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예비공학교육을 통한 미국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보는데 있다. 미국의 PLTW(Project Lead The Way)는 대학의 공학을 준비하기 위한 예비 공학 프로그램으로서 정규 교육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공학을 위한 지식과 직업과 관련된 기본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주요 내용은 미국의 과제중심 진로교육(PLTW)을 소개하고 초․중․고등학교 프로그램을 조사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도입,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PLTW는 교육 시스템으로부터 졸업한 공학자와 공학 기술자의 양과 질을 늘이기 위한 공립 초․중․고등학교, 단과 대학 및 종합 대학의 고등 교육 기관과 민간 부문 사이의 협력을 맺은 프로그램이다. 둘째, PLTW는 예비공학 프로그램으로 6-12학년(초등학교 6학년~고등학교 3학년)학생을 위해 공학에 기초 훈련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공학과 공학 기술을 위해 2-4년제 대학이나 공업학교(technical school)에 입학하기 위한 필요한 것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셋째, PLTW는 공학과 공학 기술 프로그램을 추구하여 2-4년제 공과 대학의 학위를 필요로 하는 학생 수를 증가시키고, 성(gender)이나 인종적 태생과 관계없이 배우고자 하는 학문적 자격 있는 학생들에게 공정하게 모든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에 공과 대학이 감소하는 비율이 작아지도록 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넷째, 우리나라도 실업계 및 공과대학 인력 흡인책으로 PLTW와 같은 프로그램을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수준에 따른 자기통제 피드백의 제시가 축구 개방기술 과제(드리블 과제)의 학습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근본적으로는 이전의 연구(육동원, 윤용진, 이한우, 2005)로서 폐쇄기술과제에서 나타난 ‘동기수준에 따른 자기통제 피드백의 차별적 학습효과’가 개방기술 과제에서도 유효하게 나타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남학생 40명이었으며, 동기 검사지를 통하여 동기수준이 높은 집단 20명(self-control group:10명, yoked group:10명)과 동기수준이 낮은 집단 20명(self-control group:10명, yoked group:10명)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과제는 Crew(1968)의 축구 기능테스트 중 축구 드리블과제를 사용하였다. 둘째 날과 셋째 날 이루어진 습득단계와 파지단계는 각각 2(동기수준)×2(피드백)×6(분단), 2(동기수준)×2(피드백)×2(분단)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 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습득단계와 즉각 파지검사에서 고동기 집단이 저동기 집단보다, 자기통제 집단이 동반집단보다 우수한 드리블 수행능력을 보였다. 상호작용의 분석결과, (b) 피드백 형태에 따른 분석에서 자기통제 집단과 동반집단 모두에서 고동기 집단이 저동기 집단보다 우수한 학습효과를 보여주었으며, (c) 동기수준에 따른 분석결과, 고동기수준에서는 자기통제 집단이 동반집단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드리블 학습효과를 보여준 반면, 저동기 수준에서는 자기통제 집단과 동반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이전의 연구(육동원 등, 2005)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개방기술과제에서도 동기수준이 자기통제의 학습효과를 결정하는 주요인일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였다.
Asan city has many strengths, for examples, the distinction of innovation ability, several places with clean environmental resources, conventional-cultural resources and favorable conditions of location in regional agriculture development. But it has not devised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regional agriculture that is integrating natural, cultural and industrial resources. So the plan linked with those resources should be to promoted to develop agricultural production, marketing and regional economy. And a development strategy is to have the system of agricultural independence within Asan. Namely, originality, identity and cooperative spirit in economic and social-cultural aspects of Asan agriculture are needed, which are a great help to settle agricultural issues in Asan itself. And the governance system needs to be introduced that has the main bodies of Asan agriculture, so as to promote agricultural policy.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사회심리발달을 위한 예체능활동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주요 연구경향을 비교분석하고 앞으로의 학문적, 실천적 발전을 위한 과제들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총 175편(예술분야 60편, 체육분야 115편)의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발표연도, 연구영역과 주제, 연구대상의 유형, 연구방법별로 분류하여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발표수단별로는 석사학위논문(65.1%), 기타논집(22.3%), 학술지(11.4%), 박사학위논문(1.1%)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구영역에서는 연극과 미술분야의 예술활동과 스포츠 활동이 주로 활용되었고 연구주제는 폭력과 공격성, 사회성과 대인관계능력, 자기개념 향상 등의 사회심리적 발달을 포함하였지만 연구영역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요 연구대상에서는 예술활동은 소년원생을, 체육활동은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에서는 예술활동은 실험연구가, 체육활동은 조사연구가 주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비행청소년을 위한 예체능활동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jects for regional development, consolidating region"s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leadership that could establish and operate voluntary developmental plans along with active participations by regional people are important. There have been successful cases of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emphasiz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y strengthening functions and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premise of increasing mealable relationship among local industries and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esources and local resource utilization. However, effective pursuing is difficult due to lack of organization and leadership. Centering around local units with their importance recognized playing the core role in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s, other important issues are activating civic organizations essential for local development based on town units and agricultural amenity resources in rural areas by seeking methods of rear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improving rural incomes by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through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local units, and developing and activating farm experience related with green tour. The types of organization and leaders are analyzed by investigating approved cases of far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eek the methods of promoting organizations and leaders for promoting farm experiences in village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support organizations for promoting farm experience centering around local government units (such as city, Kun, Eup, Myun and village).
오늘날 영어교육의 주요 관심사 중의 하나는 과제(task)를 활용한 교실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다. 1970년대 이후 의사소통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이 영어교육의 흐름을 주도하게 되면서 의미에 중점을 둔 교수 방법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어 왔다. 과제 중심 접근법(task-based approach)은 제2언어 습득 연구와 실제 영어교수 분야 둘 다에서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 온 영역으로서,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고,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제2언어 습득 연구 측면에서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학습자들이 의미 협상을 위해 상호작용하는 과정이 핵심적인 연구 관심사로서,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하여 과제의 여러 요소들이 학습자들의 수행과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탐구하였다. 영어교육의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과제의 유형과 요소들을 어떻게 조정하고, 과제를 어떤 순서로 제시하며, 교수-학습에 어떻게 활용할 지 연구하였다(Ellis, 2000). 의사소통적 접근법에 바탕을 두고 있는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도 교수 방법에 있어 과제 중심의 활동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고, 따라서 초등, 중등, 고등학교 교과서에 다양한 과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초등영어 교과서의 경우는 학생들이 영어를 처음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과제들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으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포함되는 과제의 종류와 수가 늘어난다. 관심은 많고 활용도 많이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과제 증심 교수법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제의 여러 변인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했을 때 학습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험 연구가 부족하고, 교재에 포함된 여러 과제들에 대한 유형 분류, 수행의 용이성 및 학습 효과 분석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교과서에 포함된 여러 과제들을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보고, 학습 효과 측면에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과제를 정의하고 과제 중심 교수법에 대해 알아 본 후, 과제의 유형 분류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초등영어 교과서에 포함된 과제를 분석할 것이다.
상식적으로 보면 사회과는 학생과 교사가 가장 흥미롭게 학습하고, 교수할 수 있는 교과이다. 왜냐하면 다른 어떤 교과보다 학습 내용이 풍부하고, 다양한 교수․학습(학습)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 내용이 풍부하다는 것은 학습내용이 많다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다.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역사학, 지리학, 심리학, 철학 등 8개 이상의 다양한 학문으로부터 훌륭한 민주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중심으로 내용을 추출하여 통합한 교과이기 때문에 내용 선정의 범위가 넓다는 뜻이다. 즉 흥미롭고 유익한 학습 내용을 추출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뜻이다. 또한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하다보니 우리가 알고 있는 수많은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다. 즉 사용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방법에 적합한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초등학교의 경우 많은 교사들이 연구수업을 할 때 사회과를 선택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보여줄게 많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싫어하는 교과 중의 하나가 사회과이다. 초등학생의 경우 사회과는 수학 다음으로 싫어하는 교과이고, 가장 어려운 교과이며, 가장 중요도가 낮은 교과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경향은 교사도 거의 비슷하다(정문성, 1996, 1997). 중, 고등학교도 거의 비슷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생들이 사회과를 싫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추상적이면서 어려운 개념과 원리들이 많이 나오고, 여러 학문의 내용이 포함되기 때문에 암기하여야 할 내용이 많고, 조사하거나 탐구해야 하는 과제가 많은 것도 원인이다. 후자의 경우 시간도 많이 걸리고, 학습 활동의 범위가 애매하고 광범위하여 학생들에게 많은 부담을 주기도 한다. 교사 입장에서도 짧은 시간 안에 어려운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시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그 다양하고 어려운 학문적 개념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르치기도 벅찬 경우가 많다.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고 싶지만 입시위주의 교육현실과 수업방법에 대한 정보나 연수기회를 갖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 이유가 내용의 풍부성과 방법의 다양성 때문에 여러 가지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회과의 특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상당수의 교사들이 사회과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실천하고 만족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분야에서는 이러한 사회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개관과 검토를 시도한 경우가 거의 없다. 주로 개념학습, 탐구 학습, 수준별 학습, 논쟁 학습 등 특정한 수업방법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다(구정화, 1998, 강운선, 1999; 정문성, 1999; 이진석, 1999; 박건호, 1999; 차조일, 1999; 조영달, 2000, 주은옥, 2001; 설규주, 2001; 은지용, 2001; 김영인, 2002;조국남, 203; 노경주, 2001; 모경환․최유리, 2003; 박윤경, 2003; 마미화, 2004). 그 동안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수많은 연구와 실천이 누적된 만큼 이제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 전반에 걸쳐서 그 동안의 연구 및 실천 경향을 반추해보고, 시대적 흐름과 교육적 요구가 어떻게 수용되어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예측되는지를 살펴볼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와 실천 및 발전에 관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역사적으로 사회과의 교수․학습 방법이 다양하면서도 매우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음을 밝히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를 논의해보고, 이에 비추어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의 발전 과제를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연구의 목적은 동기수준에 따라 분류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자기통제 피드백의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44명의 중학교 남학생이었으며, 그들에게는 본연구의 목적 및 가설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았다. 사전에 실시한 동기수준 검사를 통해 고동기 집단(자기통제 집단 11명, 동반집단 11명)과 저동기 집단(자기통제 집단 11명, 동반집단 11명)에 각각 22명씩의 피험자가 배정되었다. 실험과제는 Crews(1968)의 축구 패스 정확성 과제였다. 첫째 날,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동기 집단과 저동기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본 실험이 시작되었다. 습득단계와 파지단계는 각각 2(동기수준)×2(피드백)×5(분단), 2(동기수준)×2(피드백)×2(분단)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 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a) 고동기 집단들이 저동기 집단들 보다 습득단계에서 우수한 연습효과를 보여주었다. (b) 자기통제 그룹들이 동반집단들 보다 습득단계에서 우수한 연습효과를 보여주었다. (c) 파지단계에서 동기와 피드백의 상호작용 효과에 따르면, 고동기 수준에서 자기통제 집단은 동반집단보다 우수한 학습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동기 수준에서 두 집단은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동기수준이 자기통제 효과를 결정하는 주요인중의 하나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Pureundeul farming corporation(PFC) is an exemplary body of all producer organization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EFA) in Korea. It is located at Asan in Chungnam and has 301 farmers. They attained more than 10 billion wons as a sale in 2004. And The direct marketing channel of the EFA products is the second logistics center(Asan)→the first logistics center(Gwangju Gyunggi) → local hansalim shops → consumers. It is needed to construct the system of the direct marketing as follows : First, it needs to construct the direct marketing system within the region for EFA products of Asan. Second, the direct shop and suppling area should be enlarged as a way to promote sales with the demand increase of EFA products. Third, an aggressive promotion campaign is be needed for increasing motivation of consumption and understanding of EFA products.
Eco-village is an alternative community which applies ecological principles to the development of human ecosystem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ility. Ansolgi village in Korea has been established five years ago, in 1999, by a group of environment conscious families. The author has visited and stayed in the village twice during last two years, for several days each time, and observed and surveyed the changes of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 community. They adopt more environment friendly techniques in building their houses, sewage system, roads and parking, and growing their own foods, and so on. The residents have diverse jobs, many of them outside the village as the village lacks job opportunities. The residents themselves often question the sustainability of the village and reluctant to identity Ansolgi as an eco-village. Most residents joined the community with their own images of an eco-village and find it difficult to reach consensus on what the eco-village should be like and how it should be managed and maintained. Residents wish to get government assistances and professional guidance. This paper concludes it is still very difficulty and problematic to establish an eco-village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 시-지각, 개방-기술 경험, 과제의 유형, 시각적 자극 속도가 동시적-예측 타이밍에 미치는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15명의 남성과 여성이 바이옵터 시-지각 검사를 이용한 6가지 시-지각 검사와 개방기술 활동 검사지를 작성한 후에 베이신 예측 타이머를 이용하여 3가지의 서로 다른 시각적 자극 속도 조건에서 단추누르기 과제와 타격 과제에 대한 50회의 동시적 예측 타이밍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지각 능력과 개방기술 경험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이러한 변수들은 동시적 예측 타이밍 과제의 수행에서의 남녀차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단추누르기 과제보다 타격 과제의 수행에서 정확성과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연령의 피험자들이 수정된 프로토콜(각 측정)을 이용하여 운동감각 처리과정에서 심리물리학적 감각 반응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결정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그 능력을 정량화 하려고 시도하였고 첨가연속체나 대치연속체 이론에 의해 설명된 운동감각에 관한 심리물리학의 지각 연속체에 대하여 가능한 설명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피험자에게 눈가리개를 한 채 선형 정치 장비에서 거리와 위치(22, 44, 64도)를 구분하도록 요구된 2회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7개의 표준 비교 조합들이 거리와 위치 움직임 각각에 대한 총 140번의 시도, 20분단에 대해 무선위로 제시되었다. 항상 자극 방법이 주관적 평형점, 최소감지차(JND), 항상오차, 그리고 웨버 비율(WR)을 결정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3개의 표준 거리와 위치 움직임에 대한 JND와 WR에 기초해서 이론적 구성에 관하여 결과들이 논의 되었다. 그 결과 거리와 위치 움직임은 첨가연속체이론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측정은 물리적 자극과 심리학적 반응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적절한 것임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applying horticultural therapy to the elderly,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horticultural therapy research and its findings for Korean elderly. For this purpose, we utilized content analysis centering around all of academic theses and articles related this topic. This study suggested the future tasks for programming and research of horticultural therapy for the elderly. First, institution, accommod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maintained to fix programs of horticultural therapy in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aged. Second, interdisciplinary studies among horticulture, health, psychology, sociology and social welfare should be required to do multiple research relevant to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its application. Third, more studies on inter-generational program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its effect comparison on different kinds of older population should be recommended. Finally, multiple research design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be more utilized in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적인 진술로 구성된 내부적 주의초점 피드백과 외부적 주의초점 피드백의 차별적인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사용된 과제는 볼링 투구과제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남자 중학생 30명 이었다. 이들은 내부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 외부적 주의초점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연습단계 이틀 동안 6게임 마지막 날 파지검사로서 2게임, 총 8게임을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으로서 볼링점수와 동작점수가 기록되었다. 실험설계에 따라 반복측정에 의한 삼원 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볼링점수의 분석에서 외부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연습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볼링점수의 분석에서 외부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은 내부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과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동작점수의 분석에서 내부적, 외부적 주의초점 피드백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연습 및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볼링점수의 분석결과들은 언어적 진술로 구성된 외부적 주의초점 피드백의 상대적 우수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치 타이밍 과제의 운동속도와 운동정확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운동속도는 스윙범위와 불빛 이동 속도 조건으로 조절하였고, 운동정확성은 스윙과제 수행의 시간과 공간 오차(절대항상오차)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운동수행의 일관성은 시간과 공간 오차 점수를 이차원으로 하는 이원변량 가변오차(BVE)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오른손을 사용하는 5명의 남자 대학생이었고, 불빛 자극 이동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불빛 자극의 도달지점에 맞춰 전완 수평 운동 측정기를 스윙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스윙범위는 10도, 30도와 50도였고, 불빛 자극의 이동 속도는 89㎝/sec, 178㎝/sec, 268㎝/sec, 357㎝/sec와 447㎝/sec 5가지 속도로 제시되었다. 피험자들의 각 조건별 시행(50시행) 중 총 40시행(11~50시행)을 스윙 범위(3) × 불빛 이동 속도(5) M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윙범위가 증가하고 불빛 자극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공간 오차는 증가하였지만, 시간 오차와 이원변량 가변오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