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41.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onesian dietary life in relation to tradition, customs, variety of food, condiments and spices, processing food and religious way of ceremony was studied through reference books and field trips.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1. Indonesian food life style has been influenced not only by foreign countries like India, China, Arab and Western countries but also religious commandments of Islamism, Hindusim and Budhism. 2. Indonesia has a wide territory and consist of many islands. Therefore, various food life style can be found in every regional areas. Modern westernized style as well as traditional style coexist together. 3. Chinese has influenced Indonesian food life as well as that of Koreans especially in soy sauce and rice cake. 4. Various type of steamed rice by adding other ingredients can be found in daily life and religious ceremony. 5. Coconut milk, raw spices, pepper are widely & exessively used in cooking and Tempe (soya bean cake) is one of the major protein sources in Indonesia. 6. In religious ceremony, SELAMATAN, various kind and shape of food with different colors symbolize the desire of those who contribute.
        4,000원
        42.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in aspect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igneous activity of igneous rocks, which is a member of various intrusives and volcanics exposed in the SE-zone of Ogcheon Geosynclinal belt, one of basement of Korean peninsula. Igneous rocks of study area along marginal area between SE-zone and C-zone of Ogcheon Geosynclinal belt consist of Pre-Cambrian orthogneiss, Triassic foliated granites and Namweon granites, Jurassic diorite-gabbro and granites, and Cretaceous granites and volcanics. Foliated granites in so-called Honam shear belt of study area is divided into four rock units based on the geologic age, mineralogy and texture : Daegang foliated granite, foliated hornblende biotite grandiorite, foliated biotite granodiorite and foliated two mica granite. Foliation of foliated granites generated by dextral strike slip movement at deep ductile shear zone. The individual synchronous plutons plottes on Harker diagram show mostly similar trend to the Daly's values. Each plots of the foliated granites, Jurassic granites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concentrate near trend of talc-alkali rock series on the AMF diagram. Igneous rocks of study area vary wide range in total REE content(83.27-377.49ppm) show LREE enriched than HREE in REE amount, and LREE have more steep negative slope in Eu(-) anomaly. From the date mentioned above, it is concluded the synchronous plutons which composed of several rock facies is considered to formed by differentiation of a series of magma. Geochronological episodes of igneous activity from early proterozoic to late Cretaceous between Jinan and Naju are two more Pre-Cambrian Orogenies, Songrim Disturbance, Daebo Orogeny and Bulkuksa Disturbance.
        5,400원
        4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남아시아는 섬과 강이 많은 지리적 특성과 경제 규모의 급격한 성장으로 새로운 국가시설물이 꾸준히 계획·건설되고 있으나, 국가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이 부족하여 국가시설물(교량, 댐 등)의 붕괴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시설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고, 사회·경제적 손실 문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결방안으로 동남아시아 각국은 주요 국가시설물(도로, 교량, 댐, 항만 등)에 대한 시설물 안전관리체계의 도입을 추구하여 시설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예산 확보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유지관리사업의 일정을 제시하는 시설물 유지 관리 정책개발을 추진해오고 있다. 또한, 시설물 유지관리 정책을 몇 해 전부터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은 개별로 관리되고 있는 국가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업무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기존시설물의 수명연장 및 붕괴사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관리체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동남아시아 각국의 시설물 안전관리 정책개발 및 시설물 유지관리 기술의 현 주소를 소개하고 향후, 이들 시장에 대한 진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46.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lobal trade partners have been diversified and mixed in agricultural market, which is expended the international agri-food market through the Regional Trade Agreement and World Trade Organization, et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rive influential factors for exports increases of agricultural products targeting to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We set the equation for agricultural products exports referred to panel gravity model considering panel fixed effect for controlling endogeneity with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s; (1) Social economic distance considering international oil price negatively affects in the mushroom model; (2) Korean GDP affects (-) in a mushroom model and (+) in a vegetable model, however, ASEAN’s per capita GDP indicates opposite influence in the same model; (3) Relative exchange rate shows negative impact in a vegetable model; (4) The entry status into WTO and the status in force of FTA have converse effects in mushroom and vegetable model, respectively.
        4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ze production in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with increasing poultrylivestock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to early 2010. Also the need for a new variety development of each contries was increased rapidly in the same period. Single-Cross hybrid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and supplied from 2001 instead of multi-cross maize varieties since 1992 in Indonesia. In Cambodia, CP group is mainly manufacturing feeds with most of the forage maize from farmers who are growing its seeds from the company. Cambodian main cultivars are variet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DK8868 from Monsanto, NK6326, NK7328 from Syngenta and CP333 from CP group including local business company. Vietnam is the main maze importing country in South-Eastern Asia which had imported 13 times scale of amount compared to exports in average from 1990 to 2011. Vietnamese government has developed a range of varieties for improving their efficiency in production, such as the LVN-10 with political investments. Their production has been reached to 80% of the total. According to the 2012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data in Korea, domestic edible maize cultivation area was approximately 15,000ha. It showed 74,399 tons of production, 3.8% of food self-sufficiency in maize and around 0.9% of grain self-sufficiency rate. The consumption of grain is mostly rely on imports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domestic seed market and increase maize self-sufficiency, the need to develop maze varieties for world-class is increasing at present through analyzing the market trend and prospect of the seed industry in South-eastern Asia
        4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발표는 GSP 사업의 일환으로 벼, 옥수수, 감자 종자 수출을 위한 수출 주요 예상국의 국가별 정책과 신수요 동향 및 정보분석을 통해 해외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내용이다. 분석대상 국가는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의 4개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PS분석, 산업환경분석, 밸류체인 분석, 시장 전망 분석, 진출 가능성 분석과 진출 전략의 수립을 포함하고 있다. 베트남은 농업이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로 농업 투자를 우대하고 있으며 농업 경쟁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혜택과 정책을 다수 수립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농림축산식품부와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의 교류협력 촉진을 위한 MOU가 체결되어 시장 진입에 강점이 있다. 베트남의 벼 종자시장은 수 입 품종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기후 조건도 양호하여 신품종 수요가 크지 않으며, 옥수수는 수입품종 의존도가 높 지만 재배 환경이 열악하여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따른다. 감자 시장 수요의 50% 이상이 ㈜오리온이기 때문에 감 자 종자 시장의 진입에 유리함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는 최근의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로 식량작물의 수요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종자의 수요가 매우 높아 매년 외국으로부터 다량의 종자를 수입하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는 인건비와 토지 이용료가 저렴하여 계약 생산 등의 시스템 도입에 유리한 점이 많고, 기후 와 재배 환경이 양호해 다양한 방향의 진출 전략이 가능하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식량작물 수요국이자 생산국으 로 종자 수요 역시 대단히 커서 종자 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자국기업의 보호를 위해 법적으로 외국 기업에 대한 법적 제약이 많고 차별이 상존하여 시장 진출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캄보 디아는 세계 최빈국 중 하나로, 종자의 기술적, 양적 부족이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종자 도입에 대해 관대하며, 외국인 투자의 특혜나 시장 친화적 정책을 다수 수립하고 있다. 태국회사인 CP사의 점유율이 매우 높아 독점적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법적, 제도적 절차가 미흡하여 진출시 권리 보호에 위험이 따를 수 있다. 4개국은 모두 종자의 수요가 높은 반면 자국의 기술 수준이 낮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을 제외한 3개국의 시장의 진입장벽은 높은 편이며 외국기업에 대한 정책들도 그 강도가 달라 진출 기업의 특성과 해당 시장의 수요 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4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진재해를 유발하는 지표면 부근 지반운동은 연약한 토사층 두께나 기반암 심도와 같은 기하학적 조건 그리고 토사 강성과 같은 지반동적 특성의 분포에 따라 공간적으로 다르게 표출된다. 이러한 지반특성 차이와 관련된 부지효과로 인해 지반운동은 위치에 따라 크게 증폭되어 종종 막대한 피해를 일으켜 왔다. 이 연구에서는 지반 자료에 관한 통합 GIS 기반의 정보 시스템을 국내 대표적 해안 대도시 권역인 부산 및 울산 지역에서의 지진운동에 대한 지역적 종합대책 수립의 일환으로 우선 구축하였다. 부산과 울산 지역에 대한 GIS 기반 지반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먼저 각 연구대상 행정영역과 그 인근을 포함하는 확장영역에 대한 기존 지반조사 자료의 수집이 이루어 졌고, 지표 지반-지식 자료의 확보를 위한 부지 방문조사가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체계적 지반 DB를 완성하였다. 자료의 공간확장 연산 효율성을 고려하여 부산과 울산의 각 개별 확장 영역에 대해 지반 DB를 이용한 공간 지반지층 예측을 우선 수행하고, 연구대상 행정영역의 정보를 추출하였다. 두 연구대상 영역의 추출 정보를 병합하여 부산-울산 권역의 공간 지반지층 정보를 합리적으로 구현하고, 이를 토대로 지반지진공학적 특성지표인 기반암 심도 및 부지주기에 관한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부지주기에 따른 부지분류 분포를 도출하여 영역 내 임의 위치에서의 증폭계수 결정을 통한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부산 및 울산 지역 내의 거점 산업시설들을 선정하고 위치 별로 부지분류에 따른 부지 조건을 도출하여 지반지진공학적 공간구역화 정보의 예비적 내진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5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better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East and Southeast Asia, we studie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90 accessions by examining 1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flowering time, seed size, seed hardness, seed color, color of surface leaf, color of reverse side leaf etc. As a result, morphological variation determined that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and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its weedy type showed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terms of seed size and seed hardness, whenever cultivated var. crispa and its weedy type coul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morphological characters. In PC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mong 1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lower color (QL6), color of surface leaf (QL3), seed size (QN2), seed hardness (QL1), seed color (QL2), stem color (QL7), and color of reverse side leaf (QL4) contributed in nega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while flowering time (QN1), leaf shape (QL5), and degree of pubescence (QL8) contributed in posi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Among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s, particularly flower color (QL6), color of surface leaf (QL3), seed size (QN2), seed hardness (QL1), and degree of pubescence (QL8) were useful characters for discrimination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weedy var. crispa, and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its weedy type. However, most accession of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var. crispa was not clearly discriminated by PCA analyses. Although the wild ancestral species of var. frutescens and of var. crispa are still unknown in East and Southeast Asia, the weedy types of Perilla crop may be the key taxon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cultivated types of var. frutescens and var. crispa.
        5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70 amaranth accessions collected from South and Southeast Asia using 14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In total, 67 alleles were detected, with an average of 4.79 per locus. Rare alleles comprised a large portion (46.3%) of the detected alleles, and 29 unique alleles associated with rice accessions were also discovered. The mean major allele frequency (MAF), genetic diversity (GD)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of the 14 SSR loci were 0.77, 0.36, and 0.34, respectively. A model-based structural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three subpopulations. The genetic relationships revealed by the neighbor-joining tree method were fairly consistent with the structure-based membership assignments for most of the accessions. All 70 accessions showed a clear relationship to each cluster without any admixtures. We observed a relatively low extent of genetic exchange within or among amaranth species from South and Southeast Asia. The genetic diversity results could be used to identify amaranth germplasms and so facilitate their use for crop improvement.
        52.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재난대응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부산 영도를 포함해 영남 남해안 5개 섬의 주민을 대상으로 자연재해에 대한 의식조사를 수행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총 503명의 유효응답 중 28%는 태풍을 가장 주요한 자연재해의 원인이라고 생각하며, 해일(19%), 지진(15%)이 뒤를 이었다. 자연재해을 경험한 응답자의 60%가 태풍을, 21%가 해일을, 8%가 적조를 경험했다고 응답하였다. 자연재해 발생과 관련된 정보는 대부분 일반 TV 또는 방송매체(67%)를 통해 접했고, 21%는 개인의 경험적 판단에 따라 자연재해 발생 상황을 인지하였지만, 개인이 관공서로부터 개별적인 관련 정보를 입수한 응답자는 없었다. 전체 응답자의 33%만이 자연재해 대응교육을 받았지만, 자연재해 대응교육 이수시간은 76%가 2시간 미만이었고, 3시간 이상은 26%에 불과하였지만,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79% 이상이 효과적인 편이라고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자연재해 발생 시 피난처로 이동할 것인가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는 85%가 이동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피난처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는 불과 19%만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피난처로 이동시 소지할 품목은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는 식량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는 있으나 절대적 비율은 높지 않고 이불, 취사도구, 금전, 옷 등 모든 품목들이 고르게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내륙에 비해 자연재해 시의 구난 활동이 어려운 섬의 특성을 고려해 자연재해 발생 초기에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 개발이 필요하며, 주민 대상의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자연재해 대응교육 수립이 필요하다.
        5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ir pollution inventories are aggregated around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including Busan, Ulsan, and Changwon cities. Because densely populated cities are concentrated in this region, air pollutants emitted from one of these cities tend to be impacted on the air quality of other cities.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movement pattern of emitted particles, several numerical simulations using WRF/FLEXPART were carried out. Four cases were selected for each season.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WRF) reproduced atmospheric flow fields with nested grids. The seasonal pattern of air mass of study area was determined by backward and forward trajectories. As a result, the air parcel moves from northwest to southeast due to northwesterly winds in spring and winter. Also air parcel transports from south to north in summer, and moves from west to east. Because the air mass moves differently in each season,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performing air quality analysis.
        54.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ase of Typhoon Dianmu, the temperature,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the rainfall per hour changed dramatically when the center of the typhoon passed through Gimhae. Such a change was commonly found in the regions where the center of the typhoon passed through but almost not in the regions far away from i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yphoon Malou where the center of the typhoon was far away from the observation site, such a phenomenon was not observed. The analysis of the vertical observation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little change in the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of Typhoon Dianmu of which center passed through Gimhae.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wind speed according to the height in the lower atmosphere just before the center of the typhoon approached the region. When the center of the typhoon was passing through the region, the vertical wind speed was decreased. However, the wind speed was rapidly increased again after the center of the typhoon had passed through the region. Unlike the Dianmu, the difference in the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between the upper layer and lower layer of the atmosphere was relatively great in the case of Malou.
        5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regional warming on the meteorological field and air quality over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everal numerical experiment were carried out. Numerical models used in this study are WRF for the estimate the meteorological elements and CMAQ for assessment of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impact, initial air temperature were changed and its warming rate reach at 2 degree which was based on the global warming scenarios provided by IPCC. The experiments considering the global warming at initial stage were presented as case T_UP. Air temperature over inland area during night time for case T_UP is higher than that for Base case. During time since the higher temperature over inland area is maintained during daytime more intensified sea breeze should be induced and also decrease the air temperature in vicinity of coast area. In case of T_UP, high level concentrations ozone distribution area was narrowed and their disappearance were faster after 1800LST. As a results, wind and temperature fields due to the global warming at initial stage mainly results in the pattern of ozone concentration and its temporal variation a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56.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그들의 자연 서식처인 섬진강에서 채집한 성체 참게의 생식소 조직의 계절적인 변화 그리고, 암 참게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환경요인 즉, 온도, 광주기 그리고, 염분 농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암 참게의 생식소 발달과 GSI의 계절적 변화를 기초로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이 4단계로 구분하였다: 난황형성전기월), GSI는 낮았으며, 난소내에는 난황형성전난황형성전기와 감수분열전기의 난모세포들을 가지고 있었다; 성숙기(11월~다음해 3월), GSI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난모세포내에는 난황구들이 축적되었다; 산란기(4~6월), 암 참게의 GSI는 최고치를 나타내며, 포란한 암 참게들이 나타난다; 휴지기(7~8월), GSI가 급격하게 감소하며, 난황형성기의 난모세포들은 퇴화한다. 암컷 생식소의 성숙은 수온에 의한 영향을 받으나, 광주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광주기 조건(12L12D, 9L15D)에 관계없이, 10℃ 실험군의 암 참게보다, 18℃ 실험군의 암 참게의 GSI가 더욱더 증가하였다. 그리고, 26℃ 실험군에서 두 개의 광주기 조건(12L12D, 9L15D)에서 암 참게의 GSI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난소내에는 난황이 축적되고 있는 난모세포들은 없었다. 산란은 수온과 염분 농도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으며, 난황형성중인 암 참게는 두 달간 사육하여도, 10℃에서는 전혀 산란을 하지 않았으며, 18℃와 26℃에서 사육한 암 참게의 반 이상은 염분 농도 9.6‰와 19.2‰의 조건하에서 산란하였다. 그러나, 염분 농도 0.0‰의 조건에서는 산란한 암 참게가 한 마리도 없었다.
        58.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군광산과 동남광산에서 산출되는 부서라이트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열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장군 광산과 동남 광산에서의 부서라이트는 망간탄산염광상의 표성 산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산화망간 광석 내에 란시아이트와 함께 산출된다. 전자현미분석결과 장군광산 부서라이트의 화학 조성은 (Ca0.78Mg0.64Mn2+0.45)Mn4+8.03O18·13.2H2O이며 동남광산에서 산출되는 부서라이트는 (Zn0.81Ca0.77Mg0.26Mn4+8.00O18·10.9H2O이다. 장군광산의 부서라이트의 저면 격자 간격은 40℃에서 9.86 a이며, 90℃에서는 7.60 a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동남광산에서 40℃부터 90℃까지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점진적인 회절선의 이동은 나타나지 않고 9.67 a의 회절선의 강도는 감소하고 7.53 a의 회절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59.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원도 정선군의 동남광산에서 란시아이트(rancieite)의 Zn­단종인 신종광물이 발견되어 이 광물에 대하여 '치무석'(Chimooite)으로 명명하고 그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치무석은 캄브리아기의 풍촌석회암층을 남북 내지는 북동 방향으로 관입한 능망간석과 황화광물로 형성된 열수광맥의 표층산화대의 산화망간 광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주로 미립의 판상 또는 침상 결정의 집합체로 산출되며, 큰 것은 약 0.2 mm까지 달하나 대부분 0.05 mm이하의 미세 결정체로 산출된다. 한 입자 내에서 중심부의 치무석에서 외각부의 란시아이트로 화학조성이 점이적으로 변한다. 치무석은 푸른빛을 띠는 흑색의 구상 또는 괴상의 집합체로 무광이며 흑갈색의 조흔색을 보인다. 한 방향의 뚜렷한 벽개를 가지며, 경도는 2.5∼4이다. 반사현미경 하에서 치무석은 이방성이며 복굴절을 보여 적갈색의 내부반사색을 보인다. 치무석의 전자현미분석 시 분석위치에 따라 다양한 CaO와 ZnO의 분석값을 보이는데 이로 미루어 치무석과 란시아이트는 양이온 치환에 의한 완전고용체임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의 실험식은 7 a 층상구조형 산화망간광물의 일반식인 R2x Mn4+ 9­x O18 .nH2O(x=0.81∼1.28, 평균 1.0)에 따라 계산하면(Z n0.78Na0.15C a0.08M g0.01 K0.01)(Mn4+ 3.98F e3+ 0.02)4.00 O9 .3.85H2O가 되며, 이상적으로는(Zn,Ca)Mn4+ 4 O9 .3.85H2O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스토이키오메트리 조성식인 Mn44+ O9 .4H2O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은 육방정계이고 단위포는 a=2.840 a, c=7.486 a이며 a:c = 1:2.636이다. 시차열분석에 의하면 65, 180, 690 and 1020℃에서 흡열반응을 보인다. 적외선 흡수분광분석에 의하면 445, 500, 1630 and 3400 cm1의 파장에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다.
        60.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ccuracy for determining fishing ground and for setting fishing gear location, and the repeatability of ship position vary depending on fishing methods. Especially, Loran-C has been served to give fisherman highly accurate ship's position, and a number of fishing vessel are equipped with it's receivers.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Loran-C fix of Korean chain in Korean southeast coast, the authors examined and analyzed the data of the receiver of Loran-C(LC 90, Furuno) and GPS(AccNav SportTM, Eagle) measured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for 2 seconds at interval of 5minutes during 2hours from 11th to 21st, July, 1996 at six observed points, that is, Pusan, Wolnae, Pangojin, Chongja, Kampo and Kuryongpo in Korean southeast coast. As the result obtained, Loran-C signals showed little fluctuation with good reprodutibility. Good stability of Loran-C signals was indicated by the small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0.064~0.094μ s. Although determination of the observed position could not be completely accurate, the extent of the error was estimated smaller than 0.35 nautical mil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