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이중경로시스템(double-pass system)을 이용하여 근시교정 방법에 따른 시력의 질을 평가하였다.
방법 : 비수술적 방법(안경 44명, 소프트콘택트렌즈 42명)과 수술적 방법(펨토초레이저라식수술 43명, 안 내렌즈삽입술 30명)을 통해 근시를 교정한 사람 159명을 대상으로 OQAS(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Strehl ratio, OSI(objective scattering index) 및 객관적 시력 OVs(OQAS values)를 측정하였다. 수술적 방법으로 굴절교정을 한 경우에는 안정적인 시력이 나오는 수술 1개월 후의 측정값으로 시력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 안경, 소프트콘택트렌즈, 라식수술, 안내렌즈삽입술로 근시교정 후 주관적 시력과 Strehl ratio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72, p=0.358), MTF(cycles/degree)는 41.99 ± 7.99, 36.49 ± 6.36, 41.67 ± 9.99, 31.23 ± 8.85, OSI는 0.53 ± 0.39, 0.53 ± 0.20, 0.45 ± 0.19, 0.76 ± 0.37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p=0.000). 객관적 시력(logMAR) OV100%, OV20%, OV9%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 이가 있었고(p=0.000, p=0.000, p=0.000), 안경과 라식수술군에서 가장 좋았다.
결론 : 근시교정 방법에 따라 주관적 시력은 차이가 없지만, 시력의 질을 측정한 MTF, OSI 및 객관적 시 력은 안경교정안과 라식수술안에서 가장 우수했고 안내렌즈삽입안에서 가장 낮았다.
PURPOSES : The pole electrode method damaged the concrete pavement on inserting the electrode into the pavement surface. This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the flat electrode method to observe the concrete pavement instead of the pole electrode method and analyzed the resistivity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by performing laboratory tests.
METHODS : The resistivity of the concrete specimens manufactured with three different mixing ratios (38.50%, 39.50%, and 40.50%) were measured using the pole and flat electrod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crete age (7 and 28 days) and electrode spacing (20 mm, 30 mm, and 40 mm).
RESULTS : In both pole and flat electrode methods, the resis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fine aggregate proportion regardless of the concrete age. The resistivity measured at a concrete age of 28 days was slightly larger than that measured at 7 days. In the case of a concrete age of 7 days, the resistivity measured by the flat electrode method was larger than that measured by the pole electrode method. The difference disappeared at 28 day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lat electrode method can replace the pole electrode method because the resistivity measured by both methods was similar. Hence,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o apply the flat electrode method to actual concrete pavement is necessary.
PURPOS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n concrete pavement accordance with the curing methods in cool weather and supports the best method in the field.
METHODS: Two field tests evaluated the curing methods of concrete pavement in cool weather. Firstly, five curing methods were tested, including normal curing compound, black curing compound, bubble sheet, curing mat, and curing mat covered with vinyl. Concrete maturity was compared from temperature data. Secondly, normal curing compound and curing mat with vinyl, which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ere compared in terms of maturity and join condition index.
RESULTS: From the field tests, it is an evident that curing mat with vinyl accelerated the concrete strengt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duct saw-cut works in cool weather, which minimizes damage on concrete at joint.
CONCLUSIONS: For concrete pavement in cool weather, using curing mat with vinyl as the curing method could overcome the strength delay. Therefore, strength and durability problems on concrete at joint due to cool weather would be fewer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종류 및 추출 방법에 따른 성분함량의 차이를 확인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발한 버섯의 종류는 시중에서 판매중인 표고, 큰느타리, 양송이, 느타리, 팽이, 목이, 만가닥, 아위, 황금송이 등 9종류이다. 추출은 열수 추출 및 EtOH 추출을 진행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각 버섯 100g을 각각 열배수인 1L의 증류수로 3시간, 121°C에서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EtOH 추출물은 마찬가지로 100g의 버섯을 각 각 70% EtOH 1L로 24시간, 45°C에서 150rpm으로 진탕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은 HPLC 기기분석 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1-deoxynojirimycin(DNJ), γ-amino butyric acid(GABA) 등 유리아미노산, 유 기산 등이다. 분석 결과 모든 버섯의 열수 추출물과 EtOH 추출물 전부 DNJ는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물의 유기산 농도는 EtOH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malic acid의 함량이 전체 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각 버섯의 열수 추출물 중 표고버섯의 총 유기산 함량이 14911.77 μg/mL로 가장 높았으며, 반대로 목이버섯의 총 유기산 함량은 556.17 μg/mL로 가장 적었다. EtOH 추출물에서는 glutamic acid를 제외한 유기산은 거의 측정되지 않았다.
ZnO film was prepared on a p-type Si wafer and then annealed at various temperatures in air and vacuum conditions to research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bonding structures during the annealing processes. ZnO film annealed in atmosphere formed a crystal structure owing to the suppression of oxygen vacancies: however, ZnO annealed in vacuum had an amorphous structure after annealing because of the increment of the content of oxygen vacancies. Schottky contact was observed for the ZnO annealed in an air. O 1s spectra with amorphous structure was found to have a value of 529 eV; that with a crystal structure was found to have a value of 531.5 eV. However, it was observed in these resul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characteristics and the bonding structures was weak.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Konzepten und Ansätzen der Landeskunde, die sich in Bezug auf die jeweilige soziale Situation und den Lernerbedarf historisch entwickelt haben. Im Fachbereich Germanistik herrscht seit 20 Jahren die Krise der Geisteswissenschaft. Statt Literaturveranstaltungen, die von Studenten abgewählt werden, wurde Landeskunde als ein neues Veranstaltungsangebot in den Vordergrund gestellt, damit die Germanistik wieder einen Aufschwung erleben kann. Aber in Korea wurden die Begriffe, Konzepte und Inhalte der Landeskundeveranstaltungen noch nicht festgelegt, z.B. ist unklar, was man unterrichten soll und auch wie man unterrichten soll. Aus diesen Gründen wurde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darzustellen, wie Landeskunde im Fachbereich Deutsch als Fremdsprache in Deutschland diskutiert wird. Zuerst wurde die historische Entwicklung der Landeskundeansätze vorgestellt, wobei das Konzept und der Inhalt bzw. die Schwerpunkte diskutiert werden, was mit den Zielen und dem Lernerbedarf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zusammenhängt. Darüber hinaus wurde am Ende der Arbeit ein didaktisches Konzept kurz vorgestellt. In Korea werden im Rahmen der Universität die zahlreichen Landeskundeveranstaltungen meistens von Literaturwissenschaftlern angeboten, sodass der Themenbereich Literatur als Kultur zu sehr hervorgehoben wird, was dem Bedarf der Lerner und der Gesellschaft überhaupt nicht entspricht. Kommunikative und interkulturelle Landeskunde beschäftigt sich mit der Situation und Themen bzw. Inhalten, die unsere Lerner motivieren, weil solche mit ihnen selbst und ihren Interessen sehr eng verbunden ist.
M. M. 토마스의 신학방법론은 신학발전과정에서 세 가지 관점으 로 나타난다. 비록 그의 신학발전의 각 단계 사이의 명확한 경계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지라도, 그것은 그의 적합한 신학적인 틀을 형성하고 있다. 토마스의 방법론적 접근은 그의 신학이 인류학적 접근 에 근거하고 있다. 그는 기독교 신앙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위해서 도전적인 관계와의 접촉점을 찾는다. 우선 그의 방법론은 인류 학과 벌코프 관점의 소통에서 나타난다. 토마스는 기독교 신앙과 간디 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두 이데올로기의 소통을 통하여 남아있는 문제 를 풀고자 애쓴다. 신학과 이데올로기 사이의 소통은 그의 예비적인 필요조건인식에서 나온다. 그는 간디주의와의 소통에서 비폭력의 원칙 은 육체의 힘으로 이해된 힘의 실재에 대한 간디의 근본적인 접근이었 다. 그는 간디의 도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인식을 사회의 분석을 위한 더 나은 도구로 판단하고, 인도 사회에서 급격한 변화에 영향을 주는 수단으로서 발전시켰다. 사회 현실에 대한 깊은 연구가 그로 하여금 마르크스주의와의 소통을 이루도록 도왔다. 나중에, 종교를 소외의 형태로 이해하는 마르크스주 의적 신학이 종교를 불신앙의 형태로 본 것과 달리 후기 크래머와 결합되었다.
한문교육 연구자는 한문교육 전반에 걸친 여러 문제점, 과제, 실태 등을 살피고 이를 해결하거나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 및 활용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 과 양적 연구 방법으로 나뉜다. 한문교육 연구 영역에서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의 시작과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 한문교육 연구의 실질적인 시작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특히나 한문교육 연구에서는 최근까지도 통계를 이용하는 양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학계에 보고되는 현 상황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교육 연구에서 과학적이고 객관 적으로 도출되는 통계적 결과가 중요하다는 인식 증가의 방증(傍證)이다. 다만 통계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는 만큼 부정확한 연구 설계, 통계 결과의 분석과 해석 오류 등의 문제점 또한 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통계 방법이 한문교육 연구에 적용된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 설계부터 통계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 빈번히 드러나는 기본 개념 오류에 대해 논의하여 향후 양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에 발전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