) of shoulder flexion and internal rot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2) In feeding phase: when a spoon without a UC
was used, wrist was flexed and radially deviated. However, when a spoon was used in a UC with a spoon, wrist was extended and ulnarly deviated. The ROMs of forearm supination, shoulder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Conclusion: The ROMs of upper extremities with UC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ithout UC. Therefore, when applying a universal cuff on patients, appropriate ROMs for a universal cuff should be considered prior to OT treatment.
Manual dexterity is often evaluated in rehabilitation because of its contribution to upper limb performance and to individual functional independence. Dexterity depends on age, sex,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hand and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inger dexterity with and without wearing different types of gloves (latex gloves and cotton glove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the different measurement tool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s, O‘conner finger dexterity, and Minnesota grooved
pegboard) for finger dexterity. Fifteen healthy young subjects (male: 6, female: 9) had a mean age of 26 years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nger dexterity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 at all conditions except for wearing cotton glove condition. The finger dexter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nesota grooved pegboard test among conditions(bare
hand, latex gloves and cotton gloves).
However, finger dexteriti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ece in other tests at different conditions.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 tool except for the Size discrimination item in VALPAR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innesota grooved pegboard test maybe a sensitive tool to measure the finger dexterity at sensory constrained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