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9

        401.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의 품종별 백립중은 12.1∼27.1 범위로 새알이 가장 무거웠고 광안이 가장 가벼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두 무게에 대한 종피의 무게비율은 신팔달콩 2호가 9.40%로 가장 높았고, 장엽이 6.1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조단백질은 평균 41.7%로 39.0∼48.5% 범위의 품종간 차이를 보였으며 단백이 48.5%로 가장 높은 함량을, 장엽이 39%로 가장 낮았다. 지질은 평균 19.7%로 17∼22% 범위였으며, 무한, 태광 등이 22%로 가장 높았고 단백, 광안이 17%로 가장 낮았다.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 단백콩과 광안콩이 높은 지질함량을 보였는데, 전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들이 낮은 지질함량을 나타내고 단백질함량이 낮은 품종들이 높은 지질함량을 보였다. 수분흡수율은 235.9∼202.82%범위로 평균 218.4%였으며, 보광이 235.9%로 가장 높았고 단경이 202.8%로 가장 적었다. 수침 후 경도는 평균 1.404kg/3.14mm^2로 0.890∼2.593kg/3.14mm^2의 범위였는데 새알이 0.890kg/3.14mm^2로 가장 높은 경도를, 진품이 2.593kg/3.14mm^2로 가장 낮은 경도를 보였다. 한편 수분흡수율과 수침시간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보광, 광안, 황금 등 전 품종에서 R_2=0.94∼0.99의 범의로 고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분흡수율이 높을수록 수침경도는 작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진품의 수침경도는 2.593kg/3.14mm^2로 가장 높았다. 한편 대두의 가열 후 경도는 0.066∼0.475kg/3.14mm^2의 범위로 평균 경도는 0.153kg/3.14mm^2였고, 단원이 0.066kg/3.14mm^2로 가장 낮았다.
        4,000원
        402.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산천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보에서 1993년 2월부터 1996년 12까지 월 2회 간격으로 하천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에 관해 조사하였다. 양산천은 전형적인 4차의 산지/농경지 하천이며 유량은 보에 의해 조절되어지고 있으며, 본 하천의 보가 있는 구간은 부영양화상태였다 (chl. a, 37.0±72.6 μg/l). 이화학적 요인의 계절적인 변화는 강우나 인위적인 교란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온, 4~31.7°C; 탁 도, 4.4~28.1 NTU; 용존산소, 4~14.9 mg/l; 전기전도도, 82~1820 μS/cm; 알칼리도, 11~222 mg/l; pH, 6.3~9.0; 총인, 54~1155 μg/l; 총질소, 2.0~18.3 mg/l). 또한 식물 플랑크톤 군집은 일정한 주기성을 나타내었는데 동계에는 유글레나류와 황색편모조류, 그리고 우상형 규조류 군집의 우점양상이 뚜렷하였으며, 하계에는 녹조류와 규조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본 조사지점에서는 봄과 가을에 높은 생체량을 보이며, 겨울에는 정체된 수계에서 우점하는 Euglena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정체(lentic)수역의 성향이 강하였으며, 하계에는 장마에 의한 유량의 증가로 유수 (lotic)역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나라 중소하천에서의 보의 생태적 역할은 앞으 로 규명되어야 할 중요한 연구분야의 하나이다. 특히 보의 물리적 특성과 저서 및 유영 생물의 이동, 갈수기 수 중생물의 피난처로서의 역할, 부분적인 퇴적으로 인한 하천 내 물질순환의 변화 등 보가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시급히 연구되어야 한다.
        4,000원
        40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강도 콘크리트는 부재의 내력증가 뿐만아니라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구조성능에 관한 연구자료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며 현행규준 또는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실험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도 (f_c'=240kg/\textrm{cm}^2) 및 고강도(f_c'=700kg/\textrm{cm}^2)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실제의 중진지역 30층 실제구조물의 2/3크기를 축소한 보와 기둥 슬래브로 구성된 네 개의 부분구조체를 제작하여 유사정적실험을 통한 구조거동과 파괴형태를 조사하고 전단내력에 대한 현행규준과 비교 검토하였다.
        4,300원
        40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4년 Northridge 지진과 1995년 Kobe 지진에서 많은 철골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에 발생한 규열은 내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모멘트 저항 철골골조의 내진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모멘트 저항 골조가 강한 지진을 받을 때 보-기둥 접합부는 강도의 저하없이 소성 회전변형능력이 0.015이면 만족할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한 지진하중에서도 철골구조의 보-기둥 접합부에서 용접부의 균열이 방지되고 연성적으로 충분한 에너지를 흡수하고 소산할 수 있는 접합부의 형태를 제안하고 그 거동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의 형태를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그 거동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접합부 시험체에 대한 실험결과는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충분한 변형능력을 나타냈다.
        4,000원
        40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한 크리효과는 다른 각종 강도에 대한 크기효과에 비해 현저히 나타난다는 것이 많은 실험적 연구로부터 입증되었으며, 이를 배경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계 기준식들이 전단강도의 크리효과를 반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점점 대형화됨으로써 이와 같은 설계 기준식의 실험적 검토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괴역학에 근거한 비선형 유한요소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단보강철근이 없는 대형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한 크기 효과를 재현해 보았다. 또한, 해석 및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크기효과가 고려된 몇 가지 대표적인 전단강도식과 비교하였다.
        4,000원
        408.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 및 발효공업의 균체 제거에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 응집체를 개발할 목적으로 토양에서 분리한 Bacillus megaterium 의 응집제 생산 특성을 조사한 결과 sucrose 2.0%, NaNO_3 0.3%, tryptone 0.01%, beef extract 0.01%, MgSO_4 0.05%, CaCO_3 0.005%가 최적 배양배지로 조사되었으며 최적배지에서의 응집활성은 257.8 unit로 기초배지에 비해 응집활성이 약 161% 증가하였다. 한편 본 균주는 탄소원 및 무기염의 첨가에 의해 응집활성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질소원의 경우 다른 성분에 비해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어 본 균주가 생산한 응집체는 균체외 다당류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조정제 응집제에 대한 정색반응 결과 생산 응집제를 조정제한 후 정색반응 실험 결과는 비환원성 당으로 fructose를 함유하지 않은 다당의 일종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4,000원
        409.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ynthesis of Dimer acid was studied from a tall oil fatty acid. Catalytic activity measured as reactant conversion in a autoclave reactor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e acidity. The optimization of process conditions were tested by an experimental design method. Optimization synthetic conditions of dimer acid and were reaction of tall oil fatty acid during 2 hour at 250℃, used of 7.3 wt% active clay and 1.2~1.4wt% water, and found reation pressure 8~9Kg/cm2. The maximum conversion rate was researched 74~76%.
        4,000원
        41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간영역에서의 구조물의 해석은 직접적분법과 모드중첩법에 의하여 구해질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드중첩법에 의한 해석방법은 몇가지 저차 진동모드를 사용하여 비교적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적해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선형해석에서는 각 부재들의 상태에 따라 강성이 달라지므로 고유 진동모드를 정의할수 없거나 변화되는 강성에 따라 고유진동 모드를 지속적으로 다시 구하여야 하는 불편 있으므로 모드 중첩법을 이용한 비선형해석은 완전탄소성모델 등 극히 제한된 조건에서만 실행이 가능하였다 본논문에서는 강성행렬을 각 부재별로 분리시키고 비선형복원력과 초기선형복언력과 초기선형복원력의 차이를 하중항에 반영시킴으로써 모드중첩법을 이용하여 비선형 해석은완전탄소성모델 등 극히 제한된 조건에서만 실행이 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강성행렬을 각 부재별로 분리시키고 비선형 복원력과 초기선형복원력의 차이를 하중항에 반영시킴으로써 모드중첩법을 이용하여 비선형해석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각 부재 강성을 각 부재의 상대변위의 함수로 나타냄으로써 연속적인 계산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전단보모델에 적용하였으며 모드 개수를 변화시켜 지진하중에 의한 최대변위를 계산하여 이를 직접적분버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4,000원
        411.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성, 작업성, 효율성을 고려한 전통식혜의 최적 조건은 엿기름 사용량은 4%, 엿기름 추출은 60℃에서 1시간 추출 후 60℃에서 다시 30분 추출하여 합치고, 쌀 사용량은 20%, 쌀 침지시간은 1시간, 고두밥 찌는 시간은 30분, 반응 용액의 pH는 5.5, 반응 온도는 60℃, 반응시간은 5시간, 교반은 1시간에 1회, 보조효소를 사용할 경우는 Enzyme CK와 Teramyl을 0.05∼0.1% 첨가하는 조건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생성물은 말토오스였다.
        4,000원
        412.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 식혜제조 방법을 과학화 체계화시키기 위하여 엿기름과 시판 아밀라아제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식혜를 제조하였다. 엿기름의 아밀라아제 활성(환원력)은 9, 725unit/g이었다. 엿기름 식혜는 엿기름 4%, 쌀 20%를 사용하여 60℃에서 5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시판 β-아밀라아제(Biozyme ML, Hamilton GL), α-아밀라아제(복합효소 5000, Teramyl, Fungamyl), pullulanase(Enzyme CK-20)는 단독, 또는 엿기름과 함께 사용하면 초기에는 엿기름을 단독 사용한 것보다 당화율을 증가시켰으나 5시간 후에는 엿기름 단독 사용한 것보다 큰 차이가 없었다.
        4,000원
        413.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1년부터 1993년까지와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각각 3년 동안 광주시 근교지역 각 농가에서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가축위생연구부에 병성감정을 의뢰한 원유를 대상으로 젖소 유방염의 발생양상과 원인균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의 경시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 체세포수검사 양성율은 11.1%로부터 8.0%로 감소되었으며 원인균의 발생율은 Staph. sp.가 49.7%이었고 다음은 E. coli가 23.2%, Strep. sp.가 10.4%, Bac. sp.가 7.2%의 순이었는데, 이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은 전반적으로 크게 저하되었다.
        4,000원
        41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presentive cured products such as ham and sausage produced in Korea were purchased at retail and cooked using heating tools such as a gas range (GR), an electric range (ER) and electric range after boiled (BE). Changes of N-nitrosamine (NA), nitrate and nitrite in the cured meats containing$lt;2.0 ug/kg of N-nitrosodimethylamine (NDMA) were checked and analyzed during their cooking process.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in ham products prior to cooking were 2.0 and 1.8 mg/kg, respectively; their contents in regular ham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those of nitrate in press hams were decreased while those of nitrite were increased during its cooking process. Their contents in sausage products were 1.8 and 0.9 mg/kg; those of nitrate were decreased, while nitrite were slightly increased during its cooking process. NDMA detected only NA in all the collected cured products. Changes of NDMA, regardless of cooking methods, tend to drastically increase in all samples after their cooking; Its contents were increased by average 6.0-70.7 times in the GR samples, by average 2.4-39.2 times in the ER samples and by average 7.0-56.3 times in the BE samples. Virtually, the fact that all of this nitrosamine appeared to arise by the action of precursor such as NO_x was produced during the cooking of cured products.
        4,000원
        41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occurrence of N-nitrosamine (NA) and its precursors such as nitrate and nitrite. For the experimental samples, 26 kinds of commercial hams and 30 kinds of sausages produced in Korea were purchased. The nitrate and nitrite were positive in all of the collected samples; nitrate levels were by average 4.4-9.2 mg/kg and nitrite ones were by average 1.3-3.6 mg/kg. The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were detected higher in sausage than in ham. Especially, nitrate contents were contained higher in lyoner sausage prepared with the mixture of meat and fish, while nitrite contents were contained higher in the meat only mixture. N-nitrosodimethylamine (NDMA) among the analyzed 7 kinds of NA was detected only in ham and sausage; its contents were outstanding in lyoner sausage which was prepared with only meat and pork sausage, and then regular ham was the next one in its order, but its contants were detected by average $lt;0.5 ug/kg in press hams added vegetable.
        4,000원
        416.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해서 인장강화효과의 소성힌지길이를 고려한 재료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비선형 해석에서 자유도가 많은 대형구조물에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는 복잡한 층상해석기법을 사용하는 대신 단면해석을 통해 미리 구성된 모멘트-곡률 관계를 이용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에서 사용요소의 크기에 따른 수치해석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인장강화효과와 소성힌지길이 개념을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해석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해석결과와 실험결과간의 상호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4,500원
        417.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단변형 효과를 무시하는 경우에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일반이론을 유도한다. 비대칭 선형 변단면의 임의점을 통과하는 부재축과 단면의 주축의 방향과 무관하고 부재축과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좌표축을 도입하여 직각좌표계를 정의한다. 정의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유한한 회전각의 2차항을 고려하는 변위장을 도입하여 연속체에 대한 가상일의 원리로부터 탄성변형에너지, 그리고 초기응력에 의한 포텐셜에너지를 유도한다. 이를 이용하여 비대칭 선형 변단면을 갖는 박벽 공간 보의 안정성해석을 위한 평형방정식을 제시한다. 3차 Hermitian 다항식을 변위파라미터의 형상함수로 사용하여 박벽 공간 보의 탄성강도 및 기하강도행렬을 상정할 뿐만 아니라, 단면의 좌표축에 상관없이 임의의 위치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하중보정강도행렬(load-correction stiffness matrix)을 제시한다. 본 이론 및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문헌의 결과 및 쉘요소를 사용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본 이론의 정당성을 입증한다.
        4,200원
        41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형 시스템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동적 재하시험에 있어서 변위를 측정하는 것보다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수월하나 대부분의 공학적 기준은 응력과 비례관계를 지니는 변화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재하시험시 측정된 가속도신호를 이용하여 변위응답을 산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적분을 위한 신호처리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정상상태 및 천이영역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초기조건의 항을 도입함으로써 시간영역의 적분과 주파수영역의 적분결과가 일치함을 해석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이동하중을 받는 보의 동적거동에 대하여 제시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4,300원
        419.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력볼트로서 슬립이 발생치 않도록 설계된 철골모멘트골조의 보 이음부의 내진거동을 반복재하 실물대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모메트 접합부가 극한 소성강도에 도달하기 훨씬 이전에 보 이음부의 슬립이 발생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관측된 마찰계수는 규준 공칭값의 50-60%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보 플랜지의 열영향부가 파단에 이르기 까지 슬립 이후의 지압거동을 통하여 증가되는 반복하중을 성공적으로 모멘트접합부로 전달하였다. 즉 반복하중 하에서도 보 이음부의 슬립이 곧바로 구조적 일체성의 상실로 이어지지는 않음이 관측되었다 볼토구멍을 공제한 보 플랜지 유효단면적의 전강도에 기준한 전통적 보 이음부 설계법에 의할 경우 모멘트 접합부의 소성강도 발현 이전에 보 이음부의 슬립발생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설계 개념에 기초하여 강진 작용시의 보 이음부의 설계와 관련한 추가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4,000원
        420.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제 1보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두 레이아웃 변인 (모티브 크기와 반복 배열 방식)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이러한 분석결과를 시장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2보네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꽃문양 스카프 디자인의 레이아웃 기법이 감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레이아웃 기법 전개에 관련된 실증적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사변적 또는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던 기존의 스카프 디자인 연구 분야에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감성과학 이론이 섬유 제품 디자인 개발에 유용한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