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옥소를 이용한 갑상선 암의 치료는 지난 수 십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많은 치료효과를 보이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질 전망이고 현재 우리나라의 옥소치료병실 수는 2010년 기준 124개의 치료병실이 운영되고 있으나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많은 병원들이 치료병실을 개설하고 있으나 중요한건 치료병실의 수적 증가보단현재 치료병실의 올바른 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병실증설에 대한 논의에 앞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치료병실의 안전관리 기준과 일부 대학병원에서 기준으로 삼고 있는 안전관리기준을 조사하여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지, 치료병실의 이용에 따른 전반적인 안전관리실태여부를 조사하여 고찰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university learners' perception of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NESTs)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NNESTs) in the University English for academic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data collection were implement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118 students participated for NEST courses and 127 for NNEST courses. Among them 10 students(5 from NEST, 5 from NNEST) were interviewed to consolidat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ived more positively in the English speaking courses by NEST with regard to improving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NESTs' teaching attitude which intrigu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rying to ask questions in class, and keeping their tense during the class with English language code. However, students in NNEST courses felt less anxiety, used more L1 in group work, and tended to ask questions later the class in Korean than in NEST course. Students in NNEST courses perceived positively about L1 use as long as it is controlled. These findings are valuable implications for NNESts to manage their EAP courses effectively.
Clean plat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 on food waste in the dormitory cafeteria of T campus G university that is located in Tongyeong, in which 408 students joined the program. From survey and food waste monitoring, it was found that clean plat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 as well as action.
Half students (50.5%) answered that their eating habit changed, and among them 30.1 % students left a little food on the plate and 13.1% students left no food behind. Many students becom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food waste issue (84.5%), and 44.2% students were trying to reduce leftover. Food waste generation in cafeteria was 341.9, 576.1, 344.3g/capita/day in 2005, 2007 and 2008, respectively. And this shows that food waste generations were much less than national average data except 2007.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clean plate education program was satisfactory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 on food and to change their action, and it could be an excellent new approach to resolve a social issue caused by food waste. In order to reduce food waste generation at dormitory cafeteria, food taste and diet should be improved and students' eating habits also should be changed. For this, a practical program like clean plate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 설립운영구상의 타당성을 SWOP-CIPP 분석을 교육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제도형성이론이 입각하여 그 지속가능한 제도로서의 성공가능성 문제를 논의한다. SWOP-CIPP의 준거를 사용한 기술적 단기 전략적 판단으로 볼 때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의 설립은 그 타당성이 매우 높은 필요하고도 시급하며 한국교원대학교가 충분한 역량을 가지고 시도할 수 있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전문대학원은 단순이 기업이나 정부가 기획하는 사업을 넘어선 대학이라는 제도의 일부로서 지속가능성을 가져야 한다고 볼 때 제도형성론에서 요구하는 제도로서의 성공가능성은 아직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과제의 성격과 제도적 성공을 위해 추구해야 할 여러 가지 노력의 내용을 확인한데 그 중요한 의의가 있다.
작동 기억력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학생중 학업성취도 상위군과 하위군 학생들이 시각적 작동 기억의 부호화와 인출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대뇌 활성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20명의 대학생들을 학업성취도 상위군 10명과 하위군 10명으로 나눴다. 십자가를 응시하는 휴지기와 도형을 기억하고 인출하는 활성기가 2번 반복되는 210초 프로토콜을 적용하였고, 유의수준 95%에서 두 군의 대뇌활성화 차이를 알아보았다. 부호화의 경우 작동 기억을 담당하는 양측 배측 전전두엽(BA 46)과 주의력과 관련 있는하두정엽과 시각 연합영역에서 상위군이 하위군에 비해 높은 활성화를 보였고, 인출의 경우 우측 배측 전전두엽(BA44)과 모양의 판단과 관련 있는 우측 방추 상회와 설상회 등에서 우세를 보였다. 반면 하위군은 부호화의 경우 대상회에서 인출의 경우 시상과 기저핵 그리고 소뇌 등에서 상위군에 비해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업성취도 상위군이 부호화의 경우 작동 기억과 주의력에 관여하는 영역에서 인출의 경우 판단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높아하위군에 비해 효과적인 작동 기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대구지역 대학생에게 미치는 의식변화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직 간접적으로 참여한 대학생 남, 여 228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통계자료 처리는 t-test 검정,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분석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열정 정도에 따른 관여도, 지각된 편익, 지각된 비용, 지지 지속성은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애착심에 따른 관여도, 지각된 편익, 지각된 비용,지지 지속성은 대학생들의 애착심과 관여도는 높지 않았으며, 경제적인 부분은 매우 민감하게 인식하였고, 향후 대회의지지 지속성은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경험 유 무에 따른 관여도, 지각된 편익, 지각된 비용, 지지 지속성은 참여 경험자 그룹이 비경험자 그룹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근(1922-2000)이 ‘도전과 실험정신’의 작곡가이자 시대를 앞선 음악교육가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은 1959년 9월부터 1960년 8월까지 1년간에 걸친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시의 피바디 사범대 학에서의 연수와 1960년 여름에 참가한 탱글우드음악제를 통해서였다. 하지만 ‘피바디 프로젝트’에 선발된 이상근의 미국에서의 음악활동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피바디사범대학 체제기간 중 이상 근의 <교향곡 2번> 4악장, ‘한국선율에 의한 서완조,’ <피아노 3중주곡 2번> 등 세 작품이 연주되었 다. 특히 탱글우드음악제 기간 아론 코플랜드에게 수학하면서 작곡한 <피아노 3중주곡 2번>의 초연 을 비롯하여 이상근의 작품들이 미국에서 연주된 배경과 그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또한 피바디 연수를 통해 구체화된 음악교육관이 귀국 후 저술한 그의 음악교과서에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알아 본다.
본 연구는 도심 수목원의 산책이 남자대학생의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도시 내 수목원, 대조실험은 시청주변의 도시에서 실시하였다. 성인 남자 대학생 24명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실험은 무작위로 세 개의 그룹으로 총 3일간 실시하였다. 실험 장소는 수목원 내 소나무 숲, 수목원내 연못, 세 번째 도시로 정하였다. 각 경관의 감상은 10분간, 산책은 15분간 실시하였으며 측정 지표로는 POMS, STAI, SD method을 이용하였다. SD method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개방감, 단순함, 편안함, 친근함, 아름다움 등의 항목으로 평가한 결과 모든 항목에 있어 수목원의 소나무숲과 연못이 있는 공간의 산책이 도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p<0.01). POMS의 분석결과도 T-A(Tension and Anxiety), A-H(Anger and Hostility), V(Vigor), F (Fatigu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총정서장애(TMD, total mood disturbance)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 STAI 측정결과 실험 중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수목원의 산책은 심리적으로 쾌적함, 자연감, 진정감, 개방감, 단순함, 편안함, 친근함, 아름다움 등 순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지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태불안의 감소와, 분노, 적의, 긴장, 불안 등의 부정적 감정이 완화되어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합결과에 따라서 나타나는 사후가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러한 사후가정이 능력믿음과 자기핸디캡에 따라서 달라지는지 그리고 능력 믿음과 자기핸디캡이 사후가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대학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능력 믿음 검사지, 자기핸디캡 검사지 및 사후가정 검사지를 배포했으며 243명의 자료를 확보해서 기술통계, 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승패결과에 관계없이 50% 이상의 선수들이'내 실력이 있었다면, 결과가 더 좋았을 텐데'라는 상향적 사후가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같은 상향적 사후가정은 능력 믿음과 자기핸디캡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능력에 대한 학습 믿음과 운동지속 점수가 높은 연구참여자들은 고정 믿음을 가지거나 이런 저런 핑계를 대서 운동준비를 안하는 선수들에 비해서 상향적 사후가정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인지나 동기가 사후가정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논의했으며, 체계적인 사후가정 측정도구 개발 및 스포츠 분야에서 사후가정의 의미를 제언했다.
본 연구는 현행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가)․(나)형에서 성적 지표로 표준점수를 사용하면서 나타나는 원점수에 대한 표준점수의 유․불리 여부와 이에 따른 수리 (가)형의 응시자 감소 현상을 통계․수치적 자료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수리영역 원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계적 절차에 의하여 추정하였고, 추정한 값을 근거로 (가)․(나)형의 원점수와 표준점수를 실제로 계산하여 두 점수에서 나타나는 차이의 여부를 수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수리영역 (가)․(나)형에서 원점수가 같더라도 유형의 선택에 따라 표준점수로의 변환 시 수험생의 유․불리가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지 못한다면, 현재와 같은 형태로 개편안이 논의 중인 2014년 수리영역 A․B형의 표준점수 체제에서도 유형의 선택에 따른 표준점수의 유․불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표준점수의 유․불리 문제가 발생한 2005년 수능부터 수리 (가)형의 응시자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고등학교 자연계열의 3학년 수학 교실에서 (가)형과 (나)형을 응시하는 학생이 같이 수업을 듣는 것과 같은 돌발 현상이 재현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 S. Eliot at his alma mater, Harvard University, which he attended for seven years from 1906 to 1910 and from 1911 to 1914. Despite Eliot’s academic records displaying a range of subpar grades during his first and second years at Harvard, he succeeded in obtaining his BA and MA in four years. Simultaneously, Eliot contributed his early 10 Harvard poems including “Song: When we came home across the hill,” “Song: If space and time, as sages say,” “Before Morning,” “Circe’s Palace,” “On a Portrait,” “Nocturne,” “Humouresque,” “Spleen,” and “Ode” to The Harvard Advacate. Along with the French Symbolist poet Jules Laforgue, Irving Babbitt, professor and critic of New Humanism during his master’s course, Josiah Royce, pioneer philosopher at Harvard Department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George Santayana, philosopher of pragmatism, Bertrand Russell, visiting professor to Harvard from Cambridge University during his doctoral course, deep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Eliot’s poetic style and visions of Nobel laureate. A number of Eliot’s invaluable materials including his doctoral dissertation, Experience and the Objects of Knowledge in the Philosophy of F. H. Bradley, are now preserved at Harvard Houghton Library, which may be accessible only with a permission letter from Valerie Eliot.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 측면에서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2004년도부터 2008년까지 총 5년간 NURI 항만물류사업단의 자체보고서를 기초로 선정한 효과성 평가지표는 전반적 만족도와 세부적 만족도, 타 대학 출신인력 비교우위, 지속적 채용의사, 재교육의 필요성, 필요교육 우선순위 등이었다. 그리고 보다 객관적인 분석을 위해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취업률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결과,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타 대학 비교우위는 높게 나타나면서 재교육의 필요성은 점점 낮아져 사업의 효과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학생의 외국어능력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산학연계는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누리사업단의 참여학부(과)는 비참여학부(과)에 비해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사업의 효과가 객관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service efficiency and to cope with a emergency situation in emergency radiography, through analysis of the radiographic distriution and literature cited about emergency care. Data collection of radiographic distribution was surveyed for 1270 emergency outpatients who visit during JAN, 2009at ER of the general hospital in Gwang city. The results is as follows : Emergency radiography rate of simple radiography was 56.6%, special radiography 2. 5%, CT 34.2%, and ultrasonography 6.7%, In simple radiography rate. a high rate was distributed on male(63.6%), thoracicsurgery part(90.0%), admission patient(77.9%), and long stayed patient at ER. In special raiography rate, a high rate was obsurved in urologic part(28.6%), and in CT rate, observed neurosurgerty part(49.2%) and neurologic part(36.7%). Ultrasonography rate was high for female(8.8%) and internal medicine part(15.9%). There are distributed regional radiography rate in radio-graphic type that chest(55.3%) is high in the simple radiography, urinary system(1.2%) in the special study, and brain(40.0%) in the CT. Regional radiography rate according to diagnostic department also was showed highly for head(64.6%) in neuro surgery, chest(90.0%) in thoracic surgery, abdomen(58.0%) in general surgery, spine(40.0%) in neuro surgery, and pelvis(15.9%), upper extrimity(20.5%), and lower extrimity(31.8%) in orthopedic surgery each. Mean radiographic case number per patient of simple radiography was sinificant on sex, age, transfer relation in both total and radiopraphic patients(p<0.05). Mean radiographic case number was highly distributed on male(2.2 case number) in sex, on thirties(2.7) in age, transferred patient(2.7) in patient type, and on nurosurgery(3.4) in diagnostic charged part. Total radiographic case number in regional party was highly distributed on chest(998 case number.)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emergency radiographer should take care of the elder patient in emergency radiography and get hold of injury mechanism to decrease possible secondary injury during radiography. Because of high radiography rate of urinary system in special study, related instrument. All radiographer who take charge emergency patient should cope with a emergency situation during radiography. Because head trauma patients is very important in patient care, especilly in CT at night, charged doctor should be always sitted with CT room and monitoring patient. Radiography was reqested by many diagnostic department in ER. Considering that rate of simple radiography is high, special room for emergency radiopraphy should be established in ER area, and the radioprapher of this room should be stationed radiologic technician who is career and can implement emergency patient care and The disposition of men which is appropriate with emergency patient increase is necessary.
중국에서 한국어학과를 개설한 대학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1년 1월까지 중국 4년제 대학 중 103개 학교에 한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있다고 한다.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문화 교육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는 많지 않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국문화 교육의 비중이 점점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문화 교육의 부족으로 한국의 사회와 문화와 접하게 될 때 문화적 충격을 받으며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학과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문화 교육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교육 내용, 교자 자질, 자매대학 협력 등으로 나누어서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