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5

        403.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22년간(1986-2007년)의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태풍의 발생 해역별(A해역: 캐롤라인 마샬군도 부근 해역, B해역 : 북위 20도 이북 해역, C해역 : 필리핀 근해, D해역 : 남중국해)로, 태풍의 발생 수 및 세기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태풍의 연평균 발생 수는 26.3개로, 모든 해역에서 공통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A해역에서 감소 추세가 현저하고, D해역에서는 감소 추세가 미미하다. 태풍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해역은 A해역(연평균 13.8개, 전체의 약 53%)이고, 그 다음은 C해역(5.6개, 약 21%), B해역(3.8개, 약 14%), D해역(3.1개, 약 12%)의 순서이다. 태풍의 세기는 A해역에서 발생하는 것이 가장 강하고(중심최저기압의 평균 951hPa), 그 다음은 C해역(970hPa), B해역(975hPa), D해역(983hPa)의 순서이다. 그리고 전 해역을 대상으로 하여 연평균 중심최저기압의 시계열 분포를 살펴보면, 태풍의 중심최저기압은 미세하게 하강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태풍의 세기가 서서히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금번의 연구 결과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태풍의 수와 세기의 변화에 대한 여러 수치실험 결과와 일치한다.
        404.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세기 영남 학계에는 李滉 이후 전통적으로 이해되어온 ‘心은 理氣가 합해 있다’는 설을 굳게 지키는 학자들이 아주 많았다. 이러한 학계의 경향에 정면으 로 맞서 李震相은 心卽理설을 제창하였다. 이진상의 제자인 郭鍾錫은 당시 영 남학계에서 ‘異端’으로 비판받았던 스승의 心卽理설를 잘 계승하여 변호하고 발전시켰다. 곽종석은 心學의 요체인 知와 敬에 매우 주목하였다. 그는 情(사단칠정)이 發 할 때에 知와 敬이 그 情의 발함을 主宰한다고 보았다. 知와 敬에 대한 그의 깊 은 탐구는 어려운 시대를 구제해나갈 이론을 眞知와 實踐이라는 두 측면에서 확보하려는 학문적 노력으로 이해된다.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곽종석이 明德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하였다는 점이다. 그는 당시 학계에서 명덕을 心으로만 이해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였다. 그는 명덕은 心과 身, 性과 行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없다고 하였다. 그는 명덕 을 心이라고만 해버리면, 󰡔大學󰡕의 八條目 중 ‘正心’에서 ‘明德’을 밝힌다는 일 이 마쳐지게 되어버려 그 뒤에 이어지는 ‘修身’은 혹처럼 붙어 있는 것이 된다 고 하였다. 그는 명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세계 각국의 사상과 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런데 19세기 말부터 곽종석은 서구의 公法과 哲學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서구의 공법과 철학과 과학에 대한 그의 관심의 증대와 더불어, 1919년에 그의 理學은 조선의 독립과 평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모하였다. 그는 仁義에 근거한 공법질서와 功利의 私心이 없는 서구의 철학과 그것에 토 대를 둔 서구과학을 인정하며, 하루빨리 조선의 독립과 평화가 성취되기를 바 랐다.
        40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John Wesley’s position upo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n England of the 18th century and his influences on the campaign for ending the slave trade and slavery. John Wesley, as a leader of awakening movement, was concerned with the personal conversion and the revival of faith and church. Regarding his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 he as a Tory was royal to the english monarch and was against American Independence. Accordingly, he has been seen as conservative in terms of social perspective. It has sometimes caused the speculation that John Wesley was not interested in ending the salve trade and slavery, which is one of the greatest atrocities of civilization at his times. That is the case with the founder of North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and a leading Methodist theologian, James Cone. It is really ironic that he wrote, “The Wesley that has come to us seems very white and quite British, and that ain’t no good for black people who know that the Englishmen are the scoundrels who perfected the slave trade,” and indicated, “one does not get the impression that slavery was one of the burning issues on Wesley’ mind.” Actually, the early mission to Georgia in America brought John Wesley into direct contact with black slaves there. Since then, his concern about the slave trade and slavery had not disappeared in his mind, even though he more concentrated himself on the revival movement ignited by his own conversion. We can find out his criticism upo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n his Journals and Diaries, letters, and his Writings. Especially, his tract “Thought upon Slavery,” which partly drew on some writings by Anthony Benezet and Granville Sharp, had a great influence upon the methodists and mass. In his small book, he harshly criticized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tself as sum of all inhumane evils. His criticism was based not only on the Bible, but also on the general natural law and justice. Besides, he encouraged some leader of antislavery campaign to continue to do his action. Among these was included William Wilberforce, who spent a lifetime passing the bill for abolishing the slave trade and slavery through Parliament. After death of John Wesley, his follower and methodists still supported William Wilberforce to achieve his goal.
        41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36년간(1970-2005년)의 장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대부분이 통과하는 남해의 해수면 온도와 태풍의 세기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 연구하였다. 우리나라 남해의 해수면온도는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1996년 이래 10년간(1996-2005년)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16.77℃로 1970년대 10년간(1970-1979년)의 평균 해수면온도 15.74℃보다 1.03℃나 높다. 특히, 1994년 이후 그 상승폭은 크다. 태풍의 세기는 최저해면기압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남해를 통과하면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의 최저해면기압의 변화를 살펴보면, 197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6년 이래 10년간(1996-2005년)의 평균 최저 해면기압은 979.2hPa로, 1970년대 10년간(1970-1979년)의 평균 최저해면기압 989.3hPa보다 10.1Pa이나 낮다. 상관분석에 의하여, 1970년 이후의 태풍 세기 강화는 남해 해수면온도의 상승과 상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415.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遺逸은 16세기 조선조 사대부문학의 작자층 가운데에서 학덕이나 재능을 지 녀 朝官이 될 자질을 갖추고도 벼슬하지 않고 재야에 은거하는 未入仕者를 말 한다. 士禍라는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근거지로 은거한 이들은 현실 을 외면하지 않고 끊임없는 학문연구와 심성수양을 통해 온전한 인격을 추구하 였으며, 향촌을 교화하고 도학을 전파하는 등 경색된 현실에도 굴하지 않고 士 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부단히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사회적 비중과 신망이 조 정에서 벼슬하는 관료보다 더 높아져, 조정에서는 이들을 예우하여 徵召하였다. 곧 遺逸은 출사하지 않으면서도 지방에서 백성의 신망이 두텁던 당대 碩儒들로 서, 우리 역사상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삶의 터전은 산수자연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은거지에 대한 애정이 남 달랐고, 은거지 주변의 명산과 절경을 유람하는 것으로 이를 표출하였다. 유람 에서 만나는 자연경물에 자신의 심정을 붙여 술회하였는데, 그들에게 있어 산 수자연은 ‘본래 그러한 것, 본래 그러한 모습으로 존재했던 것’으로만 인식되지 않았다. 특히 16세기 조선조는 성리학 연구의 심화가 이루어지던 시기이다. 이 들은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성리학자였기 때문에, 그들에게 있어 산수자연은 당대의 不正한 현실을 인식하는 자신의 의식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특히 은거지 중심의 유람에서 표출되는 산수자연은 현실에서의 좌절을 수양으로 승화시키는 지식인의 의식세계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예컨대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성리학자였던 만큼 자연경물을 통해 현실의 不 正 및 민생고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였고, 역사유적지를 접하면 그 시대를 회고 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현실을 반성하는 계기로 삼았다. 무엇보다 물러나 있지만 자아를 각성하고 심성수양에 진력했던 이들에게 산수자연은 士意識을 고취하는 매개로 작용하였다. 곧 당대 관료세계에 피동적으로 편입되기를 거부 하고 물러났던 조선조 士人의 의식을 산수자연으로 표출하였던 것이다.
        41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the research of small garde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history and culture of 19C English and Australasian cottage garden. This western garden study will be expected to change Korean suburban and rural garden style delightfully and plentifull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ttager appeared in the English landscape and social system after the Black Death and with him, the cottage garden. But, the suburban garden is the ancestor of the stylized English cottage gardens. Loudon created the nineteen-century suburban garden which, in the long run, influenced the shape and planting of rural cottage garden too. Loudon worked out rules from Repton's theory and practice, and then modified for the smaller. A measure of regularity is imposed by two conditions: the fact that suburban gardens are rectangular and fenced; and his own ideas for what he called 'gardenesque'. Miss Gertrude Jekyll could recognize the cottager's unwittingly good examples, could deduce from it some widely applicable rules. From the old cottage garden Gertrude Jekyll borrowed the charm of natural simplicity, produced a garden style from it and, at last, made the cottage garden self-conscious. It was a good example of the art which conceals art, not of artlessness. To sum up: the rules for laying out and planting the cottage garden are straightforward; The design should be rectangular and very simple; The native plant species can be included in the planting, and every cultivar not later than, say,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excepting those which have never been associated with the 'idea' of a cottage garden. Australasian cottage gardens have derived from the English originals. They were also a fairly uncomplicated structure based on a grid of straight paths and a wide selection of flowering plants, shrubs, bulbs, annuals, biennials, perennials and climbers planted with no particular regard to flowering season or stature and with an unsophisticated colour scheme. The ideas of Loudon were most popular and widely read. As the century advanc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ttage garden was furthered into the flower garden. They took the news of the latest discoveries and productions in their stride and eagerly welcoming. However, aside from the profusion of the planting, the use of favourite old flowers and the random scatter of flowering shrubs, perennials, bulbs and other plants, the most important is still the simplicity of the design.@