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8

        22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건설기술의 특징과 체제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건설기술교육과정 변천을 교육목표와 교육 내용, 시기별 교육목표와 내용의 관련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한 중학교 건설기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기술의 내용은 3차, 6차 교육과정에만 포함되어 있다. 둘째, 교육내용은 기능 부분은 강조되고 있으나 지식과 태도 부분이 미흡하였다. 셋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6차 교육과정에서는 일치한 반면, 3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목표 없이 교육내용만 존재했다. 고등학교 건설기술의 변천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기술의 내용은 3차부터 7차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둘째, 교육내용은 지식, 기능부분이 강조되며 태도 부분이 미흡하였다. 셋째, 교육목표와 내용이 4, 5, 6차 교육과정에서는 일치한 반면, 3차와 7차 교육과정 에서는 교육목표 없이 내용만 존재했다.
        223.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Sternberg(1994)가 제안한 사고양식과 목표성향이 대학운동선수의 내․외적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대학 운동부 소속 277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사고양식, 스포츠 목표성향, 스포츠 참여동기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기술통계, 적률상관 및 정준상관분석, 단계적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수들은 자유적, 입법적, 군주제, 외부적, 행정적 사고양식이, 자아성향보다 과제성향이, 외적동기보다는 내적동기 수준이 더 높고 개인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2) 사고양식은 무동기를 제외한 내외적동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목표성향은 내외적동기와 정적/부적으로 매우 높은 관계를 보였다. (3) 선수들의 내외적 동기에 대한 개인변인과 사고양식의 효과는 Type I과 운동경력이, 개인변인과 목표성향의 효과는 과제성향만이 각각 전체 변량의 24%, 19%를 설명하였으며, 내외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예측변인군의 주효과는 과제성향과 Type III가 전체 변량의 27%를 설명하였다. (4) 운동경력에 따른 사고양식과 목표성향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결과는 과제성향추구와 Type III 선호경향성이 대학운동선수의 동기 수준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225.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술수준과 목표거리에 따라 나타나는 골프 퍼팅 동작의 제어 특성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력 8년 이상이고 핸디 3 이하인 남자 골프 숙련자 4명과 경험이 전혀 없는 남자 골프 초보자 4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고, 1m, 2.5m, 4m 거리의 홀에 최대한 정확하게 공을 넣도록 하였다. 골프 퍼팅 동작의 분석을 위해 비디오 촬영을 통한 영상분석으로 클럽헤드의 좌표를 산출하였으며, KWON3D(권영후, 1993)를 사용하여 분석한 뒤 본 실험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클럽헤드의 저크(Jerk) 및 저크코스트(Jerk-Cost)를 산출하였다. 결과에 대한 운동학적 변인을 기술수준별, 거리조건별로 분석한 결과 숙련된 수행은 동작의 형태가 일정하고 일관적이었으며, 초보자의 수행은 힘의 배분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필요 이상의 힘을 사용해 클럽헤드를 움직여 동작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거리조건별 기술수준에 따른 저크코스트의 경우, 모든 거리조건에서 숙련자는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양의 힘만을 적절히 배분하여 초보자에 비해 일반적으로 낮은 값의 저크코스트를 나타냈으며, 기술수준별 거리조건에 따른 저크코스트의 경우, 초보자는 거리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교적 높은 값을 가졌으나, 숙련자의 경우 목표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값을 가졌다.
        226.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2×2 성취목표지향성 이론을 반영한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가지 목표들이 교양체육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에게 어떤 수준으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에 하위목표들이 체육 내적동기와 자기조절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교양체육수업에 참가한 412명의 대학생(남=242명, 여=170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체육내적동기, 자기조절학습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가지 성취목표의 고, 저에 따른 16가지 유형의 프로파일 중에서 수행-숙달접근은 높지만 수행-숙달회피 성향이 낮은 6유형(20.6%)이 가장 많았다. 네 가지 목표 중에서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는 내적동기의 재미/노력 및 자기조절학습의 동기조절과 매우 의미 있는 정적 관계가 있었지만,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는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숙달접근 목표는 내적동기의 재미/노력, 유능감과 긴장에서, 자기조절의 동기조절, 행동조절과 인지조절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숙달접근-수행접근 목표가 교양체육수업의 이상적인 목표지향으로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27.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중도 포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목표성향이 운동포기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체육회의 산하 경기단체인 대한체조협회의 등록유무에 관계없이 2006년 현재를 기준으로 과거 1년 이상 국제 및 전국 규모의 에어로빅체조 대회에 출전한 경험이 있고 2006년 현재까지 에어로빅체조대회에 1년 이상 참가하지 않음은 물론 선수생활을 다시 할 생각이 없다고 반응한 운동포기자 141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다. 성취목표성향 질문지는 Duda(1992)에 의해 개발된 성취목표성향질문지(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13문항)를 김병준(2001)이 번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운동포기 척도는 성창훈(2002)이 개발한 스포츠 탈퇴요인 척도(40문항)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단일적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경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운동포기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은 운동포기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8.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경우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박 통항의 안전성 평가는 흔히 목표선 분석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목표선 분석만으로 이뤄지는 통항 안전성 평가의 위험성을 경고할 목적으로 하나의 예로서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의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15,000 TEU급 컨테이너 선박이 풍속 26노트 풍향 NW의 바람과 낙조류 2.2노트의 조류에서 광양항 항로를 따라 출항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목표선 분석과 연속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광양항 항로 중 굴곡부의 한곳에서는 목표선 분석에 의한 침범확률이 연속 분석에 의한 침범 확률보다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목표선 분석만으로도 통항 안전성 평가하는 것은 위험이 따를 수 있음을 제시하는 사례로 판단된다. 그 외에 이 논문에서는 현행의 연구의 항로중심에서 선박의 중심이 벗어난 값을 이용하지 않고 선측의 끝에서 항로경계까지를 최근접거리로 하는 근접도 평가를 제시하였다.
        23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lue of rural amenity resources scattered in rural area is difficult to be assessed isolatedly. Rural Amenity Resources Map (RARM) is developed for assessing rural resources based on specific territory. In the developing process, knowledge based system is oriented because rural amenity is differed from personal feeling. Possible decision trees in RARM are developed in reviewing process of previous GIS 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and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s constructed for achieving goals such as rural tourism, down shifting, and rural investment.
        231.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육교육 상황에서 성취목표 이론은 숙련지향적 분위기가 수업에 대한 동기와 성취행동을 증진시킨다고 예상한다. TARGET 구조(과제, 권위, 인정, 집단, 평가, 시간)는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분위기를 조성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숙련 및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육수업 현장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성취목표 이론과 실제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140명의 중학교 남녀 학생들은 15차에 걸쳐 숙련(n=72)과 수행지향적 TARGET 프로그램(n=68)으로 구성된 체육수업(농구)에 각각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목표성향, 수업분위기, 내적동기, 농구수행은 수업 전과 후에 각각 측정되었다. 일련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의 예상을 지지해 주고 있다. 수행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숙련 프로그램을 시행한 집단의 학생들이 더욱 유의한 숙련분위기 수준의 증진을 가져왔으며, 내적동기(흥미, 유능감)와 농구수행 역시 증가되었다. TARGET 프로그램의 효과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면접을 시행한 결과 숙련 프로그램 집단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그들의 체육수업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이론이 체육교육의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