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6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억새(Miscanthus spp.)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C4 식물로 국내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이 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거대 1호’는 4배체 물억새로 초장 및 경태 등이 일반 억새의 두 배 크기로 탁월한 건물 생산성을 보여 유망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대 1호’의 미성숙 화기를 이용한 안 정적인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여 대량증식 및 분자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 다. 재료는 억새의 2mm 이하인 미성숙화기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재료는 70% EtOH로 2분, 0.45% NaOCl으로 20 분간 표면살균 후 미성숙화기의 정단부위를 실체현미경 하에서 적출 후 사용하였다. MS배지에 2,4-D(Auxin)와 BA(Cytokinin)를 각 농도 별로 첨가하여 캘러스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2,4-D 5 mg/L와 BA 0.1 mg/L를 혼합 처리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캘러스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유도된 캘러스로부터 신초 재분화를 위해 MS 배지에 NAA와 BA, 2,4-D와 BA 등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NAA 1mg/L와 BA 1mg/L이 첨가된 MS 배지와 5 mg/L BA와 0.1 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각각 15.4, 15.2 %의 신초 재생율을 보였다.
        62.
        201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troperitoneal liposarcoma is an infrequent malignancy in adulthood arising from mesenchymal tissues. It is often diagnosed when the tumor becomes too large, suppressing adjacent organs and causing symptoms. We report on a case of giant liposarcoma found in a 77-year-old female undergoing surgical resection.
        64.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scanthus sacchariflorus var. No. 1 has been newly develope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eed value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different growth and harvesting time. Total 3 different miscanthus - 1y4m (first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2y4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4 month) and 2y8m (second shoot and harvested at 8 month).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itro rumen simulated fermentation and In situ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Ruminal pH at in vitro fermentation were higher in M. sacchariflorus var. No. 1 treatments compared to the rice straw (RS). In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1y4m resulted in higher acetate production than the other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higher maturity stag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in propionate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productions at 9, 24 and 48 h of incubation times. Higher ammonia nitrogen productions were found as increased maturity of M. sacchariflorus var. No. 1. At In situ experiment, high DMD was detected in the order of RS (60.51%) > 1y4m (57.65%) > 2y4m (57.63%) > 2y8m (46.28%).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young and early harvested M. sacchariflorus var. No. 1 are able to improve its nutrient values in the ruminant animal.
        65.
        2013.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lignant salivary gland neoplasms constitute approximately 1% to 3% of all head and neck malignancies and only 0.3% of all malignant neoplasms. Malignant mixed tumors represent 2.2% of all salivary gland tumors. We experienced a huge malignant mixed tumor in the parotid gland, and obtained good results after surgical excision of the parotid gland and reconstructive operation. Therefore, we report on our experience and review the articles related to that tumor.
        6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눈자미벼’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쌀눈이 크고, C3G 함량이 높은 복합기능성 유색미 품종을 개발하였다. ‘큰눈자미’의 중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13일로 중생종이며, 간장은 87 cm 정도이고, 종피색이 흑자색인 유색메벼 품종이다. 현미천립중은 18.9 g 정도이고, 장폭비는 2.14로 중원형이며, 현미에서 쌀눈의 비율이 8.2% 수준으로 ‘흑진주벼’의 2.5배 정도이며, 현미 1립 기준 쌀눈의 무게가 ‘흑진주벼’의 2.8배 수준인 거대배아미 품종이다. 현미의 지방함량과 Lysine 함량이 ‘흑진주벼’ 보다 높고, 종피의 안토시아닌 주색소인 C3G 함량이 ‘흑진주벼’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품종으로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부평야지역 보통기 보비재배 2개소에서 평균 410 kg/10a 수준으로 ‘흑진주벼’ 대비 5% 증수 되었다.
        6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큰눈’은 다양한 전분 신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1년 하계에 양질다수성 품종인 ‘일품벼’에 돌연변이처리(MNU)하여 중만생이며 배가 일반벼보다 큰 거대배아미인 ‘Ilpum MNU)36-2-GH1-2-10-1-2-3-2-1’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49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5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큰눈’으로 명명하였다. ‘큰눈’의 중부평야지의 평균 출수기는 8월 17일로 ‘화성벼’보다 6일 느리고, 남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15일로 ‘남평벼’보다 1일 빠른 중생종이다. ‘큰눈’의 간장은 86 cm이며, 이삭길이는 23 cm로 ‘화성벼’와 비슷하고, 포기당 이삭수는 ‘화성벼’보다 적으나,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은 낮은 편이며, 현미 천립중은 가벼운 편이다. ‘큰눈’은 도열병 저항성은 약한 반응을 보였으며, 흰잎마름병 및 바이러스병과 벼멸구 및 애멸구 저항성은 없었다. ‘큰눈’은 내냉성검정에서 ‘화성벼’에 비해 출수지연일수가 다소 길고, 냉수구 임실율이 낮아서 내냉성은 약한 편이며, 도복특성검정에서 좌절중은 낮고, 도복지수는 높은 편이나 포장 도복은 강한 편이다. ‘큰눈’은 현미장폭비가 1.62인 중단원립이고, 투명도가 다소 불량하고 심복백이 많아 외관 품위가 떨어지고, 아밀로스와 단백질 함량은 각각 17.5, 5.9%로 ‘화성벼’보다 낮은 편이며, 단당류 및 올리고당 함량은 ‘화성벼’보다 1.4배, 발아현미의 GABA 함량은 발아 2일에서 ‘일품벼’보다 2.8배 많았다. ‘큰눈’의 쌀수량은 보통기재배에서 평균 쌀수량이 4.52 MT/ha로 ‘화성벼’ 대비 89% 수준이었다. ‘큰눈’의 재배적지는 중부평야 및 남부평야지이다.
        6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난 40여 년간 미국의 공동체 벽화는 마을의 골목길을 이야기 거리, 볼 거리로 채우면서 주민과 함께 했고 그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해왔다. 특히 ‘치카노 벽화운동’은 1960년대 후반 민권운동의 예술적 기수 역할을 하였으며, 미술이 어떻게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규정해내는 데 적극 기여할 수 있는 지 보여준 사례였다. 본 연구는 생존하는 가장 대표적인 벽화가로 알려진 주디 바카(Judy Baca)의 프로젝트들을 살펴보면서, 그녀가 어떻게 민족중심적이었던 공동체 벽화를 다문화적 함의를 구현하는 작업으로 전환시켜 갔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어떻게 초국가적인 시선으로 미술의 지평을 확장시켜 왔는지 고찰한다. 한편 학교밖 교육으로서 지역 청소년의 미술과 역사 교육에 획기적인 전례를 만들었던 <거대한 벽>의 작업 진행 방식의 특징과 의의도 짚어본다. 세계 최장(最長) 벽화인 <로스앤젤레스의 거대한 벽>(1976-1984)은 바카의 진두지휘아래 40명의 민속 사학자, 400여 명의 치카노계, 흑인계, 동양계, 백인 청소년 등이 협업하여 캘리포니아의 역사를 다양한 소수민 관점에서 그려낸 작업이다. 이는 치카노, 흑인 중심 등의 분리주의적인 민권예술운동을 종식하고 인종 간, 민족 간의 이해와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다문화주의를 최초로 구현했던 기념비적인 벽화였다. 한편 바카는 그룹간 문화적 편견을 없애고 협력하여 작업하는 과정을 중요시 여겼기에, 여러 학교밖 교육적 방식을 고안하여 적용했다. 참여 학생들은 단결하여 열정적으로 그림을 그려갔고 그 후 그들이 미국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학교 수업이 아니라 <거대한 벽>을 통해서였다고 말할 정도로 이는 획기적이고 성공적이었던 프로젝트였다. 바카가 1987년 경 착수한 <세계의 벽: 공포 없는 미래를 향하여>는 초국가적 시각을 반영하는 벽화이다. 벽화의 내용은 각 국가의 특수한 역사를 재고하면서도 궁극적으로 비폭력적 저항과 인류의 화합과 균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보다 코즈모폴리터니즘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한편 이 작품은 바카가 그린 패널들이 러시아, 멕시코 등 여러 국가로 이동하면서 그 지역의 작가들이 새로 그린 패널이 부가되는 방식으로 전시되어 오고 있다. 각 지역마다 다른 내용과 작업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에, <거대한 벽>만큼 참여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적 방식이 적용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거대한 벽>이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미국적’ 정체성을 재규정하는 다문화주의적 담론을 대변한다면, <세계의 벽>은 미술을 통해 전지구적 차원에서 대화하고 교류함으로써 인종, 민족, 국가 간의 경계에 대해 질문하고 반목을 종식시키고자 하는 보다 확장적인 시도이며, 초국가주의 시대의 다문화주의가 발전해 가야할 방향을 시사해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6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독도의 개발은 독도가 도서로서의 지위를 가질 수 있는 섬으로의 인공적인 가미를 통한 개발이 필요 하다. 즉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지름길은 주민의 삶의 장소로 전환하는 것이 국제법적 관점과 외교 안보적 관점 등에서 최선 의 방법이라는 것을 기본으로 검토하였다. 현재 독도는 「독도이용 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것처럼 독도근해의 천연자원 개발,섬충 수 개발,기타 수산자원 개발이 국내법적으로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의 원형을 보전하면서 독도 미래적 비전과 복합적. 기능적 관점에서 개발을 위한 개념을 정리하고 공학적 측 면에서 독도개발을 위해 고찰하여, 獨島의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초거대 부유구조물은 해양영토를 연장하는 방법으로 세계적으로 적용이 되는 개념으로 독도의 영토개념으로 전환 가능한 공학적 방법이다. 또한 독도 근해에 기초설계를 통하여 해양도시 형태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 21 세기 공학기술의 첨단화,융합화는 부유구조물 기술이 수명 100년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독도에 설치 가능한 초거대 부유구조물 설계와 제작기술이 우리나라에도 확보된 기술임을 확인하였고,부유구조물을 통한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독도개발은 기초조사 선행이 반드시 필요하다. 독도는 주변 해역에 많은 자연자원을 가지고 있으며,최근 독도 근해의 광물,해수,채광 등을 통하여 이러한 자연자원 개발은 에 너지 자원인 메탄하이드레이트를 채광하는 경우에도 경제적 개발 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해양심층수,해저 광물 등을 포함한 해양산업 연계는 경제적 자립화 가능한 생산도시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獨島를 정주여건이 가능한 생산도시,자연자원의 도시로 그 기반을 구축하여,동북아의 평화의 도시,관광의 도시로 만들기 위한 공학적 기반은 갖추어져 있고 추후 기초 설계 및 시공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
        70.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형파 이론에 의한 파랑스펙트럼 분포에 의해서는 30m 크기의 파랑은 현실적으로 거의 발생 불가능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위성 영상을 이용한 조사에 의해 3주간의 기간 동안 25m 이상의 거대파가 10개 이상 관측됨에 따라 실해역에서 빈번히 마주칠 수 있는 현상임이 입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지금까지 원인 불명으로 치부되어 왔던 많은 해양 재난이 거대파에 의해 발생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거대파의 발생 원인으로는 파군 형성과 관련한 파고분포 특성의 변화, 전파하는 파군의 비선형 공명간섭 등이 제기되고 있으나, 그 출현의 복잡성과 자료의 부족 등으로 아직 명확하게 해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해역에서 발생하는 거대파의 실태 및 선형 및 비선형 파랑집중 이론에 근거한 거대파 발생 기구를 고찰하였으며, 비선형 파랑전파를 모사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비선형 파랑 집중에 의한 거대 파랑의 형성을 모사하였다.
        72.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wo-stage numerical model was us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ree-dimensional local wind model, advection/diffusion model of random walk method and second moment method in western coastal area for Korean peninsula. The first stage is three dimensional time-dependent local wind model which gives the wind field and vertical diffusion coefficient. The second stage is advection/diffusion model which uses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as input data. First, wind fields on Korean peninsula for none synoptic scale wind showed typical land and sea breeze circulation, and the emitted particles were transported by sea breeze for daytime, emissions return to sea by land breeze for nighttime.
        74.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w thia-and diselena-crown ethers containing two suffer and selenium donor atoms have been prepared. And then, mercury (Hg^2+) ion-selective electrodes with PVC-plasticizer (STPB) based on some macrocycles as neutral carriers were also made. The electrochemical selectivities for various ions, and the effects for macrocycles, matrix of membranes, ratio of plasticizer to macrocycles, concentration and pH of test solution were investigated on the Hg^2+ ion selective electrodes. The 1,10-diselena-l8-crown-6-PVC-STPB (sodium tetraphenylborate) exhibited good linear responses of 28.2 ± 0.6 decade^-1 for Hg^2+ ion in the concentration ranges of 10^-2∼10^-6 M Hg^2+ ion. This electrode exhibited comparatively good selectivities for Hg^2+ ion in comparison with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ions, some heavy metal ions and rare earth metal ion in the range of pH 2.5∼6.0. In addition, this electrode was applied as a sensor in the titration of Hg^2+ ion with I^- ion in water.
        75.
        199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w two macrocyclic compounds using as carriers of liquid emulsion menbrame, have been synthesized. These reuslts provide evidance for the usefulness of the theory in designing the systems. The efficiency of selective transport for heavy metal ions have been discussed from the membrane systems that make use of SCN^- I^- , CN^- and Cl^- ion as co-anions in source phase and make use of S_2O_3^2- and P_2O_7^4- ion as receiving phase, respectively. The transport, rate of M(Ⅱ) was highest when a maximum amount of the M(Ⅱ) in the source phase was present as Cd(SCN)_2([SCN^-]=0.40M, Hg(SCN)_2([SCN^-]=0.40M) and Pb(CN)_2([CN^-]=0.40M). The Cd(Ⅱ) and Pb(Ⅱ) over each competitive cations were well transprted with 0.3M-S_2O_3^2- and 0.3M-P20_7^4 , respectively in the receiving phas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wo criteria must be met in order to have effective macrocycle-mediated transport in these emulsion system. First one must effective extraction of the M^n+ into the toluene systems. The effectiveness of this extraction is the greatest if logK for M^n+-macrocycle interaction is large and if the macrocycle is very insoluble in the aqueous phase. Second, the ratio of the logK values for M^n+-receiving phase (S_2O_3^2- or P_2O_7^4-) to M^n+-macrocycle (L_1 or L_2) interaction must be large enough to ensure quantitative stripping of M^n+(Cd^2+, Hg^2+ or Pb^2+) at the toluene receiving phase interface. L_1(3.5-benzo-10,13,18,21-tetraoxa-1,7,diazabicyclo(8,5,5) eicosan) forms a stable Cd^2+ and Pb^2+ complexes and L_1 is very insoluble in water and its Cd2^+ and Pb^2+ complex is considerably less stable than Cd^2+-(S_2O_3)_2^2- and Pb^2+-P_2O_7^4- complexe is On the other hand, the stability of the Hg^2+-L_1 complex exceed that of the Hg^2+-(S_2O_3)_2^2- and Hg^2+-P_2O_7^4- , and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of L_2(5,8,15,18,23,26-hexaoxa-1,12- diazabicyclo-(10,8,8) octacosane)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L_1. Therefore, the partitioning of L_2 is favored by the aqueous receiving phase, and little heavy metal ions transport is seen despite the large logK for Hg^2+-L_1 and M^n+(Cd^2+, Pb^2+ and Hg^2+)-L_2 interactions.
        76.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wo criteria must be met in order to have effective macrocycle-mediated transport in these emulsion system. First, one must effective extraction of the post transition metals, Cd^2+ Pb^2+ and Hg^2+,into toluene membrane. The effectiveness of this extraction is greatest if log K values for the metal-macrocycle interaction is large. Second, the ratio of the log K values for the metal ion-receiving phase to the metal ion-macrocycle interaction must be large enough to ensure quantitative stripping of the metal ion at the toluene phase interface. Control of the first step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 selection of macrocycle donor atom, substituents, and cavity radius. The second step can be controlled by selecting the proper complexing agent for inclusion in the receiving phase. The order of the transport, when using the several A^- species such as SCN^-,I^-,Br and Cl^- is the order of the changing degree of solvation for A^- and the transport of the metals is also affected by the control of concentration for receiving species because of solubility-differences. In this study, we can seperate each single metal ion from the mixture of Cd^2+, Pb^2+, and Hg^2+ ions by using the toluene membranes controlled by optimized conditions. Transport of the single metal is also very good, and alkaline and alkaline earth metals as interferences ions did not affect the seperation of the metals in this macrocycle-liquid membrances but transition metal ions were partially affected as interferences for the post transition metal ion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