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과 한문교육의 연계문제는 우리에게 있어서는 일반적이고 근원적인 문제라서 우리가 굳이 이 문제에 대하여 천착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두 분야의 개념 이해나 상호연관성에 대해서 自得할 수 있다고 생각되겠지만 본격적으로 그 성격과 지향점을 따져서 깊이 있게 논하기 시작한다면 생각만큼 그렇게 쉬게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지금까지 이 문제를 주제로 하여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논한 연구 성과들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더라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한문학과 한문교육은 태생적으로 친연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무척 가까운 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자가 각각 하나의 독립된 영역의 학문으로 자립하게 됨으로써 둘 사이의 개념적 정의는 다르게 나타나게 되고 지향점에 있어서도 상당한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문학이 포괄하는 영역을 말할 때 일반적으로 한자로 표기된 모든 한문자료를 해석하고 연구하는 분야의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한국만이 아닌 동양의 文·史·哲에 관련된 한문고전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개념규정은 한문을 표기수단으로 삼아 문자 활동을 했던 전통적인 지식인들이 남긴 文集과 오랜 기간에 걸쳐 인문문화의 정화로 존중돼 온 漢文古典에 개인의 정서를 나타낸 문학작품만이 아니라 역사에 대한 褒貶과 經世經國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나타낸 글을 담고 있기 때문에 한문학이 포괄하는 범위가 심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문학이 포괄하는 범위를 단순히 한문문학으로만 한정할 수 없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한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한문학 연구자들에게는 인문 문화의 전반을 통섭하고 조감할 수 있는 지적 능력과 시대를 관통하는 예리한 통찰력이 요구되기 마련이다. 한문학 연구에 평생을 바쳐도 한문을 제대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조차도 어렵다는 얘기는 바로 한 개인이 이같이 광범위한 한문문헌을 올바로 해석해 내거나 수천 년에 걸쳐 이루어진 인문지식의 集積을 온전히 了解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한문학 연구의 내용과 방법이 인간의 삶에 대해 종합적이고도 거시적으로 성찰하는 데에 일관하고 있기 때문에 한문학이 인문학에 속하는 여러 학문 가운데서도 중심 되는 학문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특히 요즈음 학문 경향이 점점 專門化 되고 細分化 되고 局地化 됨으로써 인간의 보편적 가치를 살피기에 역부족한 것은 물론이고, 시대를 嚮導할 새로운 理念과 潮流를 창출하지도 못하는 현실에 비추어볼 때에 한문학 연구자들에게 주어진 시대적 사명이 가볍지만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말은 한문학 연구자들이 역사와 시대에 대한 투철한 철학을 가지고 인간의 심성을 다스리는 처방을 찾는 능력에서부터 문명의 실체를 올바로 살필 수 있는 통찰력까지 갖추어야 만이 제대로 된 연구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보면 한문학 연구가 용이한 일은 아니지만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취한 연구결과가 대중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심상치 않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한문학의 연구 성과는 일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문교육의 철학을 확립하고 한문교육의 범위를 확정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데 좋은 指標가 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한자의 해서체는 오랜 기간 동안의 규범화과정을 거쳐 정리된 것이지만, 그 학습과 운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개별 자소의 변이형태가 워낙 많다는 점이다. 한자는 隷變 이후 자형 자체의 象意性은 많이 훼손되어 대부분의 개별 자소들이 符號化되긴 하였지만, 여전히 義符 혹은 音符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자소의 사용위치 혹은 결합대상이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자의 학습과 운용과정에서 봉착하게 되는 난제들 가운데 해결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문제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필자는 몇 해에 걸쳐 한자의 자소추출 및 정리에 관심을 갖고 일련의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2010년에는, 고문자 계통에서의 특정한 자소의 자형이 예서를 거쳐 해서체 자형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 혹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자소가 동일한 형태로 정리된 경우 등의 자소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변이형태를 분석、정리하여 「한자 해서체 자형에 나타나는 자소의 변이형태 小考」라는 제목으로 졸고를 발표한 바 있다. 본고는 이상의 작업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형교육 현장에서 변이자소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공론화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적출 될 것이며,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한자학적인 관점에서의 변이자소와 실용적 문자체계로서의 변이자소를 동일한 기준으로 일일이 구분하고 분석해야 한다면 오히려 교육현장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대상 한자의 범위설정도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코 개별 연구자 몇 명에 의해서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 다만, 논의의 시작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는 시급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본고는 기왕에 설정되어있는 「교육용 기초한자」1800자를 대상으로 하여, 출현하는 개별 변이자소를 분석 정리하고, 그 활용방안에 관한 개인적 의견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중국 교육부에서는 2009년에 공포한「현대 상용한자의 部件 및 부건명칭 규범(現代常用字部件及部件名稱規範)」을 통하여, 현대한어 3500 상용한자의 514개(441組) 部件을 제시해 놓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는 해서체에서도 운용되고 있는 ⺈(負字頭)、⺧(告字頭)、(春字頭)、(靑字頭)、⺢(水底) 등의 변이자소들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자소 및 변이자소가 모두 정리되어 학계의 논의를 거쳐 그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기초한자」의 부록으로 構形素로서의 자소목록이 제시되어,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1970年 한글專用 政策 施行 이후 韓國의 漢字敎育은 跛行을 겪고 있다. 韓國語 語彙의 70% 以上이 漢字語이며 大部分 敎科 用語가 漢字語임에도 不拘하고 漢字를 통한 漢字語 敎育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漢字 敎育은 韓國語와 韓國語 文章을 正確하게 말하고, 쓰기 위해 반드시 必要하다.韓國과 中國 ∙ 日本 ∙ 越南은 過去 이른 바 漢字文化圈에 속했던 國家이다. 서로 사용하는 言語는 달랐으나 共通의 文字인 漢字를 통해 國家 間 意思 疏通은 물론 學者와 文人 間 交流가 可能했다. 急變하는 近 ∙ 現代史를 거치면서 漢字文化圈은 自然스레 崩壞되었으나, 최근 이들 國家 間 修交로 相互 人的 ∙ 物的 交流가 날로 擴大되고 있다. 이들 漢字文化圈 國家 사이에 가장 基本的이며 共通的인 要素는 바로 ‘漢字’이다. 漢字는 未來 東Asia 社會에서 相互 理解를 圖謀하며 親密한 交流를 할 수 있는 하나의 重要한 手段이라는 現代的 ∙ 時代的 意味를 看過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program after the execu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Support Act. We conducted a survey to understand dietary teachers` recogn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 found that teachers` recognition was low and that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still carried out indirectly by focusing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life education is carried out during lunch time and dietary life-related class hours. However teachers of lower class levels did not have any practical subject related to dietary life and responded that a lack of time devoted to dietary life education was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program.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students` sound dietary habits, and that the development of a system of teachers directly responsible for dietary life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past, dietary life education has typically been carried out at home, but now schools are required to play a role because of family nuclearization and the increase in working couples. Therefore, to revitalize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Education Support Act, we suggest more systematic and segmentalized studies.
목적: 초등학교에서 보건교사가 실시하고 있는 보건교육 내용 가운데 ``눈과 시력 및 시력관리``에 관한 교육현황을 파악하여 성장 발육기에 있는 초등학생의 근시발생 및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보건교육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10년 9월부터 2011년 1월까지 경기도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보건 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우편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명의 설문지와 설문에 응하지 않은 5명을 제외한 48명을 검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은 SPSS 12.0K Window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로 하였다. 결과: 보건교사는 5, 6학년을 대상으로 1년에 17차시의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보건교육 중 ``시력저하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는 18.7%로 조사되었다. 보건교사가 원하는 시력저하 예방교육에 관한 정보 제공 형태로는 ``세미나/워크샵``이 58.3%로 가장 많았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력저하 예방교육 중 가장 선호하는 교육 형태는 눈알사진 또는 눈알실제모형을 이용한 눈과 시력에 관한 체험수업이었고(54.2%), 보건수업 시간을 활용한 눈 건강 관리교육은 31.2%, 전문기관에서 시력검사 후 시력에 관한 교육은 14.6%,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교육은 14.6%, 눈 운동 16.7%, 개인상담 2.1%로, 체험학습과 눈과 시력에 관한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초등학교 보건교사들이 눈과 시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고, 눈과 시력에 관한 보건교육의 실태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므로,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눈과 시력에 관한 전문적인 보건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HACCP 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업체는 작업장에 적합한 HACCP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운영하는 인력을 확보해야 하며, 평가기관은 전문성을 갖춘 평가관을 양성하여 지정평가 및 사후관리 평가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문 인력은 체계적으로 준비된 교육 훈련과정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HACCP 교육 훈련은 강의식 교육이 아닌 실습위주 및 현장체험의 훈련으로 진행되어야 그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다. 현행 교육 훈련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1) 교과 과정, 교육내용, 교육교재의 전문화와 표준화, (2) 전임강사 확보 및 전문성 제고, (3) 실습 및 토론식 교육 훈련, (4) 단계별 교육 훈련프로그램 개설, (5) 교육 훈련 기관의 지역별 균등 배치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 .
This study analyzed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western foods in the field of 'dietary life' in Practical Arts curriculums, and developed the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potatoes, dumplings coated with bean paste, simple side dishes are discussed in the first curriculum. The second curriculum discussed only traditional foods and the third curriculum considered more traditional foods than western foods including bread. From the fourth curriculum to the sixth, traditional foods were mainly discussed and both traditional foods and western foods were mentioned evenly in the seventh and revised 2007's curriculum. Secondly, this study developed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which helps students not only to learn the meaning, kinds, history, and related custom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kimchi, Korean pizza, rice cake, but also to learn and practice cooking fusion-foods covering traditional foods.In conclus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mprove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putation and value of traditional foods. Therefore fusion-foods cooking activity containing traditional foods which are not discussed in this study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ore in the future.
This study, 255 people, Gyeonggi-Y Elementary School (Grade 2 to Grade 3) and Power Point educational media activities, made a rice cake, and then through surveys conducted by education, training effect of dietary was analyzed.The name of rice cake(99.1%) and rice cake flour with about 82 percent know.Gratitude to farmers, students have been answered by 91.3% after the dietary change was education. Teaching Satisfaction 'Yes' was answered more than 91.0%. Die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appreciation for farmers was a positive correla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s very high. Also grateful to farmers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Making rice cake with exercise diet showed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is very high. Therefore conducted a systematic practice cooking to suit the students' level of food education will be done efficiently.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for food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ai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ing guide book (of food exerts) for eco-friendly food education together with green growth to standardize food education and to make the best the effect of food education. Especially we will develope active food education program to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through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textbook and teaching aids. Major contents of food education textbook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as two subjects. First included the understanding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o distinguish the indica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erits of school feeding made by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econd is about children loving earth to understand food mileage. Its contents are as follows ; the definition of food mileage, the movement of food mileage to report environment, origin mark of agricultural products, our mental attitude for our favorite agricultural products,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Gyeonggi Province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verify whether distance learning can be adopted in practical cooking class for Korean foods in a two-year college. The distance learning education can be a supplementary method to the traditional cooking class. The face-to-face teaching method and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were compared in order to determine which of the one is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practical cooking class. The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ace-to-face class evaluated their class experience higher than those in the distance learning class with respect to the participant's learning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On the contrary, regarding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participants in the distance learning clas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face-to-face class. The end result supports the claim that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in the participants for gaining cooking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reducing children`s sugar intake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This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6 units was conducted in discretional activity class of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correct answers and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scores of nutrition education in male students, students whose mothers have no job, and students with skinny physiques were much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p<0.05, p<0.01, p<0.001, respectively). Second, the dietary attitudes toward reducing sugar intake and checking nutrition labels significantly improved(p<0.05). And also, it tended to decrease in preference and intake of sweet foods. Third, the consumption of candy·caramel·jelly(p<0.05), yogurt(p<0.05), jam·honey(p<0.05), and ice cream(p<0.001) were reduced after nutrition education. Besides, obese students` consumption of isotonic beverages, carbonated beverages, and fruit juice was reduced. Therefore, a positive change in dietary behavior appear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reducing sugar intake applied with social cognitive theor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in sugar intak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is program showed the improvement in nutrition knowledge as well as dietary attitude and behavior in sugar intake among obese children. Since nutrition education during childhood significantly influences lifetime-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ory-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practice systematic and constant nutri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목적: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tact Lens Educators(IACLE)가 실시하는 STE결과를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콘택트렌즈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IACLE에서 주관한 STE에 참여한 12개 대학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시험성적을 분석하여 대학 및 국가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12개 대학의 평균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54.01점이었으며 평균 합격률은 62.75%였다. 문항을 주제별로 7개 부류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균 점수는 각각 전안부 해부 및 생리 48.73점, 콘택트렌즈 디자인 및 관리 46.14점, 콘택트렌즈 피팅원리 49.08점, 환자 검사 및 콘택트렌즈 처방 73.37점, 콘택트렌즈 관리 및 유지 66.12점, 콘택트렌즈에 대한 안구 반응 55.45점,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 52.54점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에 따라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을 비교해 본 결과 2,3년제 대학의 평균 점수가 53.35점, 4년제 대학의 점수가 54.94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가간 비교에서는 중국, 인도, 프랑스, 독일에 비해 한국 학생들의 점수가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론: 평균점수와 합격률에 있어 학교 및 과목 사이에 편차가 확인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